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능창취재(能槍取才)"의 두 판 사이의 차이
sillokwiki
(XML 가져오기) |
(차이 없음)
|
2017년 12월 9일 (토) 23:11 기준 최신판
주요 정보 | |
---|---|
대표표제 | 능창취재 |
한글표제 | 능창취재 |
한자표제 | 能槍取才 |
분야 | 정치/인사/선발 |
유형 | 법제·정책 |
집필자 | 최형국 |
조선왕조실록사전 연계 | |
능창취재(能槍取才) | |
조선왕조실록 기사 연계 | |
『세종실록』 10년 11월 9일 |
조선시대에 하급 무사 선발을 위한 특별 시험 중 하나인 도시에서 말을 달리며 창을 휘두르는 기창을 시험하는 과목.
개설
능창취재(能槍取才)는 무예 실력이 뛰어난 하급 무사를 선발하기 위하여 중앙이나 지방에서 도시(都試) 형태로 열린 특별 임용 시험 중 말을 달리며 창을 휘두르는 기창(騎槍) 혹은 마창(馬槍) 능력을 검증하는 시험이었다. 보통 능창취재는 말을 타고 달리며 좌우로 각각 세 개의 짚 인형인 추인(芻人)을 정확하게 찔렀는지 여부를 가지고 점수를 주었다.
제정 경위 및 목적
중앙이나 지방에서 무예 실력이 뛰어난 하급 무사를 선발하기 위하여 만든 도시에서 말을 타고 달리며 기창을 휘두르는 시험을 말하였다. 이외에도 능사취재(能射取才)라 하여 보사(步射)의 방법으로 장전(長箭)을 쏘는 시험을 보기도 하였다. 특히 하급 무사들 중 취재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어 승진하는 경우도 많았다.
내용
능창취재 시 점수를 매기는 방법은 2차에 걸쳐 자세를 갖추어 추인 6명을 맞힌 자를 1등으로 삼고, 5명을 맞힌 자를 2등으로 삼으며, 4명을 맞힌 자를 3등으로 삼았다. 그리고 1등 한 자는 1계급을 초월하여 벼슬로 상을 주고, 2등 한 자에게는 도 150을 주고, 3등 한 자에게는 도 100을 주었다(『세종실록』 10년 11월 9일).
참고문헌
- 『무과총요(武科總要)』
- 임선빈·심승구 외, 『조선전기 무과 전시의 고증 연구』, 충남발전연구원, 1998.
- 최형국, 「조선 숙종대 지방 기병부대 창설과 마상무예의 변화」, 『역사와 실학』 44, 2011.
- 최형국, 「조선시대 기사 시험방식의 변화와 그 실제」, 『중앙사론』 24, 2006.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