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토(要土)"의 두 판 사이의 차이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XML 가져오기)
 
(차이 없음)

2017년 12월 22일 (금) 01:12 기준 최신판




청 태조누르하치의 둘째 아들 다이샨의 맏아들 아이신기오로 요토([愛新覺羅岳托], aisin gioro yoto)의 한자 이름.

개설

요토는 다이샨([代善], daišan)의 맏아들이자 누르하치([奴兒哈赤], nurhaci)의 손자이다. 요토는 훌륭한 장군으로서 누르하치의 치세에는 요동의 요양(遼陽)과 심양(瀋陽)을 공격하는 데에 기여하였고, 몽골[蒙古] 정벌에도 종군하였으며 아버지 다이샨과 함께 양홍기(鑲紅旗)를 관장하였다. 아버지 다이샨과 숙부 홍타이지([皇太極], hongtaiji)를 따라 많은 전공을 세웠으며, 친왕(親王)에 봉해진 뒤에는 병부(兵部)를 관장하였다. 요토는 정묘호란(丁卯胡亂)과 병자호란(丙子胡亂)에 모두 참가하기도 하였다.

요토는 유연하지 못한 성격으로 인하여 홍타이지에게 잦은 지적을 받았고 결국 버일서([貝子], beise)로 직위가 하락하기도 하였다. 조선에서도 요토가 호기(豪氣)를 가진 인물로서 내분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고 평가되기도 하였다(『인조실록』 16년 2월 10일). 1638년 요토는 제남(濟南)에서 병으로 죽은 뒤 다시 군왕(郡王)에 봉해졌다.

가계

부친은 아이신기오로([愛新覺羅], aisin gioro) 다이샨이며, 그의 적부인 이가씨(李佳氏)의 맏아들이다. 쇼토[碩託], šoto), 사할리연([薩哈璘], sahaliyen), 왁다([瓦克達], wakda) 등의 형이다. 아바이([阿拜], abai)의 딸 나라([納喇], nara)씨 외에 하다부의 우르구다이([吳爾古代], urgūdai)의 첫째 딸인 하다나라([哈達納喇], hadanara)씨 등이 있었다. 이 가운데 둘째 부인 하다나라씨는 요토의 사촌 동생이자 홍타이지의 맏아들인 호오거의 정부인 하다나라씨의 친언니이다. 7명의 아들과 6명 이상의 딸이 있었다.

활동 사항

요토는 다이샨의 맏아들로 태어났으나 생모가 일찍 죽자, 아버지와 계모의 사랑을 받지 못하였다. 이에 누르하치의 적비 효자고황후(孝慈高皇后) 여허나라([叶赫那拉], yehe nara)씨가 자신의 친아들 홍타이지와 함께 길렀다.

1620년 아버지 다이샨은 요토의 동복동생 쇼토가 잠시 실종되었던 사건을 계기로 그가 명으로 도주하고자 하였다고 하여 수차례 아버지 누르하치에게 쇼토의 참살을 청하였다. 이는 다이샨의 후처의 요구에 따른 것이었는데, 계모에게 핍박을 받았던 경험이 있었던 누르하치는 격노하여 오히려 다이샨의 지위를 깎고 요토와 쇼토를 분가하지 못하게 하는 동시에 요토를 그의 후계자로 삼을 것을 지시하였다.

요토는 1621년부터 누르하치와 함께 명을 공격하는 데에 크게 활약하였다. 특히 1622년에 이르기까지 요양과 심양 등을 공취하는 데에 크게 기여하면서 군사적 재능을 인정받았다. 요토는 1623년 4월 아바타이([阿巴泰], abatai)와 함께 출격하여 내몽골을 공략하게 하였는데 요토는 8일 만에 질주해 들어가서 내칼카 몽골의 자루트([扎魯特], jarut) 부락을 공격하여 그 추장과 아들을 죽인 뒤 개선하였다. 누르하치는 친히 무리를 거느리고 마중 나아가 요토를 맞이하면서 손자의 뛰어난 군사적 재능과 지모를 칭찬하기도 하였다.

1626년 9월 누르하치가 병으로 죽고, 그의 후계를 둘러싸고 여러 버일러([貝勒], beile)들이 경쟁의 기미를 보이자, 요토는 자신의 동생 사할리연과 함께 다이샨을 설득하여 홍타이지를 지지하게 하였다. 다이샨은 한(汗)의 지위를 포기하고 동생 홍타이지를 추대하게 되었다. 요토는 또한 초기에 강력하지 못하였던 홍타이지의 권한을 높여 주기 위하여 다른 3명의 대버일러들의 권한을 줄이는 데에도 힘을 기울였다. 또 그해 겨울에는 다시 자루트 부락을 공격하기도 하였다.

1627년 1월 홍타이지가 대버일러 아민([阿敏], amin)을 총대장으로 하여 조선으로 출정하게 하였을 때 요토는 그와 함께 따라가서 의주와 정주·곽산(능한산성) 등 3개의 성을 함락시켰다. 조선과 후금의 강화가 성립될 무렵 아민이 조선에 계속해서 주둔하면서 독자적인 노선을 갈 것임을 은연중에 내비치자 요토는 지르갈랑([濟爾哈朗], jirgalang) 등과 함께 이를 극력 반대하기도 하였다(『인조실록』 5년 2월 10일).

1628년 후금이 명에 대한 공격을 재개하자 요토는 금주(錦州) 등을 공략하였고, 회군할 때에는 홍타이지가 직접 나와서 맞이하면서 좋은 말을 하사하는 등 그 전공을 인정받았다. 1629년 홍타이지가 명에 대한 공격을 직접 이끌게 되자, 요토는 지르갈랑과 함께 우익군(右翼軍)을 거느리고 활약하였다. 1632년 요토는 지르갈랑과 함께 몽골 차하르([察哈爾], cahar)를 공격하였고, 이후 버일러 더걸러이([德格類], degelei)와 함께 요주(耀州)에서 개주(蓋州) 남쪽에 이르는 명의 변경을 공격하였다.

1633년 8월, 요토는 더걸러이와 함께 여순(旅順)을 공격하여 함락하였고, 그가 귀환하자 홍타이지가 직접 교외로 나아가 맞이하고 금 술잔에 술을 따라서 하사하기도 하였다. 요토는 1634년에는 만주 8기, 몽골 2기, 한군(漢軍) 1기 등 11기의 병력을 이끌고 열병(閱兵)을 주관하여 군사적 능력을 또다시 인정받고, 병부를 주관하게 되었다.

1636년 4월, 홍타이지가 황제로 등극하여 국호를 청(淸)으로 바꾸었을 때 요토를 효소이 무터부러 친왕([和碩成親王], hošoi mutebure cin wang)에 봉하였다. 이해 8월 요토는 망굴타이([莽古爾泰], manggultai)의 죄를 비호하였다는 혐의로 탄핵을 받아 사형을 선고받았으나 홍타이지의 사면을 받아 도로이 버일러([多羅貝勒], doroi beile)로 강등된 이후 병부의 직무에서 면직되었다.

1636년 12월 병자호란이 발생하자, 요토는 전봉군(前鋒軍)의 세 번째 부대 3천 명(3,000명)을 거느리고 조선을 침공하여 먼저 출발한 마푸타([馬福塔], mafuta), 도도([多鐸], dodo) 등을 지원하였다. 이들 세 부대로 구성된 전봉군의 병력은 총 4,300명에 불과하였는데 이들은 홍타이지의 우익군(右翼軍)과 도르곤의 좌익군(左翼軍)이 도착하기까지 약 2주 동안 조선의 근왕군과 전투를 벌이면서 남한산성을 포위하고 있었다. 병자호란 당시 청이 조선군에 대한 우위를 계속해서 점할 수 있었던 데에는 요토의 공로가 컸다.

1637년 8월 요토는 활쏘기에서 형편없는 점수를 받았음에도 거만한 태도를 보였다는 이유로 처벌을 받아 버일러의 봉작을 잃고 구사 버이서([固山貝子], gusa beise)로 강등되었다. 요토는 1638년 홍타이지에 의하여 버일러의 지위를 회복하였다. 이해 요토는 양무대장군(揚武大將軍)이 되어 두두([杜度], dudu)와 함께 우익군을 거느리고 명에 대한 공격에 나섰다. 이 당시 명과 청 사이에서는 격전이 전개되었는데, 요토는 많은 전공을 세웠고 산동(山東)의 제남 지역에까지 이르렀으나 이때 군중에서 병으로 죽었다.

상훈 및 추모

1639년 도르곤이 요토의 사망 소식을 가지고 성경(盛京)으로 귀환하자 홍타이지는 소식을 듣고 비통해하면서 3일 동안 정사를 파하여 애도를 표시하고 친히 성경 밖으로 나와 그의 제사를 지내 주었다. 홍타이지는 궁으로 돌아온 뒤에 다시 3일 동안 정사를 파하도록 하였다. 홍타이지는 곧 요토를 극근군왕(克勤郡王)으로 봉하고 낙타 5필, 말 2필, 백은 10,000냥을 내려 주었다.

1688년 강희제(康熙帝)는 요토를 위하여 비석을 세우고 공적을 기록하게 하였다. 또 1778년 건륭제(乾隆帝)는 요토를 태묘(太廟)에 배향하고, 성경(盛京)의 현왕사(賢王祠)에 입사(入祀)하였으며, 극근군왕의 봉작을 세습하도록 하였다.

참고문헌

  • 『만문노당(滿文老檔)』
  • 『청사고(淸史稿)』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만주학센터, 『만주실록 역주』, 소명출판, 2014.
  • Arthur W. Hummel, Eminent Chinese of the Ch'ing Period(1644~1912), Ch’eng Wen Publishing Company, 1972.
  • 魏志江·潘淸, 「關于 丁卯胡亂與淸鮮初期交涉的几个問題」, 『学習與探索』, 2007年 1期.
  • 石少穎, 「“丁卯之役”中金鮮間“納質”, “歲幣” 問題由來考辨-兼論後金首次征朝期間的外交策略」, 『中國史硏究』, 2013年 4期.
  • 劉田, 「鐵帽子王也可“奪爵”」, 『文史博覽』, 2015年 4期.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