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마양저염역병치료방(牛馬羊猪染疫病治療方)"의 두 판 사이의 차이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XML 가져오기)
 
(차이 없음)

2017년 12월 22일 (금) 01:20 기준 최신판



1541년(중종 36) 중종(中宗)의 명에 따라 가축의 전염병을 치료하고자 치료방문을 모아 편찬한 책.

개설

『우마양저염역병치료방(牛馬羊猪染疫病治療方)』은 1541년 평안도에 소를 대상으로 하는 전염병이 크게 유행하여 다른 도로 번질 뿐만 아니라 양이나 돼지에게까지 병이 퍼지자, 중종의 명령으로 소·말·양·돼지의 치료를 위하여 치료방들을 발췌, 초록하여 그 해에 간행한 책이다. 『신편집성마의방(新編集成馬醫方)』ㆍ『우의방(牛醫方)』ㆍ『증류본초(證類本草)』ㆍ『신은방(神隱方)』ㆍ『산거사요(山居四要)』ㆍ『사림광기(事林廣記)』ㆍ『우마양저(牛馬羊猪)』 등에서 전염병 치료에 필요한 치료방을 발췌한 후 이두(吏讀)와 한글로 알기 쉽게 설명하였다. 우리나라 우역사(牛疫史)나 수의사(獸醫史)를 밝히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다.

편찬/발간 경위

1541년 평안도에서 시작한 소의 전염병이 다른 지역으로 확대되며 양과 돼지 등의 가축에게도 영향을 끼쳤다.(『중종실록』 36년 11월 2일),(『중종실록』 36년 12월 17일) 중종은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소·말·양·돼지 등 가축의 전염역에 필요한 치료방(治療方)들을 발췌, 초록하여 책으로 간행한 후 각 지방에 보내게 하였다.

한 일본인이 원간본으로 추정되는 책을 소장하고 있는데, 활자본이며 한글에 방점 표기까지 있다고 한다. 이 책의 이름은 『우양저염역치료방(牛羊猪染疫治療方)』으로, ‘마(馬)’가 없다. 1541년 11월에 권응창(權應昌)이 작성한 서문에도 말에 대한 언급이 없는 것으로 보아, 중간본부터 ‘마’가 서명에 들어간 것으로 보인다.

서지 사항

총 1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지질은 한지이다. 책의 크기는 세로 31.4cm, 가로 19.1cm이다.

중간본은 을해자본(乙亥字本)이며, 방점표기는 없으나 ‘ㅿ, ㆁ’이 나타나는 가장 이른 시기의 책이다. 1578년(선조 11)의 내사본인데, 그 해에 간행된 『간이벽온방(簡易辟瘟方)』과 판식(版式)·활자·한글 사용까지 일치하고, 또 그 책에 합철되어 전하기도 하므로, 1578년에 간행된 것으로 보인다. 그밖에 1636년(인조 14), 1644년(인조 15)에 중간된 책들도 전한다. 1636년판은 ‘ㅿ, ㆁ’이 안 쓰일 뿐, 내용은 1578년판과 차이가 없다. 1644년 판은 끝에 득효방(得效方) 조항이 약간 추가되었다는 차이가 있다.

현재 고려대학교 도서관에는 1578년의 내사본이, 서울대학교 도서관 일사문고에 는1636년판의 중간본 등이 전하고 있다. 또 『간이벽온방』과 합본된 것이 일본 황실도서관에 보존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구성/내용

이 책은 소를 위주로 하여 가축의 전염병을 치료하는 치료법을 담아 간행한 책으로, 한문 원문과 이것을 이두 및 국문 두 가지로 번역하여 나란히 수록하였다는 특이점을 갖고 있다.

서문은 이두문으로 작성되어 있는데, 여기에 이 책의 편찬 배경이 자세히 서술되어 있다. 이 서문은 병조에서 작성한 계목(啓目)과 이에 대한 판부(判付)를 전재한 것이다. 평안도에서 올린 ‘서장(書狀)’에 근거하여 병조에서 치료방문을 이두와 언문으로 번역하고, 약재명(藥材名)은 한자와 한글로 향명(鄕名)을 함께 적어 소의 전염병에 대처하기 위해 간행한다는 내용을 적고 있다.

이 책에서 한문을 이두로 바꾸는 과정은 네 단계로 설정된다. 첫째는 한문을 절단하는 것으로, 대상 한문을 몇 개의 구성요소로 절단하는 단계이다. 둘째는 어순의 재배열 단계로, ‘주어-서술어-목적어’형 언어인 한문을 국어의 ‘주어-목적어-서술어’형 틀에 맞추어 한문의 의미요소들을 재배열하는 과정이다. 셋째는 국어의 낱말로 바꾸는 단계로, 한문에서 1음절 낱말로 기능하는 각각의 한자를 자립성을 가진 국어의 낱말로 치환하는 작업이다. 이 과정에서 관련 한자를 덧붙여 2음절 한자어로 변환하는 일이 많으며, 때로는 한문 구성요소를 그대로 전재하기도 한다. 넷째는 토 달기 단계로, 각각의 국어 낱말과 한문식 구성요소 뒤에 글의 뜻에 따라 이두토를 다는 단계이다. 이두문에서는 한문 원문의 글을 ‘爲乎事’ 또는 ‘…(爲)臥乎事’과 같이 명사문으로 종결하는 특징을 보여 준다. 이두문과 언해문의 관계는 이두문에 이끌려 언해한 점이 일부 드러난다. 언해문에서 선행 체언의 음운조건에 상관없이 접속조사 ‘-과’가 통합된 것이 대표적인 예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책에서는 전체적으로 이두문과 관계없이 한문 원문을 바탕으로 하거나 참조하여 언해하는 특징이 있다. 한편 이두문에서의 문장종결 형식인 ‘… 爲乎事’이 언해문에서는 명령 표현의 동사로 나타나는데, 이것은 이두문과 언해문의 차이점을 보여 주는 좋은 예이다. 이 책의 본문 이두문에서는 경어법의 ‘-白-’과 주격조사 ‘-亦’이 쓰이지 않았다. ‘-矣’가 처소의 부사격조사로도 사용되었고, 특이하게 ‘爲限’을 사용한 예도 발견된다. ‘爲齊’는 이 책에서 한문 원문 글의 종결부에는 쓰이지 않고 절 단부에만 나타난다.

1578년본에서는 ‘ㅿ’이 거의 쓰이지 않고, ‘ㆁ’은 쓰이고 있다. 된소리 표기에는 ‘ㅅ’이 쓰이는 것이 일반적이며, ‘ㅂ’은 특별한 경우에만 쓰인다. 어말에서 ‘ㄷ’과 ‘ㅅ’은 구별되어 쓰이며, 사이시옷이 뒤에 오는 낱말의 첫소리와 함께 쓰인다. 구개음화는 일어나지 않고, 어말 유기음은 앞에 오는 낱말의 받침을 내파화하고, 뒤에 오는 낱말의 첫소리를 외파화한다. 체언의 겹받침은 연철되지 않고, 용언의 겹받침은 연철된다. 체언과 조사, 체언과 파생접미사 사이에 받침이 중철되기도 한다. 자음동화된 표기가 보이며, 모음으로 끝나는 체언 뒤에도 접속조사 ‘과’가 쓰인 경우가 많다.

의의와 평가

이 책은 우리나라 가축의 전염병에 관한 역사적 연구의 자료인 동시에 국어사 연구, 특히 이두와 한글에 의한 번역이 대조된다는 점에서 이두 연구에 귀중한 자료로 활용된다.

참고문헌

  • 『중종실록(中宗實錄)』
  • 오구라 신페이(小倉進平), 『增訂朝鮮語學史』, 도강서원(刀江書院), 1940.
  • 안병희, 「양잠경험촬요(養蠶經驗撮要)와 우역방(牛疫方)의 이두(吏讀)의 연구」, 『동양학』 7, 1977.
  • 안병희, 「중세어의 한글자료에 대한 종합적인 고찰」, 『규장각』 3, 서울대학교, 1979.
  • 임홍빈, 「우마양저염역치료방 해제」, 『역주 분문온역이해방ㆍ우마양저염역병치료방』, 2009.
  • 최현배, 『고친 한글갈』, 정음사, 19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