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최관(斬衰冠)"의 두 판 사이의 차이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XML 가져오기)
 
(XML 가져오기)
 
1번째 줄: 1번째 줄:
 
+
  
 
{{의복|대표표제=참최관|한글표제=참최관|한자표제=斬衰冠|대역어=|상위어=상복(喪服), 성복(成服)|하위어=연관(練冠)|동의어=|관련어=관승영(冠繩纓), 무(武), 무굴관(武屈冠), 벽적(襞積), 자최(齋衰), 자최관(齋衰冠), 참최(斬衰), 포영(布纓)|분야=문화/의례/흉례|왕실/왕실의례/흉례|유형=의복|지역=대한민국|시대=조선|왕대=|집필자=이민주|용도=|시기=|관련의례행사=|실록사전URL=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10310|실록연계=[http://sillok.history.go.kr/id/kta_10106004_001 『경종실록』 1년 6월 4일]}}
 
{{의복|대표표제=참최관|한글표제=참최관|한자표제=斬衰冠|대역어=|상위어=상복(喪服), 성복(成服)|하위어=연관(練冠)|동의어=|관련어=관승영(冠繩纓), 무(武), 무굴관(武屈冠), 벽적(襞積), 자최(齋衰), 자최관(齋衰冠), 참최(斬衰), 포영(布纓)|분야=문화/의례/흉례|왕실/왕실의례/흉례|유형=의복|지역=대한민국|시대=조선|왕대=|집필자=이민주|용도=|시기=|관련의례행사=|실록사전URL=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10310|실록연계=[http://sillok.history.go.kr/id/kta_10106004_001 『경종실록』 1년 6월 4일]}}
8번째 줄: 8번째 줄:
  
 
참최관(斬衰冠)은 참최복을 입을 때 쓰는 관으로, 의상(衣裳)보다 조금 고운 포에 종이를 붙여 만든다. 넓이는 3치로 하고, 길이는 정수리의 앞과 뒤를 넘을 정도로 한다. 포로 3개의 주름[襞積]을 만들어 오른쪽으로 향하게 하여 세로로 꿰맨다. 마승(麻繩) 한 가닥을 이마 위에 매어 정수리 뒤쪽에서 서로 교차시킨 후 각각 귀에 이르면 묶어서 테두리[武]를 만든다. 관의 양쪽 머리 부분을 접어서 무(武)의 안으로 넣고 밖을 향해 반대로 접어서 무에 꿰맨다. 무의 나머지 끈은 아래로 늘어 뜨려 갓끈을 삼아 턱 아래에서 맨다.
 
참최관(斬衰冠)은 참최복을 입을 때 쓰는 관으로, 의상(衣裳)보다 조금 고운 포에 종이를 붙여 만든다. 넓이는 3치로 하고, 길이는 정수리의 앞과 뒤를 넘을 정도로 한다. 포로 3개의 주름[襞積]을 만들어 오른쪽으로 향하게 하여 세로로 꿰맨다. 마승(麻繩) 한 가닥을 이마 위에 매어 정수리 뒤쪽에서 서로 교차시킨 후 각각 귀에 이르면 묶어서 테두리[武]를 만든다. 관의 양쪽 머리 부분을 접어서 무(武)의 안으로 넣고 밖을 향해 반대로 접어서 무에 꿰맨다. 무의 나머지 끈은 아래로 늘어 뜨려 갓끈을 삼아 턱 아래에서 맨다.
 +
 +
[[파일:P00010310_01.PNG|섬네일]]
  
 
=='''용례'''==
 
=='''용례'''==
18번째 줄: 20번째 줄:
  
 
=='''관계망'''==
 
=='''관계망'''==
<html><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script><input type="button" value="새로고침" onclick="reload();"><iframe src="http://encysilloknetwork.aks.ac.kr/Content/index?id=na00010310" width="100%" height="700px"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html>
+
<html><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encysilloknetwork.aks.ac.kr/Content/index?id=na00010310"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html>
  
 
[[분류:문화]][[분류:의례]][[분류:흉례]][[분류:왕실]][[분류:왕실의례]][[분류:흉례]][[분류:의복]][[분류:대한민국]][[분류:조선]]
 
[[분류:문화]][[분류:의례]][[분류:흉례]][[분류:왕실]][[분류:왕실의례]][[분류:흉례]][[분류:의복]][[분류:대한민국]][[분류:조선]]

2017년 12월 9일 (토) 20:49 기준 최신판



참최복(斬衰服)을 입을 때 갖추는 관(冠).

내용

참최관(斬衰冠)은 참최복을 입을 때 쓰는 관으로, 의상(衣裳)보다 조금 고운 포에 종이를 붙여 만든다. 넓이는 3치로 하고, 길이는 정수리의 앞과 뒤를 넘을 정도로 한다. 포로 3개의 주름[襞積]을 만들어 오른쪽으로 향하게 하여 세로로 꿰맨다. 마승(麻繩) 한 가닥을 이마 위에 매어 정수리 뒤쪽에서 서로 교차시킨 후 각각 귀에 이르면 묶어서 테두리[武]를 만든다. 관의 양쪽 머리 부분을 접어서 무(武)의 안으로 넣고 밖을 향해 반대로 접어서 무에 꿰맨다. 무의 나머지 끈은 아래로 늘어 뜨려 갓끈을 삼아 턱 아래에서 맨다.

용례

禮絰只曰 斬衰冠繩纓 元無練冠改纓之文(『경종실록』 1년 6월 4일)

참고문헌

  •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
  • 『국조상례보편(國朝喪禮補編)』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