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룡사(靑龍寺)"의 두 판 사이의 차이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XML 가져오기)
 
(문서 내용을 "*청룡사(충주) *청룡사(안성)"으로 바꿈)
 
1번째 줄: 1번째 줄:
 
+
*[[청룡사(충주)]]
 
+
*[[청룡사(안성)]]
{{개념용어|대표표제=청룡사|한글표제=청룡사|한자표제=靑龍寺|대역어=|상위어=원당(願堂)|하위어=|동의어=|관련어=보각국사혼수(普覺國師混修), 정순(正恂), 재궁(齋宮), 허적(許積)|분야=문화/종교/불교|유형=개념용어|지역=충청북도 충주시 소태면 오량리|시대=|왕대=|집필자=이종수|실록사전URL=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00014469|실록연계=[http://sillok.history.go.kr/id/kda_10406021_003 『세종실록』 4년 6월 21일], [http://sillok.history.go.kr/id/kda_10805013_003 『세종실록』 8년 5월 13일], [http://sillok.history.go.kr/id/kda_10810003_003 『세종실록』 8년 10월 3일], [http://sillok.history.go.kr/id/koa_10907015_004 『광해군일기(중초본)』 9년 7월 15일], [http://sillok.history.go.kr/id/ksa_10607015_004 『숙종실록』 6년 7월 15일]}}
 
 
 
조선후기에 양천허씨의 원당이었던 사찰로, 충청북도 충주시 소태면에 위치한 절.
 
 
 
=='''개설'''==
 
 
 
청룡사는 고려말 보각 국사혼수가 주석했으며 그의 탑비가 지금도 남아 있다. 조선 태종이 승하하자 후궁이었던 신녕궁주가 명복을 빌기 위해 『법화경』을 사경하였는데 이때 세종이 청룡사에서 사경하는 도구들을 준비하도록 하였다. 조선후기에는 양천(陽川)허씨의 원당이었다.
 
 
 
=='''내용 및 특징'''==
 
 
 
(1) 창건
 
 
 
청룡사의 창건과 관련한 기록이 없어서 알지 못하지만 고려말의 고승 보각(普覺) 국사(國師)혼수(混修)가 주석하였고 그의 탑비가 현재도 남아 있는 것으로 보면 규모가 매우 큰 절이었을 것이다. 혼수는 12세에 어머니의 권유로 출가하여 승려가 되었고, 22세에 승과(僧科)에 급제하였으며, 29세 때에는 금강산으로 들어가 2년간 수행하였다. 1370년(고려 공민왕 19)에 나옹 화상이 주관하는 공부선장(工夫選場)에 참석하여 단독으로 선발되었으나 도망쳐 은거하였다. 그 후 왕명에 의해 여러 사찰의 주지가 되었고 1383년(고려 우왕 9)에 국사에 책봉되었다. 그리고 1392년에 청룡사로 거처를 옮긴 후 그곳에서 73세의 나이로 입적하였다. 태조이성계가 보각 국사라는 시호를 내리고 탑비를 세우도록 했다.
 
 
 
(2) 조선시대
 
 
 
태종이 승하하자 후궁이었던 신녕궁주(愼寧宮主)가 태종의 명복을 빌기 위해 『법화경』을 사경하였는데, 세종이 [[나인(內人)]]으로 하여금 [[의발(衣鉢)]]과 등롱(燈籠) 만드는 것을 감독하여 사경하는 도구들을 준비하도록 하고, 또 승려 정순(正恂)에게 청룡사(靑龍寺)에서 그 일을 맡아보도록 하였다([http://sillok.history.go.kr/id/kda_10406021_003 『세종실록』 4년 6월 21일]). 그리고 효령대군의 가신(家臣)들이 청룡사의 전지를 부당하게 빼앗으려 하여 승려들이 관아에 고소하였는데도 수령이 처벌하지 않자 세종이 그 소식을 듣고 수령을 처벌하라고 하였다([http://sillok.history.go.kr/id/kda_10805013_003 『세종실록』 8년 5월 13일]). 이에 사헌부에서 조사하여 사건의 전말을 왕에게 보고하였다([http://sillok.history.go.kr/id/kda_10810003_003 『세종실록』 8년 10월 3일]).
 
 
 
광해군대에는 1617년(광해군 9)에 김자점(金自點)이 부친의 묘를 청룡사 앞산으로 이장하려 하자 왕이 청룡사는 조종조(祖宗朝)의 [[내원당(內願堂)]]이고 허잠(許潛) 역시 훈신(勳臣)으로서 서운산에 묘소가 있으므로 불가하다고 하였다([http://sillok.history.go.kr/id/koa_10907015_004 『광해군일기(중초본)』 9년 7월 15일]). 청룡사가 있는 서운산은 양천(陽川)허씨의 선산이었기 때문이다. 허잠은 양천허씨로서 숙종대에 영의정을 지냈던 허적(許積)의 조상인데 숙종대에 청룡사가 허적의 선산 [[재궁(齋宮)]]이라고 하였다([http://sillok.history.go.kr/id/ksa_10607015_004 『숙종실록』 6년 7월 15일]). 청룡사와 양천허씨의 갈등도 있어서 정조대에 허묘(許昴)의 종이 염병을 앓자 청룡사에 가서 머물도록 하였는데, 청룡사 승려들이 받아들이지 않자 허묘가 승려 치윤(致允)을 묶고 구타하여 6일 만에 죽게 한 사건이 발생하기도 하였다.
 
 
 
청룡사 터에 남아 있는 유물로는 청룡사 보각국사정혜원융탑(普覺國師定慧圓融塔), 청룡사 보각국사정혜원융탑전사자석등, 청룡사 보각국사정혜원융탑비 등이 있다. 이외에도 적운당(跡雲堂) 사리탑과 청룡사 위전비(位田碑) 등이 전해진다.
 
 
 
=='''참고문헌'''==     
 
*『심리록(審理錄)』     
 
*「충주청룡사보각국사환암정혜원융탑비(忠州靑龍寺普覺國師幻庵定慧圓融塔碑)」     
 
*정영호, 「중원 청룡사지의 조사 : 보각국사 정혜원 융탑과 탑비 및 석등을 중심하여」, 『사총』, 고려대학교 사학회, 1968.     
 
 
 
=='''관계망'''==
 
<html><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iframe width="100%" height="670px" src="http://encysilloknetwork.aks.ac.kr/Content/index?id=na00014469"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html>
 
 
 
[[분류:문화]][[분류:종교]][[분류:불교]][[분류:개념용어]][[분류:충청북도 충주시 소태면 오량리]]
 

2018년 1월 24일 (수) 22:30 기준 최신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