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편(原篇)"의 두 판 사이의 차이
sillokwiki
(XML 가져오기) |
(차이 없음)
|
2017년 12월 10일 (일) 00:22 기준 최신판
주요 정보 | |
---|---|
대표표제 | 원편 |
한글표제 | 원편 |
한자표제 | 原篇 |
상위어 | 과거(科擧) |
동의어 | 상편(上篇) |
관련어 | 보편(補編), 비편(裨篇), 시권(試券), 하편(下篇) |
분야 | 정치/인사/선발 |
유형 | 물품·도구 |
지역 | 대한민국 |
시대 | 조선 |
왕대 | 조선 |
집필자 | 박현순 |
조선왕조실록사전 연계 | |
원편(原篇) | |
조선왕조실록 기사 연계 | |
『현종실록』 1년 3월 6일, 『숙종실록』 40년 8월 22일 |
과거의 시권에 작성한 2개의 답안 중 앞쪽에 작성한 답안.
개설
과거에서는 초장(初場)·중장(中場)·종장(終場)과 같은 장별로 시권(試券)을 작성하는데, 많은 경우 한 장의 시권에 2개의 글제에 대한 답안을 기재하였다. 두 답안 중 순서상 앞쪽에 기재된 답안을 원편(原篇)이라고 하였다.
내용 및 특징
한 장에서 2문제의 답안을 작성하는 경우 응시자는 선호하는 글제를 골라 앞쪽에 답안을 작성하는데, 이를 원편이라고 하였다. 이에 대하여 뒤쪽의 답안은 비편(備篇)이라고 하였다. 원편은 상편(上篇), 비편은 비편(裨篇)·보편(補編)·하편(下篇) 등으로도 일컬었다.
채점은 원칙적으로는 원편과 비편의 성적을 따로 매겨 합산을 하도록 되어 있었다. 그러나 사실상 원편만 채점하고 비편은 대부분 과락으로 처리하는 경향이 있었다(『현종실록』 1년 3월 6일). 이 때문에 응시자들도 원편은 심혈을 기울여 작성하되 비편은 형식만 갖추는 것이 보통이었다. 그 결과 1714년(숙종 40)에 비편을 폐지하여 응시자는 2문제 중 1문제를 골라 답안을 작성하게 되었다(『숙종실록』 40년 8월 22일).
참고문헌
-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 『속대전(續大典)』
- 박현순, 『조선후기의 과거』, 소명출판, 2014.
- 이성무, 『한국의 과거제도』, 집문당, 2000.
- 조좌호, 『한국과거제도사연구』, 범우사, 1996.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