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부천(高傅川)"의 두 판 사이의 차이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XML 가져오기)
 
(차이 없음)

2018년 1월 8일 (월) 15:51 기준 최신판




총론

[1578년(선조 11)~1636년(인조 14) = 59세.] 조선 중기 광해군~인조 때의 문신. 행직(行職)은 사헌부 장령(掌令)이다. 정사(靖社) 원종공신이다. 자(字)는 군섭(君涉)이고, 호(號)는 월봉(月峰)이다. 본관은 장흥(長興)이고, 거주지는 광주(光州)의 창평(昌平)과 서울[京]이다. 아버지는 의병장 고인후(高因厚)이고, 어머니 함평이씨(咸平李氏)는 이경(李璥)의 딸이다. 생부는 고처후(高處厚)이다.

광해군 시대 활동

1605년(선조 38) 사마시(司馬試)에 진사(進士)로 합격하였는데, 나이가 28세였다.[<사마방목>] 성균관 유생으로 있을 때, 이이첨(李爾瞻)이 폐모론을 제기하자 정택뢰(鄭澤雷) 등과 함께 그 부당함을 상소하였다.

1615년(광해군 7) 알성(謁聖) 문과의 병과(丙科)로 급제하였는데, 나이가 38세였다.[<문과방목>]

1616년(광해군 8) 교서관 부정자(副正字)에 보임되었다가, 병조 좌랑(佐郞)에 임명되었다.

1620년(광해군 12) 주문사(奏聞使)의 서장관(書狀官)이 되어 표류해 온 중국인을 북경까지 호송하였다.

인조 시대 활동

1624년(인조 2) 고향 창평(昌平)에 있을 때 이괄(李适)의 난이 일어났다는 소문을 듣고 의병을 모집하여 태인(泰仁)에 이르렀으나, 이괄이 이미 피살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고향으로 되돌아갔다. 사간원 정언(正言)에 임명되었으며, 1625년(인조 3) 정사(靖社) 원종공신에 녹훈되었다.

1627년(인조 5) 정묘호란이 일어나자, 김장생(金長生)의 종사관으로서 피난 가는 동궁을 호위하였다. 이후 세자시강원 필선(弼善)⋅성균관 사예(司藝)⋅사헌부 장령(掌令) 등을 역임하였다. 저서로 『월봉집(月峯集)』 9권이 있다.

성품과 일화

학문이 고매하고 천품이 겸손하면서도 의리에 강직하였다. 그가 죽은 후, 김상용(金尙容)·장유(張維)·최명길(崔鳴吉)·이상형(李尙馨) 등 당시 명공석학들의 많은 만장이 답지하였다.

묘소와 후손

묘소는 장성(長城)의 회조양(朝會陽)에 있다.

첫째 부인 평강채씨(平康蔡氏)는 채충익(蔡忠益)의 딸이다. 둘째 부인 광산김씨(光山金氏)는 김신(金信)의 딸인데, 슬하에 1남을 두었다. 셋째 부인 풍천노씨(豊川盧氏)는 노선(盧宣)의 딸인데, 자녀는 1남 1녀를 두었다. 장남은 고두강(高斗綱)이고, 차남은 고두명(高斗明)이다. 장녀는 영장(營將) 이함(李咸)에게 시집갔다.

참고문헌

  • 『광해군일기(光海君日記)』
  • 『인조실록(仁祖實錄)』
  •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인조]
  • 『국조방목(國朝榜目)』
  • 『사마방목(司馬榜目)』
  • 『가휴집(可畦集)』
  • 『계곡집(谿谷集)』
  • 『광해조일기(光海朝日記)』
  • 『구봉집(九峯集)』
  • 『금암집(琴巖集)』
  • 『다산집(茶山集)』
  • 『동명집(東溟集)』
  • 『묵재일기(黙齋日記)』
  • 『묵수당집(嘿守堂集)』
  •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 『월봉집(月峯集)』
  • 『월사집(月沙集)』
  • 『응천일록(凝川日錄)』
  • 『이계집(耳溪集)』
  • 『추담집(秋潭集)』