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 | *[[사우(공간)]] |
− | | + | *[[사우(기관)]] |
− | {{개념용어|대표표제=사우|한글표제=사우|한자표제=祠宇|대역어=|상위어=|하위어=|동의어=|관련어=사당(祠堂), 서원(書院)|분야=생활·풍속/가례/제례|유형=개념용어|지역=대한민국|시대=조선|왕대=|집필자=이해준|실록사전URL=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09427|실록연계=}}
| |
− | | |
− | 조선시대 서원(書院)의 중심 건물인 제향처.
| |
− | | |
− | =='''개설'''==
| |
− | | |
− | 사우는 서원 건물 중 가장 중심 건물로써 명현(名賢)을 제향하기 위하여 건립되었다. 서원은 조선시대 사학 교육 기관으로 지역별로 저명한 인물인 학자, 정치인을 제향하고 후진들을 양성·교육하며 학문을 연구하는 곳이었다.
| |
− | | |
− | =='''내용 및 특징'''==
| |
− | | |
− | 흔히 사당으로 지칭되는 건물로서의 사우는 서원 등 제향 인물의 위패를 모시는 제향 공간을 말한다. 조선조 서원의 건물 배치는 크게 선현·선사(先師)를 [[봉사(奉祀)]]하는 사(祠)와 자제를 교육하는 강당[堂]과 재실[齋]이 결합되어 이루어지는데 바로 사우가 제향의 주요 공간이었다. 사우에는 서원 제향 인물의 위패가 봉안되어 있으며 1명이 제향된 경우도 있지만, [[주벽(主壁)]] 혹은 주향(主享) 외에 병향(竝享), 종향(從享)인의 위패가 여럿 모셔지기도 하였으며 이들의 위차 문제로 시비가 발생하기도 하였다.
| |
− | | |
− | =='''참고문헌'''==
| |
− | *『목민심서(牧民心書)』
| |
− | *이해준, 『조선 후기 문중 서원 연구』, 경인문화사, 2008.
| |
− | *정만조, 『조선시대 서원 연구』, 집문당, 1997.
| |
− | *유홍렬, 「조선 사묘(祠廟) 발생에 대한 일고찰」, 『진단학보』5, 1936.
| |
− | *이해준, 「한국 서원과 향촌 사회」, 『한국학논총』29, 2006.
| |
− | *정만조, 「조선조 서원의 정치·사회적 역할」, 『한국사학』10, 1989.
| |
− | *정만조, 「한국 서원의 성립과 서원 문화 특성」, 『한국의 서원 유산』, 2014.
| |
− | | |
− | =='''관계망'''==
| |
− | <html><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encysilloknetwork.aks.ac.kr/Content/index?id=na00009427"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html>
| |
− | | |
− | [[분류:생활·풍속]][[분류:가례]][[분류:제례]][[분류:개념용어]][[분류:대한민국]][[분류:조선]]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