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덕성(李德成)"의 두 판 사이의 차이
(XML 가져오기) |
(차이 없음)
|
2017년 12월 22일 (금) 01:45 판
주요 정보 | |
---|---|
대표표제 | 이덕성 |
한글표제 | 이덕성 |
한자표제 | 李德成 |
분야 | 인물 |
유형 | 문신 |
지역 | 한국 |
시대 | 조선 |
왕대 | 숙종 |
집필자 | 이기순 |
자 | 득보(得甫) |
호 | 반곡(盤谷), 지비자(知非子) |
출신 | 양반 |
성별 | 남자 |
출생 | 1655년(효종 6) 5월 7일 |
사망 | 1704년(숙종 30) 5월 9일 |
본관 | 전주(全州) |
주거지 | 서울 |
묘소소재지 | 충청도 대흥(大興) 팔봉산(八峰山)의 언덕 |
증조부 | 이유간(李惟侃) |
조부 | 이경직(李景稷) |
부 | 이후영(李後英) |
모_외조 | 창녕조씨(昌寧曺氏); 조문수(曺文秀)의 딸 |
형제 | (형)이익성(李翼成) |
처_장인 | 남양홍씨(南陽洪氏); 홍석귀(洪錫龜)의 딸 →(자녀) 3남 2녀 |
자녀 | (1자)이진원(李眞源) (2자)이진순(李眞淳) (3자)이진수(李眞洙) (1녀)서명순(徐命純)의 처 (2녀)윤동보(尹東輔)의 처 (서자)이진실(李眞實) (서녀)한의조(韓儀朝)의 처 |
조선왕조실록사전 연계 | |
이덕성(李德成) | |
조선왕조실록 기사 연계 | |
『숙종실록』 10년 8월 6일 |
총론
[1655년(효종 6)∼1704년(숙종 30) = 50세]. 조선 후기 숙종 때의 문신. 서예가. 행직(行職)은 동부승지(同副承旨)·예조 참의(禮曹參議)·충청도 감사(監司)이고, 증직(贈職)은 이조 참판(吏曹參判)이다. 자(字)는 득보(得甫)이고, 호(號)는 반곡(盤谷)·지비자(知非子)이다. 본관은 전주(全州)이고, 거주지는 서울이다. 아버지는 이조 참판에 증직된 이후영(李後英)이고, 어머니 창녕조씨(昌寧曺氏)는 공조 참판 조문수(曺文秀)의 딸이다. 덕천군(德泉君) 이후생(李厚生: 정종의 서출 제 10왕자)의 8대손이고, 호조 판서이경직(李景稷: 영의정 이경석의 형)의 손자이다.
28세에 과거에 합격한 후, 춘추관 사관(史官)이 되어 『현종실록(顯宗實錄)』 편찬에 참여하였다. 성균관 전적(典籍)이 되었다가, 공조·병조의 좌랑(佐郞)을 거쳐, 사헌부 지평(持平)이 되었다. 사간원 정언(正言)이 되어, 직언(直言)하다가, 숙종의 노여움을 사서 순안 현령(順安縣令)으로 좌천되었다. 그 후, 병조 정랑이 되었다가, 1687년 동래 부사(東萊府使)가 되어 잠상(潛商)의 밀무역을 엄금하였다. <기사환국(己巳換局)>으로 남인이 집권하면서 서인이 쫓겨나자, 관직을 사임하고 은거하였다. <갑술옥사(甲戌獄事)> 이후에 해주 목사(海州牧使)·병조참지(兵曹參知)·의주 부윤(義州府尹)·장례원 판결사(判決事) 등을 역임하였다. 1696년 황해도 관찰사(觀察使)가 되었다가, 동부승지(同副承旨)로 발탁되었고, 동지부사(冬至副使)가 되어 청나라 연경(燕京)에 다녀왔다. 그 뒤에 예조 참의·형조 참의를 거쳐, 강원도 관찰사가 되었다. 1704년 충청도 관찰사가 되었으나, 재임 중에 청주의 감영(監營)에서 죽었다. 글씨에 능하였는데, 태종의 「헌릉(獻陵) 신도비문(神道碑文)」 등이 남아 있다.
숙종 시대 활동
1678년(숙종 4) 사마시(司馬試) 진사과(進士科)로 합격하였는데, 나이가 24세였다.[『사마방목』] 1682년(숙종 8) 춘당대시(春塘臺試)에 병과(丙科)로 급제하였는데, 그때 나이가 28세였다.[『문과방목』] 승문원 부정자(副正字)에 보임되어, 춘추관 사관(史官)을 겸임하였다. 실록청(實錄廳) 기사관(記事官)이 되어 『현종실록(顯宗實錄)』 편찬에 참여하였다. 그 후, 의정부 사록(司錄)으로 전임되었다가, 승정원 가주서(假注書)에 임명되었는데, 춘추관 기주관(記注官)으로서 치밀하고 민첩하게 기사를 주석하였으므로 주목을 받았다.
1683년(숙종 9) 의금부 도사(都事)에 임명되었는데, 숙종의 첫 번째 왕비 인경왕후(仁敬王后)김씨(金氏: 김만기의 딸)가 돌아가자, 국장(國葬)의 역사를 감독하였다. 그 공으로 성균관 전적(典籍)으로 승진하였고, 공조와 병조의 좌랑(佐郞)을 거쳐, 사헌부 지평(持平)이 되었다. 1684년(숙종 10) 지평이덕성(李德成)은 “이번 칙사(勅使)의 행차가 이르는 곳마다 우리의 부채를 요구하였는데, 평안도 순안 현령(順安縣令)이공권(李公權)이 특별히 정묘(精妙)하게 부채를 만들어 그 요구에 응하였으니, 뒷날에 폐단이 있을 뿐만 아니라, 사대부(士大夫)로서 염치없는 일이니, 파직하소서.”하고 아뢰었다. 숙종이 본도(本道)에서 조사하도록 명하였는데, 감사가 숙천(肅川)의 일이고 순안(順安)의 일이 아니라고 보고하였다.(『숙종실록』 10년 8월 6일) 그 후 사간원 정언(正言)이 되었을 때, 이조 판서이익(李翊)을 구원하려고 적극 변론하다가, 숙종의 노여움을 사서, 평안도 순안 현령(順安縣令)으로 좌천되었다. 1685년(숙종 11) 병조정랑(兵曹正郞)에 임명되었다가, 다시 사간원 정언(正言)으로 전임되었다. 이때 숙종이 김익훈(金益勳: 영의정 김육의 손자)을 무고한 김중하(金重夏)를 용서하였는데, 양사(兩司)의 대간(臺諫)이 김중하를 처벌할 것을 주장하다가, 숙종의 엄한 비지(批旨)를 받고 모두 체직되었다.
1686년(숙종 12) 다시 사헌부 지평(持平)이 되었을 때, 그는 숙종에게 밀무역을 하는 역관(譯官)들을 사행(使行)의 명단에서 제외시키고, 금중(禁中)에 괴석(怪石)을 세우려고 동교(東郊)에서 돌을 뜨는 것을 중단시키며, 금중에서 영선(營繕)을 하려고 재목을 구하는 일을 중지시킬 것 등을 청하였으나, 임금이 모두 받아들이지 않았다. 그 뒤에 병조 정랑(兵曹正郞)이 되었다가, 외직으로 나아가 경기 도사(都事)가 되었다. 1688년(숙종 14) 인조의 계비(繼妃)인 자의 대비(慈懿大妃)조씨(趙氏)가 돌아가자, 그 옥책(玉冊)을 개조하게 되었다. 이덕성이 왕명을 받고 옥책문을 써서 바치자, 숙종은 그의 필법(筆法)이 절묘하다고 칭찬하며 정3품상 통정대부(通政大夫)로 승품하고, 사복시 정(司僕寺正)에 임명하였다. 그 후 여러 번 참판(參判)에 추천되었으나, 숙종이 번번이 이덕성을 낙점하지 않다가, 동래 부사(東萊府使)가 결원이 되자, 특별히 그를 발탁해 임명하며 “그대는 강직하고 풍채가 좋으니, 왜인들이 두려워할 것이다.”라고 하였다. 이때 왜관(倭館)의 왜인들이 동래의 잠상(潛商)들과 밀매(密賣)를 많이 하였으나 유통되는 물화(物貨)를 간교하게 숨겼으므로 적발해낼 수 없었다. 그러나 동래 부사이덕성이 밀무역을 철저히 적발하여 처벌하자, 왜인들이 두려워하였다.
1689년(숙종 15)에 <기사환국(己巳換局)>으로 장희빈(張禧嬪)을 지지하던 남인이 집권하고, 이를 반대하던 서인이 축출되자, 동래 부사이덕성은 병을 핑계로 사임하고 집으로 돌아왔다. 그 뒤에 해주 목사(海州牧使)에 임명되었는데, 마지못하여 잠간 부임하였다가, 곧 사임하고 집으로 돌아왔다. 1694년(숙종 20) <갑술환국(甲戌換局)>이 일어나 서인의 소론이 집권하고, 남인이 몰락하였다. 이 일로 장희빈이 쫓겨나고 인현왕후(仁顯王后)가 복위하게 되었는데, 재상들이 이덕성에게 글을 보내 그 복위절차를 묻자, 그는 “온 나라 신민들이 모두 구름에 가려있던 해와 달이 다시 밝아지는 것을 우러러 보는데, 다시 무슨 절차를 논의할 것이 있겠는가.” 하고 즉시 복위할 것을 주장하니, 듣는 사람들이 훌륭하게 여겼다. 곧 병조 참지(兵曹參知)에 임명되었는데, 숙종이 손수 지은 『소학(小學)』의 서문(序文)을 써서 바쳤으며, 태종의 신도비문(神道碑文)을 써서 헌릉(獻陵)에 세우자, 숙종이 호랑이 가죽과 내구마(內廐馬)를 하사하였다.
1695년(숙종 21) 외직으로 나가서 의주 부윤(義州府尹)이 되었다. 그때 흉년으로 백성들이 굶주리자, 그는 강화도의 진휼미(軫恤米)를 풀어 기민(饑民)들을 구제하였는데, 죽어가는 수만 명의 목숨을 살려냈다. 그 후 장례원(掌隷院) 판결사(判決事)가 되었다가, 병조 참의(兵曹參議)로 전임되었고, 다시 외직으로 나가서 황해도 관찰사(觀察使)가 되었는데, 인사를 공정하고 엄격하게 시행하였다. 그 뒤에 승정원 동부승지(同副承旨)에 발탁되었으나, 재상 조형기(趙亨期)가 청나라에서 쌀을 받을 때, 비굴할 정도로 사례(謝禮)를 행하여 나라의 체통을 손상시켰다고 논박하였다가 파직되었다. 1698년(숙종 24) 예조 참의가 되었다. 그는 노산군(魯山君)의 묘호를 단종(端宗)으로 복위(復位)할 때, “이 일은 지극히 중대하니 마땅히 백관으로 하여금 조정에서 논의하게 해야 합니다.” 라고 상소하였는데, 숙종이 이를 받아들였다. 동지사(冬至使)의 부사(副使)에 임명되어, 청나라 연경(燕京)에 갔다가 돌아왔는데, 청나라에서 금서(禁書)를 사왔다는 이유로 파직 당하였다. 그 뒤에 형조 참의가 되었다가, 외직으로 나가 전라도 무주 부사(茂朱府使)가 되었다. 이어 강원도 관찰사(觀察使)에 임명되었는데, 임기를 채우고, 내직으로 들어와 다시 판결사·형조 참의 등을 역임하였다.
그 뒤에 승지와 병조 참의에 각각 3번이나 임명되었으나 모두 병으로 사임하였다. 1704년(숙종 30) 충청도 관찰사(觀察使)에 임명되자, 병으로 사임하였으나 숙종이 윤허하지 않았다. 이덕성이 입궐(入闕)하여 숙종에게 사은숙배(謝恩肅拜)하자, 숙종은 그에게 “경은 관찰사를 여러 번 역임하였으니, 굳이 내가 신칙할 것이 무엇이 있겠는가. 오직 해상(海上)의 방어가 매우 걱정이 되니, 경은 이에 마음을 써서 소속 관리들을 독려하도록 하라.”고 유시하였다. 이때 감사이덕성은 “충청도에 있는 목장이 아니더라도 나라의 마정(馬政)을 시행할 수 있을 것이니, 청컨대, 충청도의 백성들에게 목장의 땅을 나누어 주어서 경작하도록 하소서.”하고 아뢰었으나, 임금이 윤허하지 않았다. 충청도에서는 바다와 닿아 있는 고을에 있는 옛날 목장(牧場)의 땅을 백성들에게 나누어 주어 경작하도록 허용한지 오래되었으나, 이때에 이르러 나라에서 다시 땅을 회수하여 사복시(司僕寺)에서 말을 기르는 목장으로 만들었기 때문이었다.
충청도 감사로 부임하여, 관내의 여러고을을 순시하던 이덕성은 지병이 심해지자, 청주의 감영(監營)으로 돌아왔다. 그는 사임하는 상소를 올렸는데, 그 글에 ‘살아서 금강(錦江)을 건너 서울로 가고 싶다’는 말이 있었다. 이 상소를 접한 숙종이 이조에 명하여 품처(稟處)하라고 명하였으나, 이조에서 의논하여 사임을 허락하도록 복주(覆奏)하기 전인 1704년(숙종 30) 5월 9일에 청주의 감영(監營)에서 지병으로 돌아가니, 향년 50세였다. 부음이 알려지자, 숙종이 특별히 슬퍼하고, 본도로 하여금 상사(喪事)를 돕도록 하고, 예관(禮官)을 보내 조문(弔問)하고 사제(賜祭)하였다.
그는 글씨를 잘 썼는데, 지금 태종의 『헌릉신도비(獻陵神道碑)』와 예조 참의『조한영 비(曺漢英碑)』 등이 남아 있다.
성품과 일화
어려서 민첩하고 날카로웠으나, 자라면서 자기 재능을 감추고 장엄하고 묵중하게 행동하였다.
이덕성(李德成)은 1655년(효종 6) 5월 7일, 아버지 이후영(李後英)과 어머니 창녕조씨(昌寧曺氏) 의 둘째 아들로 서울에서 태어났다. 나이 8세에 부모를 여읜 후, 그 형제자매가 숙부(叔父) 이조 판서이정영(李正英)의 집에서 자랐다. 판서이정영의 집에 참판(參判)김시진(金始振)이 놀러 온 적이 있었다. 본래 사람을 알아보는 식견이 있었던 참판김시진은 어린 이덕성의 관상을 보고 머리를 쓰다듬으며 “이 아이는 훗날에 공명(功名)을 크게 이룩할 것이다.”라고 하였다. 그러나 스스로 외로운 고아라고 생각한 어린 이덕성은 마음을 가다듬고 학문에 힘을 썼는데 일찍부터 젊은 생도들 사이에서 훌륭한 명성이 있었다.[비문]
이덕성은 숙부인 서곡(西谷)이정영(李正英)을 공손히 섬겼는데, 외방의 고을 수령관으로 나가 있을 때에도 달마다 녹봉을 쪼개 숙모(叔母)에게 보냈으며, 항상 남에게 “나를 낳아준 이는 부모이지만, 나를 길러준 이는 숙부와 숙모다.”라고 말하였다. 그는 어려서 고아가 된 것을 늘 가슴 아프게 여겼는데, 나이 많은 부모를 모시고 있는 사람을 보면 부러워하고 슬퍼하였으며, 어버이와 같은 또래의 사람을 만나면 맛있는 음식을 대접하고 예우하였다. 별검(別檢)을 지낸 이덕성의 형 이익성(李翼成)은 세칭 ‘도성 서쪽에 사는 안자(顔子: 공자의 수제자)’라고 일컬을 만큼 유명한 학자였으나, 일찍 죽었다. 이덕성은 맏형수를 어머니처럼 섬겼으나, 맏형수마저 죽자, 그 아들과 며느리를 친 아들과 친 며느리처럼 돌보았다. 만년에는 형의 집 곁에 집을 짓고 형과 형수의 제사 때마다 제수(祭需)를 모두 손수 마련하였다. 그는 자제들을 엄하게 교육하였는데, 자제들이 예복(禮服)을 입고 절하는 예를 행할 때, 조금이라도 잘못이 있으면 번번이 엄하게 꾸짖었다.
1687년(숙종 13) 동래부사(東萊府使)로 있을 때, 밤에 술을 마시다가 취기(醉氣)가 얼큰하게 오르자, 빈객(賓客)과 동료들에게 “나는 외롭게 살아온 사람으로서 나라의 두터운 은혜를 입어 큰 고을을 맡게 되었으며, 공자(孔子)의 제자 자로(子路)처럼 출세해서 진수성찬[列鼎]을 맛보는 신분이 되었으나, 옛날 거친 음식을 먹으면서도 어버이를 모시던 때가 그립다.”고 하면서 오래도록 눈물을 흘리니, 자리에 있던 사람들이 모두 그의 말에 감동해서 같이 울었다. 이덕성이 동래부사로 있을 때, 그를 길러준 숙모(叔母)가 일본산 잣을 구해서 보내 달라고 부탁하였다. 당시 숙모의 딸이 궁녀로 들어가 있었는데, 그 딸이 어머니에게 잣을 구해달라고 부탁한 것이었다. 동래부사이덕성은 딸의 부탁을 들어주고 싶은 숙모의 그 마음을 알았으나, 끝내 일본산 잣을 구해주지 못하였다. 비록 숙모에게는 야박스러운 일이었지만, 왜관(倭館)에서 밀매하는 물건을 단속하는 동래부사가 차마 스스로 법을 어길 수 없었기 때문이었다.[비문]
이덕성은 해박한 지식과 강직한 지조를 가지고 있었으므로, 사람들이 모두 그가 정승(政丞)이 될 것이라고 기대하였다. 그러나 그는 항상 강직한 태도로 나라 일을 논하였으므로 대간(臺諫)의 자리에 오래 있지 못했으며, 대사간(大司諫)에 10년 동안이나 천거되었으나, 끝내 임금의 낙점(落點)을 받지 못하였다. 간혹 특명으로 변방의 외관(外官)에 발탁되거나 천거를 받아 임명되기도 하였으나, 이것은 대체로 그가 강직한 성품을 가지고 일을 신속하게 처리하였기 때문이었다. 이덕성이 조정에 벼슬한 지 20여 년이나 되었으나, 그의 벼슬길이 불우하였으므로, 사람들이 모두 애석하게 여겼다. 그러나 본인은 벼슬을 할 만큼 하였으므로, 벼슬에서 물러나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이덕성이 충청도 청주 감영(監營)에 있을 때인 1704년(숙종 30) 정월 초하루에 자제들이 새해 아침 문안 인사를 드리자, 그는 침석(枕席)에 의지한 채 “옛날부터 벼슬에 나아가는 자는 항상 나라의 은혜에 다 보답하지 못했다고 말하는데, 늙어서 탐욕을 부리다가 벼슬에서 물러날 때를 모르면, ‘종이 울리고 날이 샜다’는 비웃음을 듣는다. 내가 금년에 만 50세가 되는데, 지금 벼슬을 그만둔다고 하더라도 평소에 품었던 뜻을 거의 이룬 셈이다. 내가 바라는 것은 너희들이 학문에 힘써서, 우리 집안의 명성을 실추시키지 않는 것이다.”라고 말하였다. 이덕성은 처음에는 호(號)를 반곡(盤谷)이라 하였는데, 나이 50세에 이르러 자기 잘못을 깨달아 반성하는 사람이라는 뜻의 ‘지비자(知非子)’로 호를 고쳤는데, 그가 그해 5월에 지병으로 돌아가자, 자손들은 이 말씀이 그의 앞날을 예견하고 남긴 마지막 말씀이라고 생각하였다.[비문]
이덕성은 본인이 문사(文詞)에 뛰어나다고 자임(自任)하는 일은 없었다. 그러나 그가 지은 문장의 구성이 정교하고 논리가 정연하였으므로, 당대의 문장가들 모두 그가 지은 시문(詩文)에 대하여 추중하고 감복하였다. 그가 만년에 살던 집의 정원은 그윽하고 조용하며 우아하고 아름다웠다. 어떤 손님이 이덕성에게 “괴석(怪石)을 모아서 쌓으면 청아한 풍치가 한층 더할 것입니다.”라고 하였으나, 그는 “내가 지방의 수령으로 있을 때, 그곳에 아름다운 돌들이 많았으나, 한 개도 가져오지 않았습니다. 내가 예전에 임금에게 궁궐 후원에 괴석을 모으는 것은 옳지 않은 일이라고 간(諫)한 적이 있었는데, 내가 지금 우리 정원에 돌을 모아 온다면 사람들이 어떻게 생각하겠습니까. 그것은 옳지 않은 일입니다.”라고 하였다.[비문]
묘소와 후손
묘소는 충청도 대흥(大興) 팔봉산(八峰山)의 언덕에 있는데, 서당(西堂)이덕수(李德壽)가 지은 묘갈명(墓碣銘)이 남아있다. 처음에 경기 과천(果川) 작현(鵲峴)의 선영(先塋)에 장사지냈다가, 나중에 대흥(大興)의 팔봉산(八峰山)으로 이장하였다.[비문] 영조 때 둘째아들 이진순(李眞淳)의 관직이 2품에 오르자, 아버지 이덕성을 추은(推恩)하여 이조 참판(吏曹參判)으로 추증하였다.
부인 남양 홍씨(南陽洪氏)는 예빈시 정(禮賓寺正)홍석귀(洪錫龜)의 딸인데, 슬하에 3남 2녀를 두었다. 장남 이진원(李眞源)은 진사로서 익위사(翊衛司) 시직(侍直)을 지냈고, 차남 이진순(李眞淳)은 문과에 급제하여 대사헌(大司憲)·참판(參判)을 지냈으며, 3남 이진수(李眞洙)는 문과에 급제하여 대사간(大司諫)·감사(監司)를 지냈다. 장녀는 좌랑서명순(徐命純)에게, 차녀는 사인(士人) 윤동보(尹東輔)에게 각각 출가하였다. 서자 이진실(李眞實)은 통례원(通禮院) 인의(引儀)를 지냈고, 서녀는 한의조(韓儀朝)에게 출가하였다.[비문]
참고문헌
- 『숙종실록(肅宗實錄)』
- 『숙종실록보궐정오(肅宗實錄補闕正誤)』
-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 『국조방목(國朝榜目)』
-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 『도곡집(陶谷集)』
- 『서계집(西溪集)』
- 『약천집(藥泉集)』
- 『임하필기(林下筆記)』
- 『치평요람(治平要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