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마동보(斜亇洞堡)"의 두 판 사이의 차이
(XML 가져오기) |
(차이 없음)
|
2017년 12월 9일 (토) 22:57 기준 최신판
주요 정보 | |
---|---|
대표표제 | 사마동보 |
한글표제 | 사마동보 |
한자표제 | 斜亇洞堡 |
상위어 | 방어영(防禦營), 병영(兵營), 진(鎭) |
관련어 | 재덕진(在德鎭), 진보(鎭堡) |
분야 | 정치/군사·국방/방어시설 |
유형 | 건축 |
지역 | 대한민국 |
시대 | 조선 |
왕대 | 조선 |
집필자 | 송양섭 |
조선왕조실록사전 연계 | |
사마동보(斜亇洞堡) | |
조선왕조실록 기사 연계 | |
『중종실록』 20년 2월 27일 |
조선시대 함경도 명천부에 설치한 군사시설 보(堡).
개설
사마동보는 함경도 명천부(明川府) 북서쪽에 설치한 군사시설이었다. 함경도는 조선 초기부터 진보를 설치하여 이민족의 침입에 대비하고 지역사회의 안정을 도모하였다. 사마동보가 소속돼 있는 명천부는 1398년(태조 7)에 명원역(明原驛)이라는 이름으로 길주목(吉州牧)에 소속되었다. 1461년(세조 13) ‘이시애의 난’을 계기로 길주목이 길성현(吉城縣)으로 강등되면서 영평령 이북을 경계로 땅을 분리하여 명천현(明川縣)을 신설하였다. 1517년(중종 12)에 명천읍성이 축조되고 1605년(선조 38)에 명천부로 승격되었다. 사마동보는 명천부에서 삼수(三水)·갑산(甲山)이나 백두산 방향으로 가는 도로변에 설치되어 방어 임무를 수행하였다.
위치 및 용도
명천부 중심에서 북쪽으로 30리(약 11.8㎞) 정도 떨어진 곳에 위치하였다. 사마동보는 기본적으로 함경도 북쪽의 삼수·갑산이나 경성부 방향에서 내려오는 적들을 감시하고 방어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었다. 사마동보는 하천 옆에 설치되었지만 경작할 토지가 적어서 입번하는 군인들이 먹고살 길이 없다고 호소할 정도였다(『중종실록』 20년 2월 27일). 조선시대 대부분의 진보가 둔전을 기반으로 자체 재정을 운영하는 상황이었지만, 사마동보는 경작 여건이 좋지 못했던 것이다.
명천부는 길주부와 경성부 사이에 위치한 지역이었다. 두만강 경계에 있는 북부지역보다는 군사적 긴장감이 떨어졌기 때문에 명천부에는 군사시설이 많이 설치되지 않았다. 조선후기에는 만호가 지휘하는 재덕진(在德鎭)이 유일한 진보였다. 명천부의 지리적 여건에도 불구하고 사마동보는 도로 방어의 중요성으로 인해 설치·운영되었다.
변천 및 현황
1525년(중종 20) 실록에 처음 등장하는 것으로 보아 조선 초기 설치된 진보로 추정된다. 『대동지지』에 따르면 1605년(선조 38)에 재덕진을 영평산(永平山) 옛 성에 설치하였는데, 사마동에 옮겨 합하게 하였다고 한다. 결국 사마동보은 1605년(선조 38) 재덕진과 합설되기 전까지 유지되었던 것으로 볼 수 있다. 합설된 재덕진에는 둘레 4,900척(약 1,485m)의 성이 있었으며 3개의 우물이 있었다. 아마도 사마동보의 시설도 이와 유사했을 것으로 보인다.
참고문헌
- 『대전회통(大典會通)』
- 『대동지지(大東地志)』
-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 강석화, 「조선후기 함경도 육진지역의 방어체제」, 『한국문화』36, 규장각한국학연구소, 2005.
- 고승희, 「함경도 내지 진보의 변화」, 『한국문화』36, 규장각한국학연구소, 2005.
- 노영구, 「조선후기 함경남도 간선 방어체계」, 『한국문화』36, 규장각한국학연구소, 2005.
- 오종록, 「조선초기 양계의 군사제도와 국방체제」,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