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章記)"의 두 판 사이의 차이
sillokwiki
(XML 가져오기) |
(차이 없음)
|
2017년 12월 9일 (토) 21:52 기준 최신판
주요 정보 | |
---|---|
대표표제 | 장기 |
한글표제 | 장기 |
한자표제 | 章記 |
상위어 | 역학(譯學), 몽학(蒙學) |
관련어 | 몽학팔책(蒙學八冊), 사역원(司譯院), 몽고(蒙古), 역과(譯科) |
분야 | 정치/인사/선발 |
유형 | 문헌 |
집필자 | 정광 |
저편자 | 미상 |
간행처 | |
간행년일 | 미상 |
권책수 | 미상 |
사용활자 | 미상 |
표제 | 章記 |
소장처 | 전하지 않음 |
조선왕조실록사전 연계 | |
장기(章記) | |
조선왕조실록 기사 연계 | |
『세종실록』 12년 3월 18일 |
조선전기에 사역원의 몽학에서 사용한 몽골어 교재.
개설
『장기(章記)』는 1430년(세종 12) 상정소(詳定所)에서 제학(諸學)의 취재에 출제서를 정하여 보고한 계문(啓文)(『세종실록』 12년 3월 18일)에 몽골어 역관의 출제서로 등재되었고, 또 『경국대전』「예전(禮典)」 역과몽학조에 초시의 출제서로 기록되어 있어서 조선전기에 몽골어 학습 교재였음을 알 수 있다. 『통문관지』권2 「과거(科擧)」 몽학팔책(蒙學八冊)조에 열거된 16종의 몽골어 교재에도 이 책이 들어 있었다. 그러나 현전하는 원전이 없어 그 내용은 분명하지 않다.
편찬/발간 경위
‘장기’는 중세 몽골어 Janngi를 한자로 전사한 것으로, ‘소식[News]’이라는 뜻을 담고 있다. 주로 황제가 새롭게 내린 성지(聖旨)를 모아서 관리나 아동의 교재로 사용하던 것을 고려후기에 통문관이나 사역원에서 수입하여 몽학서로 편찬한 것으로 추정된다. 왜란(倭亂)과 호란(胡亂)을 거치면서 이 몽학 교재는 사용하지 않게 되었다.
서지 사항
원전이 전하지 않는다.
구성/내용
황제의 성지를 바탕으로 하여 생도들로 하여금 제국(帝國)에 대한 충성과 복종을 교육할 목적으로 편찬한 교재로 보인다.
참고문헌
- 정광, 『역학서 연구』, J&C, 2002.
- 정광, 『조선시대 외국어 교육』, 김영사, 2014.
- 한우근 외, 『역주 경국대전』(주석편),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6.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