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과진현시(武科進賢試)"의 두 판 사이의 차이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XML 가져오기)
 
(차이 없음)

2017년 12월 9일 (토) 23:15 기준 최신판



성종대 당하관을 대상으로 한 승진 시험.

개설

진현시(進賢試)는 중시(重試)의 일종으로서, 말 그대로 인재를 승진시키기 위한 특별 시험이었다. 1482년(성종 13)에 시행된 과거로서 문과 4명, 무과 10명을 시취하였다. 진현시라는 이름은 세조대의 발영시(拔英試) 예에 의거하여 붙여졌다. 진현시는 원래 문과진현시를 위한 시험이었으나, 무과진현시도 함께 실시하였다. 무과진현시는 당하 무관들을 승진시키기 위한 특별 시험으로서 단 1차례만 시행되었다.

제정 경위 및 목적

진현시는 성종대 문사(文士)들이 급제한 뒤에 공부를 하지 않자 이들에게 문풍(文風)을 진작시키자는 의미에서 실시한 특별 시험이었다. 1482년(성종 13) 10월에 문사와 무사(武士)들이 급제한 뒤에 공부를 하지 않아, 이들에게 문풍(文風)과 무풍(武風)을 진작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문과진현시와 함께 무과진현시를 실시하였다.

내용

무과진현시의 시험 자격은 당하 무관을 대상으로 삼아 미리 규정을 정하여 실시하였다. 무과진현시는 1차례 시험으로 뽑도록 하였다. 그런데 성종대는 무과진현시의 시험 과목으로 2백보 활쏘기[步射]·육냥전(六兩箭)·포후(布侯)·강서(講書)·기사(騎射)를 순서대로 시험 보아 진암수(陳巖壽) 등 10명을 선발하였다(『성종실록』 13년 10월 25일). 원래 편전(片箭)까지 시험 보아 등급을 정하기로 하였는데 하루에 시험을 다 마치지 못하자, 날을 바꿔 편전을 시험 보고 합격자의 등급을 나누어 사헌부 감찰김수정(金守貞)을 1등으로 뽑았다.

변천

진현시는 성종대 1차례만 시행한 특별 시험이었다. 조선시대에는 이러한 특별 시험을 발췌과(拔萃科)라고 불렀다. 등준(登俊)·발영(拔英)·진현(進賢) 등의 시험은 다 수시로 명명(命名)한 것이고, 따로 정한 규정은 없었다. 그럼에도 성종대의 진현시는 미리 규정을 정하여 당하관을 뽑았다. 그러자 중종대에는 진현시에 근거하여 굉사과(宏詞科)의 시행을 논의하기도 하였다.

참고문헌

  • 『국조방목(國朝榜目)』
  • 심승구, 「조선전기 무과연구」, 국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4.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