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숙장문(肅章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XML 가져오기) |
(차이 없음)
|
2017년 12월 9일 (토) 22:55 기준 최신판
주요 정보 | |
---|---|
대표표제 | 숙장문 |
한글표제 | 숙장문 |
한자표제 | 肅章門 |
상위어 | 창덕궁(昌德宮) |
관련어 | 배설방(排設房), 인정전(仁政殿), 좌달문(左闥門) |
분야 | 왕실/왕실건축/궁궐건축물 |
유형 | 건축 |
지역 | 대한민국 |
시대 | 조선 |
집필자 | 이연노 |
조선왕조실록사전 연계 | |
숙장문(肅章門) | |
조선왕조실록 기사 연계 | |
『성종실록』 6년 8월 23일, 『연산군일기』 11년 9월 16일, 『연산군일기』 2년 11월 17일, 『영조실록』 24년 2월 25일 |
창덕궁 인정전 외행각 마당의 동쪽 문.
개설
『궁궐지(宮闕誌)』에 숙장문(肅章門)은 “인정문(仁政門) 바깥 동남쪽에 위치한 삼문(三門)이다. 숙장문은 측면 칸이 2칸, 정면 3칸이고 내 7포 외 5포의 다포이며, 어칸은 16자, 협칸은 13자이다. 또 숙장문 남쪽에는 13칸의 행각이 있는데 이곳에 배설방(排設房)을 두었다.”고 기록되었다. 배설방은 의식을 치를 때 차일(遮日)을 친다거나 포진(鋪陳) 설치를 담당하는 곳이다. 한편 인정문 남행각에는 상서원(尙書院)과 호위청(扈衛廳)을 두었고, 호위청 서쪽에는 내병조(內兵曹)가 위치하였다. 하지만 내병조의 출입은 진선문 밖에서 이루어졌다.
내용
숙장문은 1475년(성종 6)에 처음 등장하는 이름이다. 이때 창덕궁의 여러 문 중에서 따로 이름이 없는 것에 대해 서거정(徐居正)에게 이름을 짓게 했다. 이 중 창덕궁의 좌달문(左闥門)에 대해 숙장문이라고 이름 붙였다(『성종실록』 6년 8월 23일). 좌측은 동쪽을 말하며, 달(闥)은 안쪽을 들여다보지 못하도록 가로막은 담장을 말한다. 따라서 좌달문이란 안쪽을 들여다보지 못하게 쌓은 담장에 설치한 동쪽 문을 지칭한다. 다른 궁궐에서 숙장문과 같은 형식의 문은 찾아볼 수 없다. 창덕궁만의 독특한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경복궁은 정문, 중문, 전문, 정전, 편전, 침전을 주축에 맞춰 일직선으로 배치했기 때문에 따로 침전 영역만 가릴 목적의 담장이 필요하지 않았다. 하지만 창덕궁은 주축을 설정하지 않고 지형에 맞춰 각각의 전각을 배치했다. 진선문(進善門)을 통과해 정전의 전문인 인정문에 진입하면 정면에 창덕궁의 침전 영역이 노출된다. 따라서 이를 시각적으로 가릴 담장이 필요했고, 이곳에 출입을 위한 문을 설치했다. 1505년(연산군 11)에는 숙장문 안쪽이 대내(大內)이기 때문에 숙장문 역시 엄숙해야 한다고 하며 문밖에 창, 칼, 살대로 만든 방어 시설을 설치하라고 지시했다(『연산군일기』 11년 9월 16일). 일반적인 상황을 기록한 것은 아니지만 숙장문의 용도를 확인할 수 있다.
사료에서 숙장문은 대내와 외부를 오갈 때 사용하는 출궁로(出宮路)로 가장 많이 등장한다. 왕이 창덕궁 바깥으로 나갈 경우에 협양문(協陽門)에서부터 숙장문까지는 여(輿)를 타고 이동하고, 숙장문 강여소(降輿所)에 이르면 여에서 내려 연(輦)으로 갈아타고 외부로 나갔다(『연산군일기』 2년 11월 17일). 고종 때에는 협양문에서 연을 탔으며, 창덕궁 바깥이 아닌 궁궐 내부로 이동할 때에는 여만 타고 이동했다. 인정전(仁政殿)에서 진하를 받거나 향축을 친전할 때 등 인정전에 출입하는 문로도 숙장문을 통과했다. 왕이 숙장문을 통과할 때에는 어칸을 통해 출입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하지만 『조선왕조실록』과 『승정원일기』의 기록 중에서 왕이 숙장문 동협(東夾), 즉 동쪽 협문을 이용한 경우도 찾아볼 수 있다. 대표적인 사례가 1748년(영조 24)의 기록인데 이때 숙종의 어진을 모사한 일이 있다(『영조실록』 24년 2월 25일). 어진의 모사를 마친 다음 숙종의 어진을 영희전(永禧殿)으로 이안하는 의식이 치러졌다. 의식의 주인공이 선왕이기 때문에 어진이 어칸을 이용했다. 대신 왕은 반차를 낮춰서 동협을 이용했고, 세자는 서협을 이용했다.
창덕궁에서 왕의 즉위 의식이 치러질 때도 숙장문을 이용했다. 즉위 의식은 빈전에서 시작해서 인정문에서 치러졌다. 세자가 빈전에서 나와 숙장문의 동협, 즉 동쪽 협문을 통과해 인정문에 나아갔다. 아직 왕의 신분이 아니기 때문에 동협을 통과했다. 인정문에서 즉위의식을 마친 다음에는 인정전의 어로를 통해 인정전에 올랐으며, 이후 다시 빈전으로 나아갔다. 인정문에서 즉위를 마친 다음에는 어로를 이용하였다.
엄한 죄를 지은 죄인을 왕이 직접 국문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친국(親鞫)이라고 한다. 창덕궁에서 친국을 실시할 경우 숙장문 밖에서 진행했다. 『은대편고(銀臺便攷)』「형방고(刑房攷)」 친국조에 따르면 경희궁은 금상문(金商門), 창덕궁은 숙장문, 창경궁은 내사복시(內司僕寺)에서 친국을 행하였으며 가끔 특별한 지시에 의해 금위영(禁衛營)에서 실시하였다. 친국이 진행될 때 죄인들은 궁궐 밖에 대기하고 있다가 창덕궁은 단봉문(丹鳳門), 창경궁은 통화문(通化門), 경희궁은 흥원문(興元門)을 통해 궁궐 안쪽으로 이송되었다. 숙장문과 관련한 『조선왕조실록』의 기록에서 친국이 가장 자주 등장한 데에는 이런 까닭이 있다. 창덕궁에서 숙장문 외에 내병조에서 친국을 진행한 경우도 있다.
오늘날의 숙장문은 1999년에 복원한 것이다. 원래의 숙장문이 언제 훼철됐는지는 명확히 알 수 없다. 다만 순종이 즉위한 이후 창덕궁을 사용하면서 자동차가 다닐 수 있도록 숙장문과 진선문을 철거한 것으로 알려졌다. 『승정원일기』에서 자동차 즉 어차(御車)가 등장한 것은 1907년(융희 1) 10월 10일이다. 따라서 1907년 인근에 진선문과 숙장문이 철거된 것으로 여겨진다.
참고문헌
-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 『궁궐지(宮闕誌)』
- 『은대편고(銀臺便攷)』
- 그림1_00017950_「동궐도」, 숙장문 부분, 고려대학교 박물관 소장.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