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루원기(待漏院記)"의 두 판 사이의 차이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XML 가져오기)
 
(차이 없음)

2017년 12월 9일 (토) 21:52 기준 최신판



조선전기에 사역원의 몽학에서 사용한 몽골어 교재.

개설

『대루원기(待漏院記)』는 『경국대전』「예전(禮典)」 취재(取才)조에 등장하는 16종의 몽골어 출제서 중 하나이다. 1430년(세종 12) 상정소(詳定所)에서 제학의 취재에 시험할 경서(經書)와 기예(技藝)의 수목을 정하여 아뢴 계문(啓文)에서 몽훈(蒙訓), 즉 몽골어 출제서의 첫 번째로 등장한다(『세종실록』 12년 3월 18일). 『통문관지』 「과거(科擧)」 몽학팔책(蒙學八冊) 조에도 같은 몽골어 교재의 서명이 있는 것으로 보아 조선전기에 사용하던 몽골어 학습서임을 알 수 있다.

편찬/발간 경위

송(宋)대에 같은 서명으로 편찬된 것을 원(元)대에 몽골인들이 훈몽(訓蒙) 교과서로 사용하였으며 이를 고려후기에 사역원이나 그의 전신인 통문관에서 수입하여 몽골어의 교재로 편찬하여 사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통문관지』(권2) 권장편 「과거」 몽학팔책 조에 의하면 『대루원기』는 왜란과 호란 이후에도 몽골어 학습서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통문관지』(권2) 「과거」 속(續)조, 대증광(大增廣)조의 기사에 의하면, 1737년(청나라 고종 2)부터 음의(音義)가 적합하지 않다고 폐지되었다.

서지 사항

원전이 전하지 않아 알 수 없다.

구성/내용

『대루원기』는 송대 한림학사(翰林學士)왕우칭(王禹偁)이 전날에 유명한 재상(宰相)들이 언급한 정치에 관한 이야기를 모아 놓은 책으로 훗날 정치의 귀감을 삼으려고 편찬한 것이었다. 원래 대루원(待漏院)은 이른 아침에 궁궐로 출근하는 관리들이 궁문이 열리기를 기다리던 곳으로 당(唐) 원화(元和) 연간에 설치되었다. 『대루원기』는 원의 아린첩목아(阿隣帖木兒)·홀도로(忽都魯)·도아미실(都兒迷實) 등이 몽골어로 번역하여 훈몽 교재로 사용하였다고 하나, 현재는 전해지지 않는다. 다른 몽골어 교재에 비하여 역관들에게 정치를 교육시키려는 목적으로 편찬되었다.

참고문헌

  • 정광, 『역학서 연구』, J&C, 2002.
  • 정광, 『조선시대 외국어 교육』, 김영사, 2014.
  • 한우근 외, 『역주 경국대전-주석편』,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6.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