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경전(孝敬殿)"의 두 판 사이의 차이
(XML 가져오기) |
(XML 가져오기)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개념용어|대표표제=효경전|한글표제=효경전|한자표제=孝敬殿|대역어=|상위어=혼전(魂殿)|하위어=|동의어=|관련어= | + | {{개념용어|대표표제=효경전|한글표제=효경전|한자표제=孝敬殿|대역어=|상위어=혼전(魂殿)|하위어=|동의어=|관련어=현종(顯宗)|분야=왕실/왕실의례/흉례|유형=개념용어|지역=대한민국|시대=조선|왕대=|집필자=이현진|실록사전URL=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16803|실록연계=[http://sillok.history.go.kr/id/ksa_10108024_001 『숙종실록』 즉위년 8월 24일], [http://sillok.history.go.kr/id/ksa_10112013_001 『숙종실록』 즉위년 12월 13일]}} |
− | 창경궁에 있던 | + | 창경궁에 있던 현종의 신주를 모신 혼전(魂殿). |
=='''개설'''== | =='''개설'''== | ||
− | 혼전은 산릉에서 장례를 치른 뒤 신주를 모시고 궁궐로 돌아와 종묘(宗廟)에 부묘(祔廟)할 때까지 신주를 봉안하는 곳이다. 혼전의 | + | 혼전은 산릉에서 장례를 치른 뒤 신주를 모시고 궁궐로 돌아와 종묘(宗廟)에 부묘(祔廟)할 때까지 신주를 봉안하는 곳이다. 혼전의 존재 기간은 왕과 왕후에 따라 달랐다. |
− | + | 1674년(현종 15) 현종이 승하하자 혼전의 전각명을 ‘효경’으로 정하였다([http://sillok.history.go.kr/id/ksa_10108024_001 『숙종실록』 즉위년 8월 24일]). 5개월 뒤 숭릉(崇陵)에 장례를 치렀다. 3년의 상제가 끝난 뒤 종묘 정전 제11실에 부묘할 때까지 효경전에 신주가 봉안되어 있었다. | |
=='''내용 및 특징'''== | =='''내용 및 특징'''== | ||
− | + | 1674년 8월 18일 현종이 창덕궁 재려(齋廬)에서 승하하였다. 5개월 뒤 12월에 숭릉에 재궁을 묻고 반우하여 미리 마련한 혼전에 신주를 봉안하였다([http://sillok.history.go.kr/id/ksa_10112013_001 『숙종실록』 즉위년 12월 13일]). 이때 조성한 혼전명이 효경전이다. | |
− | + | 현종의 혼전 전각은 창경궁의 문정전이었다. 그 뒤 1675년(숙종 1) 궁인 중에 천연두를 앓는 이가 있어 숙종이 경덕궁으로 이어(移御)하면서 효경전도 경덕궁으로 옮겼다.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에는 혼전이 창덕궁 안에 있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 |
− | 반우한 날 초우제(初虞祭)를 시작으로 칠우제(七虞祭)까지 우제를 모두 지낸 뒤 졸곡제(卒哭祭)를 거쳐 연제( | + | 효경전에 반우한 날 초우제(初虞祭)를 시작으로 칠우제(七虞祭)까지 우제를 모두 지낸 뒤 졸곡제(卒哭祭)를 거쳐 연제(練祭), 대상제(大祥祭), 담제(禫祭)를 모두 거행하였다. 그밖에 조석상식(朝夕上食), 사시(四時) 및 납(臘) 제사, 속절(俗節) 및 삭망(朔望) 제사를 효경전에서 지냈다. 1676년(숙종 2) 10월 15일 현종의 신주를 태묘에 부묘하였다. |
=='''변천'''== | =='''변천'''== | ||
− | + | 1530년(중종 25)에 승하한 성종의 계비 정현왕후(貞顯王后)의 혼전명도 효경전이다. 조선시대에는 이렇듯 혼전명이 동일한 혼전이 존재하였다. | |
=='''참고문헌'''== | =='''참고문헌'''== |
2017년 12월 10일 (일) 02:45 판
주요 정보 | |
---|---|
대표표제 | 효경전 |
한글표제 | 효경전 |
한자표제 | 孝敬殿 |
상위어 | 혼전(魂殿) |
관련어 | 현종(顯宗) |
분야 | 왕실/왕실의례/흉례 |
유형 | 개념용어 |
지역 | 대한민국 |
시대 | 조선 |
집필자 | 이현진 |
조선왕조실록사전 연계 | |
효경전(孝敬殿) | |
조선왕조실록 기사 연계 | |
『숙종실록』 즉위년 8월 24일, 『숙종실록』 즉위년 12월 13일 |
창경궁에 있던 현종의 신주를 모신 혼전(魂殿).
개설
혼전은 산릉에서 장례를 치른 뒤 신주를 모시고 궁궐로 돌아와 종묘(宗廟)에 부묘(祔廟)할 때까지 신주를 봉안하는 곳이다. 혼전의 존재 기간은 왕과 왕후에 따라 달랐다.
1674년(현종 15) 현종이 승하하자 혼전의 전각명을 ‘효경’으로 정하였다(『숙종실록』 즉위년 8월 24일). 5개월 뒤 숭릉(崇陵)에 장례를 치렀다. 3년의 상제가 끝난 뒤 종묘 정전 제11실에 부묘할 때까지 효경전에 신주가 봉안되어 있었다.
내용 및 특징
1674년 8월 18일 현종이 창덕궁 재려(齋廬)에서 승하하였다. 5개월 뒤 12월에 숭릉에 재궁을 묻고 반우하여 미리 마련한 혼전에 신주를 봉안하였다(『숙종실록』 즉위년 12월 13일). 이때 조성한 혼전명이 효경전이다.
현종의 혼전 전각은 창경궁의 문정전이었다. 그 뒤 1675년(숙종 1) 궁인 중에 천연두를 앓는 이가 있어 숙종이 경덕궁으로 이어(移御)하면서 효경전도 경덕궁으로 옮겼다.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에는 혼전이 창덕궁 안에 있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효경전에 반우한 날 초우제(初虞祭)를 시작으로 칠우제(七虞祭)까지 우제를 모두 지낸 뒤 졸곡제(卒哭祭)를 거쳐 연제(練祭), 대상제(大祥祭), 담제(禫祭)를 모두 거행하였다. 그밖에 조석상식(朝夕上食), 사시(四時) 및 납(臘) 제사, 속절(俗節) 및 삭망(朔望) 제사를 효경전에서 지냈다. 1676년(숙종 2) 10월 15일 현종의 신주를 태묘에 부묘하였다.
변천
1530년(중종 25)에 승하한 성종의 계비 정현왕후(貞顯王后)의 혼전명도 효경전이다. 조선시대에는 이렇듯 혼전명이 동일한 혼전이 존재하였다.
참고문헌
- 『춘관통고(春官通考)』
-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
- 이현진, 『조선후기 종묘 전례 연구』, 일지사, 2008.
- 정옥자 외, 『조선시대 문화사』(상), 일지사,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