"감국(甘菊)"의 두 판 사이의 차이
sillokwiki
(XML 가져오기) |
(차이 없음)
|
2017년 12월 10일 (일) 01:10 기준 최신판
주요 정보 | |
---|---|
대표표제 | 감국 |
한글표제 | 감국 |
한자표제 | 甘菊 |
상위어 | 약재(藥材) |
하위어 | 공국(貢菊), 백국(白菊), 저국(滁菊), 항국(亢菊) |
관련어 | 강성황(江城黃), 구절초(九折草), 범국(泛菊) |
분야 | 문화/의학·약학 |
유형 | 약재 |
집필자 | 차웅석 |
산지 | 경기도, 전라도, 충청도, 함경도 등 한반도 각지 |
채취시기 | 음력 9월 이후 |
효능 | 청열(淸熱), 해독(解毒), 명목(明目) |
조선왕조실록사전 연계 | |
감국(甘菊) | |
조선왕조실록 기사 연계 | |
『세조실록』 6년 9월 10일 |
국화(Chrysanthemum morifolium)의 머리모양 꽃차례를 따서 깨끗하게 건조한 것.
개설
국화[菊]는 오래전부터 매화[梅], 난초[蘭], 대나무[竹]와 함께 사군자의 하나로 문인들의 사랑을 많이 받아 왔다. 다른 꽃들이 주로 봄에 피는 것과 달리 음력 9월 이후 서리가 내린 다음에 피기 때문에 문인들에게 은자(隱者)의 꽃으로 인식되어 왔다. 동시에 가을의 찬 기운을 받아서 자란다고 보고, 우리 몸에 생기는 열증을 치료하는 약용 식물로 널리 이용되어 왔다. 국화는 열을 내리고[淸熱], 중독 중상을 풀어 주며[解毒], 눈을 맑게 하는[明目] 등의 효능이 있다.
산지 및 유통
『세종실록』「지리지」에 의하면 경기도, 전라도, 충청도, 함경도 등 한반도 각지에서 생산되는 토산물이다.
약재화 방식 및 효능
음력 9월경에 꽃차례를 따서 말린다.
찬 성질을 가지고 있어 해열·해독·진통 작용이 있다. 두통, 안구 충혈, 어지럼증, 열이 올라 심장 박동이 빨라지고 얼굴이 붉어지는 증상, 고열을 동반하는 감기 증상, 피부병에도 두루 이용한다. 술독을 치료하는 데 이용하기도 한다.
약용으로 사용된 기록은 2세기경 중국의 가장 오래된 약초 전문서인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에 처음 보이며, 이후 동아시아 의학에 있어서 중요한 약재 중 하나로 널리 사용되어 왔다. 조선 왕실에서는 ‘범국(泛菊)’이라고 하여 술잔에 국화를 띄워 마시는 풍속이 있었다(『세조실록』 6년 9월 10일).
참고문헌
- 『향약집성방(鄕藥集成方)』
- 『본초강목(本草綱目)』
- 『동의보감(東醫寶鑑)』
-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
- 강병수 외, 『(원색)한약도감: 임상을 위한 한약활용의 필독지서』, 동아문화사, 2008.
- 우석대학교 한의과대학 본초방제학교실, 『(운곡)한약재의 기원 및 산지 총람』, 한국학술정보, 2009.
- 동양의학대사전편찬위원회 편, 『동양의학대사전』, 경희대학교출판국, 1999.
- 江蘇新醫學院, 『中藥大辭典』, 上海科學技術出版社,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