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 | *[[금화문(경복궁)]] |
− | | + | *[[금화문(창덕궁)]] |
− | {{건축|대표표제=금화문|한글표제=금화문|한자표제=金華門|대역어=|상위어=|하위어=|동의어=|관련어=경복궁(景福宮), 신무문(神武門), 추성문(秋成門)|분야=왕실/왕실건축/궁궐건축물|유형=건축|지역=대한민국|시대=조선|왕대=|집필자=이연노|일시=|장소=|규모=|양식=|관련인물=|실록사전URL=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18269|실록연계=[http://sillok.history.go.kr/id/koa_10311023_005 『광해군일기』 3년 11월 23일]}}
| |
− | | |
− | 경복궁 후원 서쪽 궁장의 소문.
| |
− | | |
− | =='''개설'''==
| |
− | | |
− | 금화문(金華門)은 고종대 경복궁의 북문인 신무문(神武門) 북쪽 마당 서편에 있었다. 유생들이 시험을 보기 위해 경복궁에 들어올 때 통과하는 문이었다. | |
− | | |
− | =='''위치 및 용도'''==
| |
− | | |
− | 국립문화재연구소에 소장된 「북궐도형(北闕圖形)」을 살펴보면, 금화문은 신무문 북쪽 마당을 감싸는 서쪽 궁장에 위치한다. 서쪽 궁장 남쪽에는 2칸의 추성문(秋成門)이 있고, 북쪽에 단칸의 금화문이 있다.
| |
− | | |
− | 『승정원일기』를 살펴보면, 1872년(고종 9) 2월 3일에 고종이 경무대(景武臺)에 나가서 유생들이 시험 보는 것을 지켜보았다. 이날 유생들이 시험을 보기 위해 문을 통해 들어오는데, 선전관(宣傳官)의 잘못으로 유생들이 추성문을 통과했다. 추성문은 왕이 출입하는 문이며 유생들은 금화문을 통과해야만 했다. 이 일로 문의 개폐를 담당하던 선전관이 처벌을 받았다. 위계에 따라 사용하는 문을 명확히 구분하였음을 알 수 있다.
| |
− | | |
− | 한편 광해군대에 창덕궁을 중수할 때 대조전(大造殿)의 서쪽 월랑문(月廊門)을 금화문이라고 하였는데([http://sillok.history.go.kr/id/koa_10311023_005 『광해군일기』 3년 11월 23일]), 1623년(인조 1) 인조반정 때 불타 버렸다. 그 후 창덕궁 내각 왼편 후원으로 통하는 문을 금화문이라고 하였다.
| |
− | | |
− | =='''참고문헌'''==
| |
− |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북궐도형(北闕圖形)」
| |
− | *서울학연구소 역, 『궁궐지(宮闕志)』1, 서울학연구소, 1994.
| |
− | | |
− | =='''관계망'''==
| |
− | <html><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encysilloknetwork.aks.ac.kr/Content/index?id=na00018269"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html>
| |
− | | |
− | [[분류:왕실]][[분류:왕실건축]][[분류:궁궐건축물]][[분류:건축]][[분류:대한민국]][[분류:조선]]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