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봉례(高鳳禮)"의 두 판 사이의 차이
sillokwiki
(XML 가져오기) |
(차이 없음)
|
2018년 1월 8일 (월) 15:51 기준 최신판
주요 정보 | |
---|---|
대표표제 | 고봉례 |
한글표제 | 고봉례 |
한자표제 | 高鳳禮 |
분야 | 인물 |
유형 | 무신 |
지역 | 한국 |
시대 | 고려~조선 |
왕대 | 우왕~태종 |
집필자 | 이현숙 |
봉작 | 제주(濟州) 도주관(都州官) 좌도지(左都知) |
출신 | 양반 |
성별 | 남자 |
사망 | 1411년(태종 11) |
본관 | 제주(濟州) |
주거지 | 제주 |
조부 | 고순원(高順元) |
부 | 고신걸(高臣傑); 탐라성주(耽羅星主) |
형제 | (형) 고봉인(高鳳仁) (형) 고봉의(高鳳義) (동생) 고봉지(高鳳智); 상호군(上護軍) |
자녀 | (1자) 고상온(高尙溫); 제주 도주관 좌도지(左都知) |
조선왕조실록사전 연계 | |
고봉례(高鳳禮) |
총론
[생년미상∼1411년(태종 11).] 고려 말~조선 전기 우왕~태종 때의 무신. 행직(行職)은 우군동지총제(右軍同知摠制)이고, 봉작(封爵)은 제주 도주관 좌도지(左都知)이다. 본관은 제주이고, 거주지도 제주이다. 아버지는 탐라성주(耽羅星主) 고신걸(高臣傑)이다.
우왕 시대 활동
고려 말에 탐라는 말을 조공(朝貢)하는 일로 자주 모반하였다.
1386년(우왕 12) 조정에서 전의부정(典醫副正)이행(李行)과 대호군진여의(陳如儀)를 파견하여 이를 회유하였는데, 이때 성주의 아들인 고봉례(高鳳禮)를 인질로 잡아 개경에 초치하였다.
1388년(우왕 14) 제주축마 겸 안무별감(濟州畜馬兼安撫別監)에 임명 되었고, 곧 제주도로 귀환하였다.
태조 시대 활동
1394년(태조 3) 말 1백 필을 바치자, 조정에서 쌀 1백 섬을 하사하였다.
태종 시대 활동
1402년(태종 2) 신라에서 내려 준 성주(星主)라는 작호가 분수에 맞지 않는다며, 조정에 개정하여 줄 것을 청하자, 제주 도주관 좌도지(左都知)로 개칭하였다.
1407년(태종 7) 우군 동지총제(右軍同知摠制)에 임명하였다.
1410년(태종 10) 제주 안무사(按撫使)가 되어 말 100필을 바쳤다.
1411년(태종 11) 11월 29일 병으로 서울에서 세상을 떠났다.
후손
아들은 제주 도주관 좌도지(左都知)의 직을 승습한 고상온(高尙溫)이다.
참고문헌
- 『태조실록(太祖實錄)』
- 『태종실록(太宗實錄)』
- 『세종실록(世宗實錄)』
- 『고려사(高麗史)』
-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 『기우집(騎牛集)』
- 『동사강목(東史綱目)』
-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 『양와집(養窩集)』
-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 『용헌집(容軒集)』