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 | *[[승령부(이조)]] |
− | | + | *[[승령부(궁내부)]] |
− | {{집단기구|대표표제=승령부|한글표제=승령부|한자표제=承寧府|대역어=|상위어=궁내부(宮內府)|하위어=내장고(內藏庫)|동의어=|관련어=|분야=정치/행정/관청|유형=집단·기구|지역=대한민국|시대=대한제국기|왕대=대한제국기|집필자=이근호|설치시기=1907년(융희 1) 윤8월 11일|폐지시기=1910년|소속관서=궁내부|실록사전URL=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18302|실록연계=[http://sillok.history.go.kr/id/kzb_10201007_003 『순종실록』 2년 1월 7일], [http://sillok.history.go.kr/id/kzb_10101021_001 『순종실록』 1년 1월 21일], [http://sillok.history.go.kr/id/kzb_10203016_001 『순종실록』 2년 3월 16일], [http://sillok.history.go.kr/id/kzb_10207003_002 『순종실록』 2년 7월 3일], [http://sillok.history.go.kr/id/kzb_10307024_001 『순종실록』 3년 7월 24일], [http://sillok.history.go.kr/id/kzb_10111027_002 『순종실록』 즉위년 11월 27일]}}
| |
− | | |
− | 대한제국 때 황제의 음식과 의복을 비롯해 각종 물품의 관리를 전담하던 관서.
| |
− | | |
− | =='''개설'''==
| |
− | | |
− | 1907년 황제의 음식이나 옷 등 일상 용품의 관리를 위해 설치한 관서이다. 태황제로 물러난 고종에 대한 문안 등을 담당하였다.
| |
− | | |
− | =='''설립 경위 및 목적'''==
| |
− | | |
− | 1907년 양력 8월 11일 포달(布達) 제158호 반포된 「승령부관제장어공어복어수물품급상시봉사건(承寧府官制掌御供御服御需物品及常時奉仕件)」을 근거로 황제의 음식이나 옷, 그리고 일용품의 보급·관리 등을 전담하기 위해 설치하였다.
| |
− | | |
− | =='''조직 및 역할'''==
| |
− | | |
− | 포달 제185호로 반포된 규정에 따르면 직제는 총관(總管) 1명은 친임관(親任官) 혹은 칙임관(勅任官) 1등으로, 부총관(副總管) 1명은 칙임관 2·3등으로, 시종장(侍從長) 1명은 칙임관 1·2등으로, 시종(侍從) 4명은 주임관(奏任官)으로, 서무과장(庶務課長) 1명은 주임관으로, 서기랑(書記郞) 6명은 판임관(判任官)으로 임명하도록 규정되었다.
| |
− | | |
− | 승령부의 주 업무는 황제의 의복이나 음식 등 일상생활에 필요한 물품의 관리이며, 이 밖에도 황실과 관련된 인물에 대한 치제(致祭)나([http://sillok.history.go.kr/id/kzb_10201007_003 『순종실록』 2년 1월 7일]) 장례에 관련된 역할([http://sillok.history.go.kr/id/kzb_10101021_001 『순종실록』 1년 1월 21일]), 태황제의 칙유를 전유(傳諭)하는 역할([http://sillok.history.go.kr/id/kzb_10203016_001 『순종실록』 2년 3월 16일]), 황제의 배종(陪從)([http://sillok.history.go.kr/id/kzb_10207003_002 『순종실록』 2년 7월 3일]), 왕릉의 봉심(奉審)([http://sillok.history.go.kr/id/kzb_10307024_001 『순종실록』 3년 7월 24일]) 등의 역할을 수행하였다.
| |
− | | |
− | =='''변천'''==
| |
− | | |
− | 승령부는 1907년 양력 11월 27일 궁내부 개정 관제 때 궁내부로 이관되면서 직제 개편이 이루어져총관(總管)이 1명으로 친임관, 부총관(副總管)이 1명, 시종장(侍從長)이 1명으로 칙임관, 시종(侍從)이 7명으로 주임관 혹은 칙임관, 이사(理事)가 1명, 전의(典醫)가 2명,장선(掌膳)이 1명으로 주임관, 주사가 6명으로 판임관으로 규정되었다([http://sillok.history.go.kr/id/kzb_10111027_002 『순종실록』 즉위년 11월 27일]). 폐지 시기는 명확하지 않으나, 1910년 대한제국이 일본에 강제 합병되면서 폐지된 것으로 추정된다.
| |
− | | |
− | [[분류:정치]][[분류:행정]][[분류:관청]][[분류:집단·기구]][[분류:대한민국]][[분류:대한제국기]][[분류:대한제국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