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당대(春塘臺)"의 두 판 사이의 차이
(XML 가져오기) |
(차이 없음)
|
2017년 12월 9일 (토) 21:20 기준 최신판
주요 정보 | |
---|---|
대표표제 | 춘당대 |
한글표제 | 춘당대 |
한자표제 | 春塘臺 |
상위어 | 창경궁(昌慶宮), 창덕궁(昌德宮) |
동의어 | 춘대(春臺) |
관련어 | 과거(科擧), 군사훈련(軍事訓鍊), 기우제(祈雨祭), 동궐(東闕), 망배례(望拜禮), 서총대(瑞葱臺), 열무(閱武), 영화당(暎花堂), 후원(後苑) |
분야 | 왕실/왕실건축/궁궐건축물 |
유형 | 건축·능·원·묘 |
지역 | 대한민국 |
시대 | 조선 |
집필자 | 조옥연 |
장소 | 서울특별시 창덕궁 후원 |
관련 인물 | 숙종 |
조선왕조실록사전 연계 | |
춘당대(春塘臺) | |
조선왕조실록 기사 연계 | |
『연산군일기』 9년 9월 10일, 『중종실록』 23년 8월 20일, 『성종실록』 19년 윤1월 22일 |
창덕궁 후원 안에 있는 넓은 석대.
개설
서총대(瑞蔥臺)와 더불어 궁궐 후원 안의 공터에 쌓은 석대이다. 서총대는 연산군대에 조성되고 이름이 붙어 분명한 조성 연대가 나와 있다. 그러나 춘당대는 조성 연대를 알 수 없으며 조선초기에 이미 조성되었고 널리 쓰였던 장소인 것으로 보인다. 1503년(연산군 9)에 후원 춘당대의 돌을 갈고 고쳐 쌓으라는 전교를 내렸다(『연산군일기』 9년 9월 10일). 중종은 하교를 내려, 성종대에는 물론 이전 조종조에서도 후원 춘당대에서 종친과 더불어 잔치를 벌인 전례가 있으니 춘당대 진연을 시행하라고 하였다(『중종실록』 23년 8월 20일). 춘당대는 종친, 신하 등과 잔치하는 곳임은 물론 선비를 시험 보고 무사를 사열하는 곳이기도 하다.
위치 및 용도
춘당대는 「동궐도(東闕圖)」상에서 규장각(奎章閣)·주합루(宙合樓) 남쪽에 있는 부용지 연못가 동쪽의 영화당(暎花堂) 앞마당처럼 보인다. 다시 말해 영화당은 궁궐의 여느 건물과 달리 동쪽을 바라보고 서 있는데, 그 동쪽에 펼쳐진 넓은 공터가 바로 춘당대이다. 춘당대는 대지의 격차가 높아 마치 축대 위에 서 있는 듯 보인다. 그 아래, 즉 동쪽 아래에 연못을 두고 있고 춘당대 터로 보이는 영역 안 북쪽에도 네모난 모양의 연못이 하나 더 조성되어 있다. 둘 중 어느 것을 명확히 춘당이라 했는지는 알 수 없다. 춘당대의 주변에 이외에도 많은 연못이 있었던 것으로 보아, 기우제를 지내는 장소로도 쓰였다고 보인다.
변천 및 현황
조선초기부터 조성되었던 것 같으나 정확한 조성 연대는 알 수 없다. 현재도 창덕궁 후원에 남아 있다.
형태
넓은 석대이다.
관련사건 및 일화
연산군 이전에는 이 너른 마당을 ‘춘대’라고도 불렀던 듯하다. 성종시기, 사직단에 제사를 올리고 돌아오는 성종의 행차를 맞이하며 한 신하가 가요를 지어 바쳤다. 그 내용은, ‘왕의 수레가 돌아오는 것을 보며 상서로운 그림을 받들어 올리니 선녀가 옹위하는 듯하고 자신들은 태평성대 도읍에서 노닐고 춘대에서 쉰다.’라는 것이었다(『성종실록』 19년 윤1월 22일). 효종대인 1654년(효종 5)에는 춘당대에서 세자에게 농사의 어려움을 보고 깨닫게 하였다면서, 춘당대 곁 연못가에서 농사를 짓기도 하였다. 영·정조 시기에는 춘당대에서 명나라의 신종황제(神宗皇帝)에게 망배례를 행하였다. 춘당대는 훈련을 마친 군사들과 과거시험에 당선된 유생들에게 식당을 열어 음식을 베풀고 위로하였던 장소이기도 하다.
참고문헌
-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 『일성록(日省錄)』
- 『궁궐지(宮闕志)』「동궐도(東闕圖)」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