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숙의윤씨(淑儀尹氏)"의 두 판 사이의 차이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XML 가져오기)
(XML 가져오기)
1번째 줄: 1번째 줄:
  
  
{{인명사전|대표표제=숙의윤씨|한글표제=숙의윤씨|한자표제=淑儀尹氏|이칭=|대역어=|상위어=|하위어=|동의어=|관련어=|분야=왕족/후궁|유형=인물|지역=한국|시대=조선|왕대=연산군|집필자=홍연주|자=|호=|봉작=숙의(淑儀)|시호=|출신=왕족|성별=여자|출생=1481년(성종 12) 3월 11일|사망=1568년(선조 1) 8월 1일|본관=해평(海平)|주거지=서울|묘소소재지=|증조부=윤처성(尹處誠)|조부=윤면(尹沔)|부=윤훤(尹萱)|모_외조=연안 김씨(延安金氏) : 김모(金模)의 딸|형제=(남자형제)윤은보(尹殷輔), 윤은필(尹殷弼), 윤은좌(尹殷佐) (언니)임명필(任明弼)의 처|처_장인=(남편)연산군(燕山君) →무후|자녀=|유명자손=|저술문집=|작품=|실록사전URL=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10001407|실록연계=[http://sillok.history.go.kr/id/kja_10708001_001 『연산군일기』 7년 8월 1일], [http://sillok.history.go.kr/id/kka_11412017_004 『중종실록』14년 12월 17일]}}
+
{{인명사전|대표표제=숙의윤씨|한글표제=숙의윤씨|한자표제=淑儀尹氏|이칭=|대역어=|상위어=|하위어=|동의어=|관련어=|분야=왕족/후궁|유형=인물|지역=한국|시대=조선|왕대=성종~선조|집필자=홍연주|자=|호=|봉작=숙의(淑儀)|시호=|출신=왕족|성별=여자|출생=|사망=1623년(인조 1) 3월 13일|본관=파평(坡平)|주거지=서울|묘소소재지=경기도 남양주시 진건읍 사능리|증조부=윤선철(尹先哲)|조부=윤경(尹暻)|부=윤홍업(尹弘業)|모_외조=창원 유씨(昌原兪氏) : 유필영(兪必英)의 딸|형제=|처_장인=(남편)광해군(光海君) (자녀)1녀|자녀=(1녀)박징원(朴澂遠)의 처|유명자손=|저술문집=|작품=|실록사전URL=http://encysillok.aks.ac.kr/Contents/index?Contents_id=10001408|실록연계=[http://sillok.history.go.kr/id/koa_10908008_001 『광해군일기』 9년 8월 8일], [http://sillok.history.go.kr/id/koa_10908018_001 『광해군일기』 9년 8월 18일], [http://sillok.history.go.kr/id/koa_11007008_006 『광해군일기』 10년 7월 8일], [http://sillok.history.go.kr/id/koa_11104008_007 『광해군일기』 11년 4월 8일], [http://sillok.history.go.kr/id/koa_11503014_003 『광해군일기』 15년 3월 14일], [http://sillok.history.go.kr/id/kpa_10109014_001 『인조실록』 1년 9월 14일], [http://sillok.history.go.kr/id/kpa_10203026_001 『인조실록』 2년 3월 26일], [http://sillok.history.go.kr/id/kpa_11909017_003 『인조실록』 19년 9월 17일], [http://sillok.history.go.kr/id/kpa_12104018_001 『인조실록』 21년 4월 18일]}}
  
 
=='''총론'''==
 
=='''총론'''==
  
[1481년(성종 12)~1568(선조 1) = 88세]. 조선의 10대 왕인 연산군(燕山君)의 후궁. 본관은 해평(海平)이고, 거주지는 서울이다. 아버지는 군기시(軍器寺) 첨정(僉正)을 지내고 사후 영의정에 증직된 윤훤(尹萱)이며, 어머니 연안 김씨(延安金氏)는 홍주현감(洪州縣監)김모(金模)의 딸이다. 할아버지는 사헌부(司憲府) 장령(掌令)을 지낸 윤면(尹沔)이고, 증조할아버지는 수원도호부사(水原都護府使)를 지낸 윤처성(尹處誠)이다.
+
[?~1623년(인조 1) = ?]. 조선의 15대 왕인 광해군(光海君)의 후궁. 본관은 파평(坡平)이고, 거주지는 서울이다. 아버지는 능성현령(綾城縣令)을 지낸 윤홍업(尹弘業)이며, 어머니 창원 유씨(昌原兪氏)는 유필영(兪必英)의 딸이다. 할아버지는 이조 참판(찬判에) 추증된 윤경(尹暻)이고, 증조할아버지는 윤선철(尹先哲)이다.
  
=='''연산군의 후궁'''==
+
=='''광해군의 후궁'''==
  
윤숙의(尹淑儀)는 1501년(연산군 7) 연산군의 후궁으로 간택되어 입궁하였다.([http://sillok.history.go.kr/id/kja_10708001_001 『연산군일기』 7년 8월 1일]) 1506년(중종 1) <중종반정(中宗反正)>으로 연산군이 폐위된 이후 윤숙의는 궁에서 나와 오빠 윤은보(尹殷輔)의 집에 거처하며 지냈다.[「숙의윤씨묘지(淑儀尹氏墓誌)] 그런 가운데 1519년(중종 14) 중종(中宗)이 전례에 따라 윤숙의를 혜양(惠養)하라는 전교를 내린 기록이 있다.([http://sillok.history.go.kr/id/kka_11412017_004 『중종실록』14년 12월 17일]) 한편 윤숙의는 윤은보의 딸인 권찬(權纘)의 처를 양녀로 삼아 살다가, 1568년(선조 1) 88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숙의윤씨묘지」]
+
윤숙의(尹淑儀)는 1617년(광해군 9) 광해군의 후궁으로 간택되어 입궁한 후 숙의(淑儀)에 봉해졌다.([http://sillok.history.go.kr/id/koa_10908008_001 『광해군일기』 9년 8월 8일]),([http://sillok.history.go.kr/id/koa_10908018_001 『광해군일기』 9년 8월 18일]) 이듬해인 1618년(광해군 10) 소의(昭儀)로 품계가 올랐으며,([http://sillok.history.go.kr/id/koa_11007008_006 『광해군일기』 10년 7월 8일]) 1619년(광해군 11) 산실(産室)을 설치하라는 기사로 보아 이 때 딸을 출산한 것으로 보인다.([http://sillok.history.go.kr/id/koa_11104008_007 『광해군일기』 11년 4월 8일])
 +
 
 +
1623년(인조 1) 3월 13일 <인조반정(仁祖反正)>일어났다. 그리고 윤숙의는 음행(淫行)을 저질렀다는 이유로 다음 날 군문(軍門) 밖에서 사형에 처해졌다.([http://sillok.history.go.kr/id/koa_11503014_003 『광해군일기』 15년 3월 14일]),([http://sillok.history.go.kr/id/kpa_10109014_001 『인조실록』 1년 9월 14일])
  
 
=='''묘소와 후손'''==
 
=='''묘소와 후손'''==
  
윤숙의의 무덤은 알 수 없다.
+
윤숙의의 무덤은 경기도 남양주시 진건읍 사능리광해군과 자신의 딸 무덤이 있는 근처에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 묘와 묘비석이 상당히 훼손된 채로 방치되어 있으나 옹주 묘가 근처에 있고 사위인 음성 박씨(陰城朴氏) 집안에서 제사를 이곳에서 따로 지냈다는 증언이 있다.(http://blog.naver.com/green_kiki/140156968805)
  
윤숙의는 연산군과의 사이에서 자식이 없다.
+
윤숙의는 광해군과의 사이에서 1녀가 있다. 광해군의 유일한 외동딸이었으나 인조반정으로 인해 아버지 광해군은 유배를 가고 어머니는 세상을 떠났던 때 그녀의 나이 5세였다. 나이가 너무 어렸기 때문에 목숨만은 살려주고 폐서인이 되어 옹주 책봉을 받지 못한 채 외삼촌의 집에서 성장하였다. 이후 인조(仁祖)는 그녀에게 장성할 때까지 요미(料米)를 주라고 명하였고,([http://sillok.history.go.kr/id/kpa_10203026_001 『인조실록』 2년 3월 26일]) 1641년(인조 19) 7월 광해군이 유배지에서 세상을 떠나자 그 딸에게 쌀 10석과 콩 5석 및 각종 찬물(饌物)을 주어 제사 준비를 할 수 있게 해주었다.([http://sillok.history.go.kr/id/kpa_11909017_003 『인조실록』 19년 9월 17일]) 또한 광해군의 본궁(本宮)에 살게 하며 전택(田宅)과 노비 및 기타 먹을 것을 넉넉히 주어 광해군의 제사를 받들게 하였다.[『승정원일기』인조 19년 8월 25일],[『승정원일기』인조 19년 9월 1일],[『승정원일기』인조 19년 9월 15일] 그리고 광해군의 상(喪)이 끝나자 혼례를 할 수 있도록 혼수를 지급했다.([http://sillok.history.go.kr/id/kpa_12104018_001 『인조실록』 21년 4월 18일]),[『승정원일기』인조 21년 4월 19일] 광해군의 딸은 박징원(朴徵遠)과 혼인하였다.[『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권23 「인조조고사본말(仁祖朝故事本末)」]
  
 
=='''참고문헌'''==       
 
=='''참고문헌'''==       
*『연산군일기(燕山君日記)』       
+
*『광해군일기(光海君日記)』       
*『중종실록(中宗實錄)』       
+
*『인조실록(仁祖實錄)』     
 +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
*『선원계보기략(璿源系譜記略)』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       
*『숙의윤씨묘지(淑儀尹氏墓誌)』       
+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지두환, 『연산군과 친인척』, 역사문화, 2008.       
+
*지두환, 『광해군과 친인척』, 역사문화, 2002.       
  
[[분류:왕족]][[분류:후궁]][[분류:인물]][[분류:한국]][[분류:조선]][[분류:연산군]]
+
[[분류:왕족]][[분류:후궁]][[분류:인물]][[분류:한국]][[분류:조선]][[분류:성종~선조]]

2018년 1월 9일 (화) 22:58 판




총론

[?~1623년(인조 1) = ?]. 조선의 15대 왕인 광해군(光海君)의 후궁. 본관은 파평(坡平)이고, 거주지는 서울이다. 아버지는 능성현령(綾城縣令)을 지낸 윤홍업(尹弘業)이며, 어머니 창원 유씨(昌原兪氏)는 유필영(兪必英)의 딸이다. 할아버지는 이조 참판(찬判에) 추증된 윤경(尹暻)이고, 증조할아버지는 윤선철(尹先哲)이다.

광해군의 후궁

윤숙의(尹淑儀)는 1617년(광해군 9) 광해군의 후궁으로 간택되어 입궁한 후 숙의(淑儀)에 봉해졌다.(『광해군일기』 9년 8월 8일),(『광해군일기』 9년 8월 18일) 이듬해인 1618년(광해군 10) 소의(昭儀)로 품계가 올랐으며,(『광해군일기』 10년 7월 8일) 1619년(광해군 11) 산실(産室)을 설치하라는 기사로 보아 이 때 딸을 출산한 것으로 보인다.(『광해군일기』 11년 4월 8일)

1623년(인조 1) 3월 13일 <인조반정(仁祖反正)>이 일어났다. 그리고 윤숙의는 음행(淫行)을 저질렀다는 이유로 다음 날 군문(軍門) 밖에서 사형에 처해졌다.(『광해군일기』 15년 3월 14일),(『인조실록』 1년 9월 14일)

묘소와 후손

윤숙의의 무덤은 경기도 남양주시 진건읍 사능리광해군과 자신의 딸 무덤이 있는 근처에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 묘와 묘비석이 상당히 훼손된 채로 방치되어 있으나 옹주 묘가 근처에 있고 사위인 음성 박씨(陰城朴氏) 집안에서 제사를 이곳에서 따로 지냈다는 증언이 있다.(http://blog.naver.com/green_kiki/140156968805)

윤숙의는 광해군과의 사이에서 1녀가 있다. 광해군의 유일한 외동딸이었으나 인조반정으로 인해 아버지 광해군은 유배를 가고 어머니는 세상을 떠났던 때 그녀의 나이 5세였다. 나이가 너무 어렸기 때문에 목숨만은 살려주고 폐서인이 되어 옹주 책봉을 받지 못한 채 외삼촌의 집에서 성장하였다. 이후 인조(仁祖)는 그녀에게 장성할 때까지 요미(料米)를 주라고 명하였고,(『인조실록』 2년 3월 26일) 1641년(인조 19) 7월 광해군이 유배지에서 세상을 떠나자 그 딸에게 쌀 10석과 콩 5석 및 각종 찬물(饌物)을 주어 제사 준비를 할 수 있게 해주었다.(『인조실록』 19년 9월 17일) 또한 광해군의 본궁(本宮)에 살게 하며 전택(田宅)과 노비 및 기타 먹을 것을 넉넉히 주어 광해군의 제사를 받들게 하였다.[『승정원일기』인조 19년 8월 25일],[『승정원일기』인조 19년 9월 1일],[『승정원일기』인조 19년 9월 15일] 그리고 광해군의 상(喪)이 끝나자 혼례를 할 수 있도록 혼수를 지급했다.(『인조실록』 21년 4월 18일),[『승정원일기』인조 21년 4월 19일] 광해군의 딸은 박징원(朴徵遠)과 혼인하였다.[『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권23 「인조조고사본말(仁祖朝故事本末)」]

참고문헌

  • 『광해군일기(光海君日記)』
  • 『인조실록(仁祖實錄)』
  •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 『선원계보기략(璿源系譜記略)』
  •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
  •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 지두환, 『광해군과 친인척』, 역사문화,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