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득(高得)"의 두 판 사이의 차이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XML 가져오기)
 
(차이 없음)

2017년 12월 22일 (금) 01:14 기준 최신판




조선 태종의 즉위를 인정하기 위하여 명나라 영락제가 파견한 사신.

개설

1403년(태종 2) 4월에 명의 사신으로, 태종을 인정하는 고명(誥命)과 인장(印章)을 받아가지고 돌아왔다. 1407년에는 세자 이제(李褆)가 요동(遼東)에 도착하자, 영접하기도 하였다.

활동 사항

1402년 하륜은 명나라 영락제(永樂帝)의 즉위를 축하하는 등극사(登極使)로 갔다가 1403년 4월에 명으로부터 고명과 인장을 받아가지고 돌아왔다. 고명과 인장은 태종을 인정한다는 의미였다. 그때 하륜과 같이 온 명나라의 사신 중 1명이 도지휘사(都指揮使)고득이었다.

면복을 갖춘 태종은 백관을 거느리고 서교(西郊)에 나아가 사신을 맞았다. 고득, 통정사좌통정(通政司左通政)조거임, 환관태감(宦官太監)황엄(黃儼)과 조선 출신의 환관 등으로 구성된 사신 일행이 대궐로 들어오자, 태종은 무일전에서 예를 행하고 고명과 인장, 그리고 칙서(勅書)를 받았다(『태종실록』 3년 4월 8일).

고득 등은 4월 12일에 태종 등이 사냥하는 것을 구경하기를 청하였다. 태종은 의안대군(義安大君)이화(李和)와 이숙번(李叔蕃)에게 군사 1,000기(騎)를 거느리고 남교(南郊)에서 사냥하게 한 후, 의정부 주관으로 남대문 밖에서 잔치를 벌이고 저물녘에 돌아왔다(『태종실록』 3년 4월 12일). 또 4월 17일에는 금강산(金剛山)을 구경하러 갔다가 26일에 돌아왔다. 고득은 통사(通事)조사덕(曹士德)에게 유자(儒者)인 좌통정(左通政)조거임이 조선에서 주는 선물을 받지 않을 거라고 하면서 그것을 자신이 대신 받고자 하는 욕심을 드러내기도 하였다(『태종실록』 3년 4월 17일)(『태종실록』 3년 4월 26일).

이후 고득은 1407년(태종 7)에는 당시 세자였던 양녕대군이제가 내조하기 위하여 명에 가는 길에 요동에 이르자, 도지휘사로서 세자를 영접하기도 하였다(『태종실록』 7년 10월 16일).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