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순옹주(和順翁主)"의 두 판 사이의 차이
(XML 가져오기) |
(차이 없음)
|
2017년 12월 22일 (금) 01:46 판
주요 정보 | |
---|---|
대표표제 | 화순옹주 |
한글표제 | 화순옹주 |
한자표제 | 和順翁主 |
분야 | 왕족/옹주 |
유형 | 인물 |
지역 | 한국 |
시대 | 조선 |
왕대 | 숙종~영조 |
집필자 | 정주영 |
봉작 | 화순옹주(和順翁主) |
출신 | 왕족 |
성별 | 여자 |
출생 | 1720년(숙종 46) |
사망 | 1758년(영조 34) |
본관 | 전주(全州) |
주거지 | 서울 |
묘소소재지 | 충청남도 예산군 신암면 용궁리 |
증조부 | 현종(顯宗) |
조부 | 숙종(肅宗) |
부 | 영조(英祖) |
모_외조 | 이정빈(李靖嬪) |
형제 | (오라버니)경의군(敬義君) (언니)화억옹주(和憶翁主) |
자녀 | (양자)김이주(金頤柱) |
조선왕조실록사전 연계 | |
화순옹주(和順翁主) | |
조선왕조실록 기사 연계 | |
『영조실록』 1년 2월 18일, 『영조실록』 8년 10월 14일, 『영조실록』 8년 11월 29일, 『영조실록』 34년 1월 4일, 『영조실록』 34년 1월 8일, 『영조실록』 34년 1월 17일, 『영조실록』 34년 1월 14일, 『영조실록』 34년 1월 17일, 『영조실록』 34년 1월 17일, 『정조실록』 7년 2월 6일 |
총론
[1720년(숙종 46)~1758년(영조 34) = 39세]. 조선의 제 21대 임금인 영조(英祖)의 딸로 옹주. 본관은 전주(全州)이고, 거주지는 서울이다. 어머니는 이준철(李竣哲)의 딸인 이정빈(李靖嬪)이다. 친오라버니는 효장세자(孝章世子)로 더 잘 알려져 있는 경의군(敬義君)이고, 친언니는 화억옹주(和憶翁主)이다. 부마는 경주 김씨(慶州金氏)월성위(月城尉)김한신(金漢藎)이다.
출생과 혼인생활
1720년(숙종 46) 화순옹주(和順翁主)는 영조와 이정빈의 1남 2녀 가운데 차녀로 태어났다. 어머니 이정빈은 동궁전 나인으로 있다가 영조가 연잉군(延礽君)이었을 때에 영조의 후궁이 되었으나, 화순옹주가 태어난 이듬해에 세상을 떠났다. 게다가 언니 화억옹주도 태어난 지 얼마 되지 않아 세상을 떠났으므로 화순옹주는 실질적인 장녀로서 영조로부터 많은 사랑을 받으며 자랐다. 그러다가 6세가 된 1725년(영조 1) 화순옹주로 봉해졌다.(『영조실록』 1년 2월 18일)
1732년(영조 8) 영조는 화순옹주의 가례(嘉禮)를 위해 가례청(嘉禮廳)을 설치하였다.(『영조실록』 8년 10월 14일) 그리고 그로부터 한 달 후 화순옹주는 이조 판서(判書)김흥경(金興慶)의 아들 김한신(金漢藎)과 결혼하였는데, 부마 김한신은 월성위로 봉해졌다.(『영조실록』 8년 11월 29일)
1758년(영조 34) 부마 김한신이 병으로 세상을 떠나자, 영조는 슬퍼하며 현종(顯宗)의 딸인 명안공주(明安公主)의 부마 해창위(海昌尉)오태주(吳泰周)의 예(例)에 따라 김한신의 장례를 거행하도록 하였다.(『영조실록』 34년 1월 4일) 그런데 화순옹주는 부마 김한신이 세상을 떠난 후 7일 동안 곡기를 끊으며 부마를 따라가려 하였고, 걱정이 된 영조는 직접 화순옹주 집에 거둥하여 화순옹주를 달랬다. 이에 화순옹주는 약을 먹어보려 하였으나 곧 토하고 말았다.(『영조실록』 34년 1월 8일),(『영조실록』 34년 1월 17일) 이후 화순옹주는 계속해서 곡기를 끊었으며, 그렇게 10일째 되던 날 영조는 결국 병이 나서 가망이 없다는 소식을 듣게 되었다.(『영조실록』 34년 1월 14일) 그리고 그로부터 사흘 후 부마 김한신이 세상을 떠난 지 13일 만에 화순옹주 또한 세상을 떠났다.(『영조실록』 34년 1월 17일)
영조가 화순옹주의 상(喪)에 다녀간 후 예조 판서이익정(李益炡)이 화순옹주를 정려(旌閭)할 것을 청하였다. 이에 영조는 자식으로서 아비의 말을 따르지 않고 마침내 굶어 죽었으니 효(孝)에 모자람이 있고, 아비가 되어 자식을 정려하는 것은 자손에게 법을 주는 도리가 아니며 또한 뒤에 폐단이 될 수 있다며 허락하지 않았다.(『영조실록』 34년 1월 17일)
묘소 및 후손
화순옹주의 묘소는 충청남도 예산군 신암면 용궁리에 부마 김한신과 합장되어 있다. 정조(正祖)는 화순옹주의 정절을 기리기 위하여 옹주를 열녀로 봉하고, 열녀정문을 세웠다.(『정조실록』 7년 2월 6일) 화순옹주의 열녀정문은 ‘화순옹주홍문(和順翁主紅門)’이며 1976년 충남유형문화재 제 45호로 지정되었다.
화순옹주는 부마 김한신과의 사이에 자식이 없었으므로, 부마 김한신의 형인 김한정(金漢禎)의 3남 김이주(金頤柱)를 양자로 들였다. 김이주는 해평 윤씨(海平尹氏)윤득화(尹得和)의 딸과 결혼하여 4남 2녀를 두었는데, 4남 김노경(金魯敬)의 아들이 추사(秋史)김정희(金正喜)이다.
참고문헌
- 『영조실록(英祖實錄)』
- 『정조실록(正祖實錄)』
-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 『일성록(日省錄)』
- 『선원계보기략(璿源系譜記略)』
- 『화순옹주가례등록(和順翁主嘉禮謄錄)』
- 『지수재집(知守齋集)』
- 『홍재전서(弘齋全書)』
- 지두환, 『영조대왕과 친인척』, 역사문화, 2009.
- 박주, 『한국사상과 문화』64, 「영조의 딸 열녀 화순옹주의 삶과 죽음」, 한국사상문화학회,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