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자습(童子習)"의 두 판 사이의 차이
(XML 가져오기) |
(차이 없음)
|
2017년 12월 22일 (금) 01:17 기준 최신판
주요 정보 | |
---|---|
대표표제 | 동자습 |
한글표제 | 동자습 |
한자표제 | 童子習 |
분야 | 교과서 |
유형 | 한문 |
지역 | 한국 |
시대 | 조선 |
집필자 | 성낙수 |
저편자 | 주봉길 |
간행년일 | 1404 |
권책수 | 2권 2책 |
소장처 | 한지 |
조선왕조실록사전 연계 | |
동자습(童子習) |
중국 명나라의 유학자 주봉길(朱逢吉)이 편찬한 초학자용 교화서.
개설
『동자습(童子習)』은 중국 명나라의 유학자 주봉길(朱逢吉)이 편찬한 초학자용 교화서이다. 1404년(영락(永樂) 2년)에 작성된 주자치(周子治)의 동자습서(童子習序)에 의하면, 『동자습(童子習)』 은 당시 세상의 풍속이 나빠져, 사람들을 교화하기 위해 편찬 간행하였다고 한다. 이 책은 다음과 같은 17가지의 주제 즉, ‘사친(事親)ㆍ효감(孝感)ㆍ사장(事長)ㆍ우애(友愛)ㆍ여부(麗掃)ㆍ언어(言語)ㆍ음식(飮食)ㆍ의복(衣服)ㆍ위례(威儀)ㆍ택류(擇類)ㆍ향학(向學)ㆍ지계(知械)ㆍ예빈(禮賓)ㆍ융사(隆師)ㆍ교우(交友)ㆍ사군(事君)’ 등의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책은 유교적인 교화서로서, 이와 같은 17가지 주제에 대한 기본적인 장구(章句)와 이 주제들과 관련된 고사 등을 모아 편찬한 것이다.
편찬/발간 경위
이 책에는 서문이 있는데, 이는 성삼문(成三問)의 글로서 『동문선(東文選)』에 실려 있다. 직해동자습(直解童子習)이 현재 전하지 않으므로, 그 내용을 자세히 알 수는 없으나, 이 서문에 의하여, 몇 가지 사항을 추정해볼 수 있다. 본래 책 이름은 『직해동자습역훈평화(直解童子習譯訓評話)』였던 것으로 보인다.
『홍무정운역훈(洪武正韻譯訓)』이 정확한 중국 자음(字音)을 학습하기 위해 편찬된 데 비하여, 이 책은 한어(漢語) 교과서로 편찬되었다. 형식은 다른 언해본들과 마찬가지로 모든 한자의 음(音)을 한글로 한자(漢字)마다 한 자 아래에 쓰고, 국어로 문장의 뜻을 풀이하였다. 이 책의 완성 연도는 알 수 없으나, 서문의 내용으로 보아, 세종 때 편찬을 시작하여 단종 때 완성된 것으로 보인다.
서지 사항
2권 2책으로 구성되어 있고, 목판본이다. 크기는 세로 26.4cm, 가로17.7cm이며 국립중앙도서관 등에 소장되어 있다.
구성/내용
이 책은 1404년(영락 2)에 명나라 주봉길(朱逢吉)이 편찬한 것으로, 유교의 기초 덕목에 관한 내용을 모은 아동들의 교과서인데, 조선 시대에 중국어 회화의 교재로 활용하였다. 이 책에 대하여 성삼문의 「동자습서(童子習序)」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리나라가 바다 건너에 있어, 중국과는 말이 달라 역관이 있어야 서로 통하므로, 우리 선대 임금께서 지성으로 중국을 섬겨 승문원(承文院)을 두어, 이문(吏文)을 맡게 하고, 사역원(司譯院)에서는 통역을 맡아, 그 일만 전념하게 하여, 그 자리를 오래 두었으니, 생각이 주밀하지 않음이 없었다. 그러나 한음(漢音)을 배우는 사람이 몇 다리를 건너서, 전수한 것을 그대로 받아들인 지가 이미 오래이기에 잘못된 것이 퍽 많아, 종(從)으로는 사성(四聲)의 빠르고 느림을 어지럽게 하고, 횡으로는 칠음(七音)의 맑고 흐림을 상실하였다. 게다가 중국의 학자가 옆에 있어 정정해 주는 일도 없기 때문에 노숙한 선비나 역관으로 평생을 몸을 바쳐도, 고루한 데 빠지고 말았다.
세종과 문종께서 이를 염려하시어 이 훈민정음(訓民正音)을 지어내셨으니, 세상의 어떠한 소리라도 옮겨 쓰지 못할 것이 없다. 곧 『홍무정운(洪武正韻)』을 번역하여, 중국의 원음으로 바로잡아 놓고, 또 옳게 추리한 『동자습(童子習)』으로 역어(譯語)를 가르치게 하였으니, 실로 중국말을 배우는 문호가 되었다. 그래서 우부승지 신(臣) 신숙주ㆍ겸 승문원 교리(兼承文院校理) 신 조변안(曹變安)ㆍ예조 좌랑김증(金曾)ㆍ사정(司正)손수산(孫壽山)에게 명하여, 정음(正音)으로서 한어(漢語)를 번역하여, 글자 밑에 작은 글씨로 쓰고, 또 우리말로 그 뜻을 풀이하라 하시고, 화의군(和義君) 신 영(瓔)과 계양군(桂陽君) 신 증(璔)에게 명하여, 그 일을 감독하게 하시고, 동지중추원사 신 김하(金何)와, 경창부윤(慶昌府尹) 신 이변(李邊)에게 의심난 곳을 고증해서 쌍서(雙書)하게 했으니, 음과 뜻이 분명하여 마치 손바닥을 들여다보는 듯하였다.
다만 한스러운 것은 책이 겨우 완성될 즈음에 세종께서 승하하시고, 문종께서도 뒤따라 돌아가셨다. 우리 임금께서 자리에 오르시자마자, 선대(先代)의 뜻을 좇아서, 빨리 간행하도록 하라고 하셨다. 또 신 성삼문 등 여러 신들은 삼가 생각하건대, 사방의 말씨가 비록 남북의 다름이 있으나, 소리가 어금니ㆍ혀ㆍ입술ㆍ가ㆍ목구멍을 통해서 나오기는 남과 북이 다를 것이 없으니, 이를 명백히 안다면 성(聲)ㆍ운(韻)에 무슨 어려움이 있겠는가.
우리나라가 생긴 지 몇 천 년이 지났으나, 사람들이 날마다 쓰는 말에 칠음(七音)이 우리에게 있다는 것을 알지 못하였다. 칠음도 모르니, 청탁(淸濁)에 있어서는 더 말할 나위조차 없지 않겠느냐. 중국말을 배우기가 어렵다고 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이 책이 한 번 번역되면, 칠음과 사성(四聲)이 나오는 데 따라 절로 분별이 되어, 경위가 서로 분명하여, 털끝만큼의 차질도 없을 것이니, 곁에서 밝혀 줄 사람이 없다고 근심할 것이 어디 있겠는가. 배우는 자가 먼저 정음(正音) 몇 자만 배우고서, 다음으로 이 책을 보면, 열흘쯤 만에 중국말도 통할 수 있고, 운학(韻學)도 밝힐 수 있어, 중국을 섬기는 일이 이로써 다 될 것이니, 두 임금의 정묘하신 제작이 백 대에 뛰어났음을 볼 수 있다. 이 책의 번역이 외천보국(畏天保國)의 지극한 계획인 동시에 우리 임금님께서 선왕의 뜻을 잘 계승하신 미덕이 또한 지극하시다 하겠다.”
참고문헌
- 이달우, 「입암 민제인(立巖閔齊仁)의 교육사상(敎育思想)」, 『유학연구』 18호, 유학연구회, 2008.
- 정재영, 「성삼문의 동자습서와 『동자습(口訣)』에 대하여」, 『규장각』 제21집,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0.
- 한국어문교육연구회ㆍ한국어문회 공편, 『매죽헌 성삼문의 충의와 학문』, 한국어문교육연구회 제144회 학술대회 발표문, 한국어문교육연구회ㆍ한국어문회,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