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치통감훈의(資治通鑑訓義)"의 두 판 사이의 차이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XML 가져오기)
 
(차이 없음)

2017년 12월 22일 (금) 01:19 기준 최신판



세종(世宗) 때에 편찬한 책으로, 중국의 역사가 사마광(司馬光)이 편찬한 『자치통감(資治通鑑)』에 이해를 돕기 위한 설명을 주로 달아 편찬한 책.

개설

중국의 역사가이자 정치가인 사마광이 편찬한 『자치통감』에 나오는 인명, 지명, 고사(古事) 등에 설명을 달아 『자치통감』을 더 쉽고 깊게 이해할 수 있도록 만든 책. 세종이 집현전(集賢殿)의 학자들과 함께 경연을 진행하던 사정전(思政殿)에서 훈의(訓義)하였기 때문에 『사정전훈의자치통감(思政殿訓義資治通鑑)』 또는 『통감훈의(通鑑訓義)』, 『자치훈의(資治訓義)』로 칭하기도 한다.

편찬/발간 경위

세종이 중추원사(中樞院使)윤회(尹淮)·예조(禮曹) 좌참판(左參判)권도(權蹈)·집현전(集賢殿) 부제학(副提學)설순(偰循) 등에게 『자치통감』에 어려운 구절에 설명을 달아 책을 편찬하도록 명하였다. 설명을 달기 위해 『원위집람석의(源委輯覽釋義)』, 『자치통감음주(資治通鑑陰注)』 등 여타 서적들을 두루 참고하였다고 한다. 또 집현전 응교(應敎)김말(金末)·교리(校理)유의손(柳義孫)·우헌납(右獻納)이중윤(李中允)·전(前)우헌납이사증(李師曾)·집현전 수찬(修撰)이계전(李季甸)·부수찬(副修撰)최항(崔恒)·이조(吏曹) 좌랑(佐郞)남계영(南季瑛)·세자좌사경(世子左司經)어효첨(魚孝瞻)·사헌감찰(司憲監察)강맹경(姜孟卿)·봉상녹사(奉常錄事)민원(閔媛) 등은 참교(參校)하게 하고, 또 좌승지(左承旨)권맹손(權孟孫)이 해당 작업을 관장하게 하였다.(『세종실록』 16년 6월 26일)

세종은 윤회 등을 매일 저녁 불러들여 직접 잘못된 부분을 교정하고(『세종실록』 16년 12월 11일) 집현전 관원의 숫자를 늘리는 등 깊은 관심을 보였다.(『세종실록』 18년 윤6월 11일) 책은 세종 17년(1435)에 완성되었고, 이듬해(1436)에 간행되었다.

서지 사항

294권 100책. 세종대에 완성된 갑인자(甲寅字)로 인쇄되었다. 세종 때 간행한 책은 일부분만이 전한다.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된 세종대의 판본은 보물 제1281호로 지정되었으며, 서울역사박물관 소장본도 보물로 지정되었다. 울산 박물관에도 울산 유형문화재 31호로 지정된 판본이 일부 남아있다.

구성/내용

중국의 역사를 기록한 『자치통감』에 등장하는 인명이나 지명, 고사 등에 조선의 독자들이 익숙하지 않기에 해당 부분에 자세한 설명을 달았다. 『자치통감훈의』 서문을 보면 세종이 이 책의 간행을 명하며 했다는 말을 참고하면, 당시 중국 황제가 하사한 『성리대전(性理大全)』에 버금가는 설명과 정리를 추구했던 것으로 보인다. 설명이 필요한 부분에 주를 다는 것 외에도 번잡한 부분을 정리하고 잘못된 부분을 수정하였다.[『동문선』]

의의와 평가

당시 세종이 『자치통감훈의』를 편찬하는 일로 경연까지 정지하고,(『세종실록』 16년 9월 22일) 편찬에 관여하는 관원들에게 15일마다 한 차례씩 음식까지 따로 베풀었던 것을 보면, 이 책을 얼마나 중요하게 생각했는지 가늠할 수 있다.(『세종실록』 16년 7월 1일, 『세종실록』 17년 6월 8일 1번째기사) 이를 통하여 당시 사서(史書)에 대한 관심이 컸음을 보여준다. 실제로 책이 완성된 뒤에는 지방의 향교에 하사하여 유생들이 볼 수 있게 조치하기도 했다.(『세종실록』 26년 8월 14일) 이후 경연 등에서 『자치통감』을 볼 때에는 이 『자치통감훈의』를 사용했던 것으로 보인다. 이 책은 당대의 학자들이 모여 만든 일종의 국가적 프로젝트였지만, 분주(分註)에 인용한 책의 이름이 빠진 곳이 있다거나 『자치통감』의 독법을 안내하는 부분이 없는 등 일부 측면에서 한계를 보이기도 한다. 그러나 비록 중국의 역사서이지만 조선 초기 위정자들의 역사에 대한 관심을 엿볼 수 있고, 남아있는 판본을 통해 당시의 인쇄 기술을 살펴볼 수 있는 귀한 자료임에는 틀림없다.

참고문헌

  • 『세종실록(世宗實錄)』
  • 『동문선(東文選)』
  • 오항녕, 「조선 세종대 『자치통감사정전훈의』와 『자치통감강목사정전훈의』의 편찬」, 『태동고전연구』 15,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1998.
  • 오정환·송일기·김유리, 「조선시대 「자치통감」의 간행과 유통에 관한 연구」, 『서지학연구』 50, 한국서지학회,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