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훈(日暈)"의 두 판 사이의 차이
(XML 가져오기) |
(차이 없음)
|
2017년 12월 10일 (일) 00:10 기준 최신판
주요 정보 | |
---|---|
대표표제 | 일훈 |
한글표제 | 일훈 |
한자표제 | 日暈 |
대역어 | 햇무리 |
분야 | 문화/과학/천문 |
유형 | 자연(현상) |
집필자 | 김일권 |
조선왕조실록사전 연계 | |
일훈(日暈) | |
조선왕조실록 기사 연계 | |
『태종실록』 1년 1월 24일, 『태종실록』 1년 5월 16일, 『태종실록』 2년 2월 25일, 『태종실록』 2년 3월 7일, 『태종실록』 3년 1월 8일, 『태종실록』 3년 11월 18일, 『태종실록』 4년 2월 10일, 『태종실록』 4년 2월 11일, 『태종실록』 4년 4월 11일, 『태종실록』 4년 6월 2일 |
태양 주변으로 둥근 띠고리가 생기는 햇무리.
개설
일휘(日彙)라고도 하는 일훈(日暈)은 햇무리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무리’는 태양이나 달 또는 가로등과 같이 빛이 강한 발광체 주위로 동그란 빛의 띠고리가 생기는 광학 현상이다. 이러한 띠고리는 일광이 대기 중을 통과할 때 작은 얼음 결정 입자[氷晶]에 빛이 반사되거나 굴절되면서 생긴다. 주로 엷은 새털구름이 끼었을 때 나타나며, 이 현상 후에는 대개 비가 내리므로 햇무리나 달무리가 지면 비가 내린다는 속언이 전한다. 태양이나 달이 지평선에서 40° 이상 떠올랐을 때 둥근 무리가 나타나고, 그 이하 고도에서는 약간 타원형이 된다. 햇무리는 주로 봄·여름에 자주 나타나며, 민가에서는 햇무리가 끼면 한밤중에 비가 내리고, 달무리가 끼면 한낮에 바람이 분다고 하였다.
내용 및 특징
『개원점경(開元占經)』의 「일점(日占)」에는 태양 관련 재이(災異) 현상을 여러 종류로 설명하고 있다. 여기에는 일식·일훈 외에도 일관(日冠)·일대(日戴)·일포(日抱)·일이(日珥)·일직(日直)·일배(日背)·일경(日璚)·일격(日格)·일유(日紐)·일승(日承)·일교(日交)·일제(日提) 등이 있다.
이러한 태양 관련 재이 현상이 『조선왕조실록』에 실린 기사를 살펴보면, 1401년(태종 1)에는 일이·일직·일포·일훈의 현상이 나타났다고 기록하였다(『태종실록』 1년 1월 24일). 일이를 일미(日弭)로 표기한 곳도 있는데(『태종실록』 1년 5월 16일) ‘일이(日珥)’를 잘못 기록한 것은 아닌지 의심된다. 1402년(태종 2)년에는 일관과 일배가 나타났다고 하였고(『태종실록』 2년 2월 25일), 태양의 주변으로 일훈이 졌는데 안쪽이 붉고 바깥쪽이 희었다는 기록도 있다(『태종실록』 2년 3월 7일).
1403년(태종 3)에는 일영(日纓)이 나타났다고 하였는데(『태종실록』 3년 1월 8일), 영(纓)은 갓끈이란 글자이므로 ‘일영’은 일관과 관련되나 끈 모양인 기체 현상을 이른 것이 아닐까 추정된다. 또한 일포 현상이 보였다고 하였는데 안은 푸르고 밖은 붉었다고 하였다(『태종실록』 3년 11월 18일). 1404년(태종 4)에는 햇무리가 졌고 남북으로 일이가 생겼다고 하였다(『태종실록』 4년 2월 10일). 또한 햇무리가 지고 일이가 있었는데 좌정승 하윤(河崙)이 그 형상을 그려서 바쳤다고 하였다(『태종실록』 4년 2월 11일). 해의 남쪽에 일이가 있었다고도 하였으며(『태종실록』 4년 4월 11일), 황색의 햇무리가 신(申) 방위에서 일어났다가 인(寅) 방위에 이르러 소멸하였는데 그 너비가 포(布)만 하였다고도 기록하였다(『태종실록』 4년 6월 2일).
이렇게 태양 주변의 이상 기체 현상을 자세하고 다양한 종류로 관찰하고 기록하였는데, 이는 『조선왕조실록』에서만 무려 4,300여 건이 있을 정도로 방대한 분량이다. 태양의 관측에도 얼마나 심혈을 기울였는지를 잘 알 수 있다.
참고문헌
- 『사기(史記)』 「천관서(天官書)」
- 『한서(漢書)』 「예문지(藝文志)」
- 『한서(漢書)』 「천문지(天文志)」
- 『여씨춘추(呂氏春秋)』
- 『회남자(淮南子)』
- 『천문류초(天文類抄)』
-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
- 김일권, 『(동양 천문사상) 하늘의 역사』, 예문서원, 2007.
- 김일권, 『고구려 별자리와 신화: 고구려 하늘에 새긴 천공의 유토피아』, 사계절, 2008.
- 김일권, 『우리 역사의 하늘과 별자리: 고대부터 조선까지 한국 별자리와 천문 문화사』, 고즈윈, 2008.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