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종(權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XML 가져오기)
 
(차이 없음)

2017년 12월 22일 (금) 01:34 기준 최신판




총론

[?∼1592년(선조25) = ?]. 조선 중기 선조 때의 문신으로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순절(殉節)하였다. 자는 희안(希顔)이고, 본관은 안동(安東)인데, 거주지는 포천(抱川)이다. 권적(權勣)의 손자이며 권지(權軹)의 아들이고, 박언(朴堰)의 외손자이며 백선민(白善民)의 사위이다. 또 권율(權慄)의 4촌 형이고, 병조 판서권진(權縉)의 조부이다.

임진왜란 때 활동과 순절

효렴(孝廉)으로 천거를 받아 개령현감(開寧縣監)이 되었고, 그 뒤에 여러 군현(郡縣)의 수령을 지냈는데, 가는 곳마다 청렴하다는 평을 들었다. 1592년(선조25) 금산군수(錦山郡守)로 부임한 지 한 달 만에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광주목사(光州牧使)로 있던 사촌 동생 도원수권율과 서로 연락하여 국난에 같이 대처하기로 약속하였다. 그가 금산의 군사를 이끌고 먼저 공주(公州)에 도착하였는데, 전라도관찰사는 그가 군무에 익숙하지 못하다고 하여, 그 군사를 빼앗아 방어사(防禦使)와 조방사(助防使)의 두 진영에 넘겨버리고, 그에게 군량미를 관리하는 임무를 맡겼다. 분을 참지 못한 그는 금산으로 돌아와서 황급히 군사를 모집하여 2백 명도 채 못 되는 병졸을 거느리고, 금산 동쪽 시냇가에서 진을 쳤다. 또 의병장 고경명(高敬命)과 조헌(趙憲)에게 격문을 보내어 함께 힘을 합쳐 왜적을 방어하자고 제의하였다. 그러다가 왜적이 대거 내습하자 하루 종일 강을 사이에 두고 접전하였고, 다음날 그는 기력이 다하여, “어찌 나라를 저버릴 수가 있나” 하고 고함을 지르고 목숨을 거두었다. 그의 서자 권준(權晙)도 군사들과 함께 싸우다가 죽었다.

무덤과 추모

시호는 충민(忠愍)이고, 이조 판서에 추증되었다. 처음에 금산 사람들이 시신을 거두어 강가에 초빈(草殯)하였는데, 그 아들 권현(權睍)이 전란 중에 왜적의 진영을 뚫고 들어가서 시신을 거두어 포천의 선산(先山)에 장사지냈다. 그가 순절한 금산(錦山)에 순의비(殉義碑)가 세워졌다.

관력, 행적

참고문헌

  • 『선조실록(宣朝實錄)』
  •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 『난중잡록(亂中雜錄)』
  • 『미수기언(眉叟記言)』
  • 『퇴계집(退溪集)』
  • 『경연당집(景淵堂集)』
  • 『신독재전서(愼獨齋全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