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산진(方山鎭)"의 두 판 사이의 차이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XML 가져오기)
 
(차이 없음)

2017년 12월 9일 (토) 22:54 기준 최신판



조선시대 평안도 의주군에 설치하여 만호가 관장하던 진보.

개설

방산진은 평안도 강변(江邊) 7읍(邑) 중 하나인 의주부에 설치되었던 군사시설이다. 강변 7읍은 압록강 이북으로부터 이민족의 침입을 일차적으로 방어하는 군사적 요충지였다. 그중에서도 의주부는 압록강의 하류 지점에 위치하여 적의 동태를 파악하고 불시 침입에 대비하는 역할을 수행하였다. 또한 의주부는 중국과 조선의 사신들이 압록강을 건너 오가는 길에 위치하여 군사적·외교적 중요성이 매우 높은 지역이었다. 『여지도서』에 따르면 이미 18세기 초반 의주부에는 8개의 진보가 촘촘하게 배치되어 있었다. 방산진은 의주부에서 압록강 상류 지역에 위치하여 방어체제를 구축하였다.

위치 및 용도

방산진은 평안도 의주부에서 동북쪽으로 61리(약 24㎞) 떨어진 압록강 변에 위치하였다. 의주부는 압록강 하류에 위치하여 중국과의 외교적·군사적 관계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곳이었다. 겨울철에 압록강이 얼 경우 대규모 군대가 침입할 수 있었기 때문에 의주부의 압록강 변에는 방어 목적의 진보가 다수 설치되었다. 방산진을 중심으로 압록강 하류 방향으로는 옥강진(玉江鎭)·수구진(水口鎭)·건천보(乾川堡)·인산진(麟山鎭)·양하진(楊下鎭)이 배치되었고, 상류 방향으로는 청성진(淸城鎭)과 청수진(靑水鎭)이 자리하고 있었다.

방산진의 역할은 외적의 방어와 감시였다. 평안도의 방어체제는 기본적으로 순(巡)·병영(兵營)―주진관(主鎭管)·독진(獨鎭)―진보(鎭堡)―파수(把守)로 이어지는 구조였다. 여기에 지휘체계가 미치기 어렵거나 주요한 군사적 요충지에는 추가적으로 방어영(防禦營)을 설치하였다. 방산진과 같은 진보는 평안도 최전방과 내지의 요충지에서 실질적인 방어를 담당하는 군사시설이었다. 방산진은 적의 동태를 감시하고 방어하는 시설을 갖추고 있었다.

변천 및 현황

조선초기부터 의주부의 내량직사(內梁直四)·구룡연(九龍淵)·삼기오강(三岐吾江)·의순관서구자(義順館西口子)·십고동중(十庫洞中)·수구(水口)·방산(方山)·금동전동중(金同田洞中)·청수(淸水)·여타탄중(驢駝灘中)·구령(仇寧)·검동도(儉同島)·암림곶(暗林串)·미륵당(彌勒堂) 등 주요 14관방 중 하나였다[『세종실록』 지리지 평안도 의주목]. 1492년(성종 23) 방산진은 새롭게 높이 10척(약 3m), 둘레 4,085척(약 1,238m) 규모로 축성되었다(『성종실록』 23년 3월 30일). 조선전기 정비되었던 평안도 진보는 임진왜란 등의 전란을 겪으면서 크게 약화되었다. 방산진은 17세기 초반 최현(崔晛)이 작성한 『인재집』에 따르면 실제 군액이 토병(土兵)과 입방군(入防軍)을 합쳐 42명에 불과했다. 사실상 방어적 기능보다는 적의 동태를 감시하는 부분적인 역할만을 수행하고 있었던 것이다. 그럼에도 병자호란 패배 이후 청의 감시와 군사 재정상의 문제로 인해 17세기 후반까지 정상적으로 복구되지 못하였다. 방산진은 현종대부터 시작하여 숙종 즉위 후 본격화된 평안도 지역 군제 복구 사업과 함께 재정비되었다. 이 시기 복구된 평안도의 진보는 『속대전』을 기준으로 총 62곳이었다. 18세기 방산진은 군병 약 82명이 소속된 만호가 지휘하는 진보로 운영되었다.

형태

『신증동국여지승람』에 따르면 방산진은 세종대에 석성(石城)을 쌓았는데, 둘레가 8,782척(약 2,661m), 높이가 8척(약 2.4m)이었다. 안에는 7개의 우물과 군창(軍倉)이 있고, 병마첨절제사의 영아(營衙)가 있었다.

관련사건 및 일화

참고문헌

  •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 『속대전(續大典)』
  • 『여지도서(輿地圖書)』
  • 『인재집(訒齋集)』
  • 강석화, 「조선후기 평안도지역 압록강변의 방어체제」, 『한국문화』34, 규장각한국학연구소, 2004.
  • 고승희, 「조선후기 평안도지역 도로 방어체제의 정비」, 『한국문화』34, 규장각한국학연구소, 2004.
  • 이철성, 「17세기 평안도 ‘강변 7읍’의 방어체제」, 『한국사학보』13, 고려사학회, 2002.
  • 임성수, 「18세기 평안도 진보재정의 운영과 변화」, 『한국사학보』46, 고려사학회,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