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 | *[[청룡사(충주)]] |
− | | + | *[[청룡사(안성)]] |
− | {{개념용어|대표표제=청룡사|한글표제=청룡사|한자표제=靑龍寺|대역어=|상위어=원당(願堂)|하위어=|동의어=대장암(大藏庵)|관련어=공양왕진영(恭讓王眞影), 인평대군(麟坪大君), 나준(羅浚), 사당(舍堂)|분야=문화/종교/불교|유형=개념용어|지역=경기도 안성시 서운면 서운산|시대=|왕대=|집필자=이종수|실록사전URL=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15270|실록연계=[http://sillok.history.go.kr/id/kda_11907017_004 『세종실록』 19년 7월 17일]}}
| |
− | | |
− | 인조의 셋째 아들인 인평대군의 원당으로, 경기도 안성시서운산에 위치한 절.
| |
− | | |
− | =='''개설'''==
| |
− | | |
− | 청룡사(靑龍寺)는 고려 원종대에 창건되어 대장암으로 불렸는데, 나옹 화상이 중건하고 청룡사로 고쳐 불렀다. 청룡사에 공양왕의 진영이 봉안되어 있었는데, 세종이 공양왕 무덤 곁의 암자로 이안하였다. 인조의 아들 인평대군이 자신의 원당으로 삼았다.
| |
− | | |
− | =='''내용 및 변천'''==
| |
− | | |
− | (1) 창건
| |
− | | |
− | 경기도 안성시서운산에 소재한 청룡사는 1720년(숙종 46)에 나준(羅浚)이 지은 「안성서운산청룡사중수사적비(安城瑞雲山靑龍寺重修事蹟碑)」에 그 내력이 전해져 온다. 그에 의하면, 청룡사는 1265년(고려 원종 6)에 명본(明本) 국사(國師)가 창건하여 대장암(大藏庵)이라 불렀는데, 그로부터 약 100년 후 1364년(고려 공민왕 13)에 나옹(懶翁) 화상이 꽃비가 내리고 용이 오르는 것을 보고, 산 이름을 서운산이라 부르고 절 이름을 청룡사라 고쳐 불렀다고 한다.
| |
− | | |
− | (2) 조선시대
| |
− | | |
− | 청룡사에는 고려의 마지막 왕인 공양왕의 진영(眞影)이 봉안되어 있었는데 세종이 이를 고양현(高陽縣)의 공양왕 무덤 곁에 있는 암자로 이안(移安)하라고 명하였다([http://sillok.history.go.kr/id/kda_11907017_004 『세종실록』 19년 7월 17일]).
| |
− | | |
− | 조선후기에 이르러 광해군은 전답 50결과 절에 필요한 물품들을 청룡사에 하사하였다. 또한 인조의 셋째 아들 인평대군(麟坪大君)은 청룡사를 원당으로 삼았는데, 대웅전 뒷산에 자리한 인평대군의 후손인 완천군(完川君)의 묘를 통해 그 흔적을 발견할 수 있다. 이러한 기록을 통해 당시 청룡사가 왕실과 매우 밀접하게 교류했음을 짐작할 수 있다.
| |
− | | |
− | 현존하는 청룡사 문화재 가운데 시왕상[十王像]은 1669년(현종 10)에, 대종(大鍾)은 1674년(현종 15)에, 감로왕 불화는 1687년(숙종 13)에 조성된 것이다. 그러므로 17세기에는 건물 중수 등의 큰 불사보다는 불상이나 불화 등이 조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청룡사에 큰 불사가 있었던 때는 1720년(숙종 46)이었다. 청룡사 승려 사간(思侃)이 중심이 되어 대웅전, 관음전, 문수전 등을 중수하였는데, 당시의 중수 사실이 앞에서 언급한 사적비에 적혀 있다. 시주자 가운데 남자 신도를 의미하는 [[거사(居士)]]와 여자 신도를 의미하는 사당(舍堂)의 이름이 많이 등장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 |
− | | |
− | 그러나 그 이후 청룡사는 쇠락하였던 것 같다. 설월낭주(雪月浪鑄)가 쓴 「청룡사대법당수보문(靑龍寺大法堂修補文)」에 의하면, 절이 황폐하여 대웅전만 남아 있는데 그나마 기둥이 부식되고 처마는 내려앉을 정도여서 영월천학(泳月天鶴)이 공덕주가 되어 1821년(순조 21)에 수리하였으며, 1878년(고종 23)에 대웅전 삼존상을 개금하고 불화를 조성하였다.
| |
− | | |
− | =='''참고문헌'''==
| |
− | *사찰문화연구원, 『경기도Ⅰ』, 사찰문화연구원 출판국, 1993. | |
− | *금봉건, 「전통목조건축의 천연덕스러운 가구미-안성 청룡사 대웅전」, 『건축』42, 대한건축학회, 1998.
| |
− | *황현정, 「조선후기 안성 청룡사의 佛事 후원자 연구」, 『지방사와 지방문화』13, 2010.
| |
− | | |
− | =='''관계망'''==
| |
− | <html><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encysilloknetwork.aks.ac.kr/Content/index?id=na00015270"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html>
| |
− | | |
− | [[분류:문화]][[분류:종교]][[분류:불교]][[분류:개념용어]][[분류:경기도 안성시 서운면 서운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