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춘전(萬春殿)"의 두 판 사이의 차이
(XML 가져오기) |
(차이 없음)
|
2017년 12월 9일 (토) 22:53 기준 최신판
주요 정보 | |
---|---|
대표표제 | 만춘전 |
한글표제 | 만춘전 |
한자표제 | 萬春殿 |
상위어 | 경복궁(景福宮) |
관련어 | 사정전(思政殿), 천추전(千秋殿) |
분야 | 왕실/왕실건축/궁궐건축물 |
유형 | 건축 |
지역 | 대한민국 |
시대 | 조선 |
집필자 | 조재모 |
장소 | 경복궁 |
규모(정면/측면/칸수) | 정면 6칸/측면 4칸/총 24칸 |
양식 | 익공, 팔작 |
조선왕조실록사전 연계 | |
만춘전(萬春殿) | |
조선왕조실록 기사 연계 | |
『고종실록』 2년 9월 17일 |
경복궁 사정전의 동쪽에 있는 부속 전각.
개설
만춘전(萬春殿)은 경복궁의 편전인 사정전(思政殿)의 부속 편전으로 서쪽의 천추전(千秋殿)과 함께 짝을 이루는 건물이다.
위치 및 용도
경복궁 사정전 권역에는 중앙에 사정전, 동서쪽에 각각 만춘전, 천추전이 가로로 배치되었다. 세 전각을 둘러싸는 행각에 의해 독립된 영역을 구성하였다. 사정전은 왕의 일상적인 집무 시설로서 매일의 상참과 경연 및 하루 세 번의 강(講)이 이루어지는 곳이다.
사정전에는 온돌이 없는 데 비해 천추전과 만춘전에는 온돌방이 마련되어 사정전의 쓰임새를 보완하였다. 전각의 이름은 동쪽이 만춘, 서쪽이 천추로서 동쪽을 높이 보았다.
변천 및 현황
태조 당시의 경복궁 창건 기록에는 나오지 않고 세종대에 처음 기록이 나온다. 이로 미루어 이때 경복궁을 정비하면서 세워진 것으로 보인다. 이후 임진왜란으로 소실되었다가 고종대에 중건되었다. 중건할 때 서사관(書寫官)은 송희정(宋熙正)이었다(『고종실록』 2년 9월 17일). 천추전이 고종대의 모습을 유지하는 것과 달리, 만춘전은 한국전쟁으로 소실되었다가 근래에 다시 복원하였다.
형태
「경복궁고도(景福宮古圖)」에는 천추전과 만춘전이 사정전 영역 바깥에 행각으로 연결되어 지금과는 모습이 달랐다. 「북궐도형(北闕圖形)」에 따르면 정면 6칸, 측면 4칸으로 모두 24칸의 규모이다. 전후좌우의 1칸은 퇴칸으로 각 6자[尺] 규모이며, 다른 칸들은 8자로 이보다 크다. 정면에서 보아 중앙부 2칸은 대청이고, 좌우에 퇴칸을 포함하여 각 2칸씩을 온돌방으로 만들었다. 온돌방의 전면부 퇴칸은 마루이나 측면과 후면은 방으로 시설하였다. 기둥은 각기둥을 썼고 익공작에 겹처마 팔작지붕을 얹었다. 「북궐도형」에도 ‘무익공(無翼工)’이라 기록되었다. 지붕에는 양상도회하지 않아 사정전과 위계상 차별을 두었다. 전면 중앙의 대청이 2칸이라 계단을 중앙에 둘 수 없어 남측 칸에 맞춰 치우쳐 설치하였다. 뒷마당에는 온돌과 연결된 2개의 굴뚝이 있다.
참고문헌
- 「경복궁고도(景福宮古圖)」「경복궁배치도(景福宮配置圖)」「북궐도형(北闕圖形)」
- 문화재청, 『조선시대 궁궐 용어해설』, 문화재청, 2009.
- 조재모, 「조선시대 궁궐의 의례운영과 건축형식」,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3.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