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난공신(平難功臣)"의 두 판 사이의 차이
sillokwiki
(XML 가져오기) |
(차이 없음)
|
2017년 12월 10일 (일) 02:43 기준 최신판
주요 정보 | |
---|---|
대표표제 | 평난공신 |
한글표제 | 평난공신 |
한자표제 | 平難功臣 |
상위어 | 공신(功臣) |
하위어 | 추충분의병기협책평난공신(推忠奮義炳機協策平難功臣), 추충분의협책평난공신(推忠奮義協策平難功臣), 추충분의평난공신(推忠奮義平難功臣) |
관련어 | 정여립(鄭汝立)의 난(亂) |
분야 | 정치/인사/녹훈 |
유형 | 개념용어 |
지역 | 대한민국 |
시대 | 조선 |
왕대 | 선조 |
집필자 | 신명호 |
조선왕조실록사전 연계 | |
평난공신(平難功臣) | |
조선왕조실록 기사 연계 | |
『선조수정실록』 23년 8월 1일 |
정여립의 난을 평정한 공로로 선조대에 책봉된 공신.
내용
1589년(선조 22) 10월 2일 전 수찬정여립이 모반을 도모하였다는 내용의 고변으로 시작된 옥사는 서인계인 정철이 우의정에 임명되어 재조사가 이루어지며 수많은 동인들이 연루되어 처벌되었다. 같은 해 12월 29일에 선조는 박충간 등을 공신에 책봉하라 명령함으로써 정여립 역모조사를 마무리 짓고자 하였다.
이듬해에 평난공신 22명이 책봉되었는데, 1등은 추충분의병기협책평난공신(推忠奮義炳機協策平難功臣)이라 하였으며 박충간·이축·한응인 등 3명이었다. 추충분의협책평난공신(推忠奮義協策平難功臣)이라 불린 2등은 민인백·한준·이수 등 12명이었고, 추충분의평난공신(推忠奮義平難功臣)이라 불린 3등은 이헌국·최황·김명원 등 7명이었다.
용례
推忠奮義炳幾協策平難功臣一等 朴忠侃「商山君 官至刑曹判書」李軸「左參贊 完山府院君」韓應寅等三人(『선조수정실록』 23년 8월 1일)
참고문헌
-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 『국조공신록(國朝功臣錄)』
-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 『당의통략』
- 신명호, 『조선의 공신들』, 가람기획,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