흥정당(興政堂)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희궁에서 왕의 일상적 집무 공간으로 사용된 편전.

개설

흥정당(興政堂)은 왕이 신하를 만나 정치를 이야기하고 경서를 강독하는 편전(便殿)으로 사용되었다. 경희궁의 공식적인 편전은 자정전(資政殿)으로 정전인 숭정전의 북쪽에 있었다. 조선후기에 들어서면서 정전과 연계하여 공식적으로 활용되는 외전(外殿)의 편전 외에, 왕의 침전 가까운 곳에 일상적인 정치 공간으로 활용되는 내전(內殿)의 편전이 등장하였다.

창덕궁에서는 인정전 동쪽에 인접한 선정전(宣政殿)을 외전의 편전으로 사용하였으며, 조선후기에는 대조전(大造殿) 남쪽에 위치한 희정당(熙政堂)을 편전으로 자주 사용하였다. 흥정당과 희정당같이 평소에 사용되는 편전은 동·서온돌을 갖추고 가운데 대청을 두어 생활에 편리를 주었다.

위치 및 용도

흥정당은 경희궁에서 왕이 침전으로 활용하는 회상전(會祥殿)과 융복전(隆福殿)의 남쪽에 있었다. 흥정당은 침전과 가까이 있어 왕이 일상적으로 정치를 의논하거나 경연을 하기에 편한 건물이었다. 정조는 1776년(정조 즉위)에 경희궁에서 머물면서 흥정당을 편전이라 명하였다(『정조실록』 즉위년 4월 6일). 흥정당 남행각에는 세자가 강독하는 곳으로 활용하는 존현각(尊賢閣)과 책을 보관하는 주합루(宙合樓)가 있었다.

변천 및 현황

경희궁은 1617년(광해군 9)에 인왕산 아래에 터를 잡고 건립되기 시작하여 1620년(광해군 12)에 완공되었다. 이때 왕의 침전인 회상전과 융복전 남쪽에 흥정당이 건립되었다. 인조 이후 순조대에 이르기까지 왕이 신하를 만나거나 경서를 강하는 곳으로 주로 사용하였다.

1829년(순조 29) 10월에 회상전에서 화재가 일어나 융복전과 집경당(集慶堂), 흥정당, 정시합(正始閤), 사현합(思賢閤) 등을 모두 태웠다(『순조실록』 29년 10월 3일). 화재 직후 중건 공사를 시작하여 1831년(순조 31) 3월에 상량하였으며, 4월에 공사를 마쳤다. 하지만 고종이 경복궁을 중건하고 난 뒤, 경희궁은 궁궐로 활용되지 못하였으며, 1868년(고종 5)에 경희궁의 공허지를 경작지로 분배하였다.

이 무렵 경희궁의 전각들이 대거 철거되었으나, 흥정당은 숭정전(崇政殿)·회상전·흥화문(興化門)·황학정(黃鶴亭) 등과 함께 남아 있었다. 그러나 1910년(융희 4)에 경희궁터에 경성중학교가 들어서면서 학교 교사로 사용하였으며, 1915년 4월부터 1925년 3월까지 임시소학교 교원양성소 부속 단급소학교의 교실로 사용되었다. 1928년 3월에 광운사(光雲寺)에 매각되어 광운사 부지의 동쪽에 이축되었다. 1950년대까지 장충동에 남아 있었다고 하는데, 지금은 행방을 알 수 없다.

형태

규모는 정면 4칸, 측면 3칸이며 팔작지붕 건물이다. 공포부는 이익공으로 하였다. 기단을 뒤로 물리고 정면 기둥에 장초석(長礎石)을 놓아 누각 형식으로 조성하였다. 이는 흥정당과 같이 조선후기에 편전으로 활용된 건물의 특징으로 창덕궁 희정당과 창경궁 숭문당(崇文堂)이 같은 형태이다.

흥정당은 사방이 행각으로 둘러싸여 있다. 남행각에는 흥정문(興政門), 동행각에는 숭양문(崇陽門), 서행각에는 광명문(廣明門)·금요문(金耀門)이 있다.

관련사건 및 일화

1834년(순조 34)에 순조가 승하하자, 헌종이 8세의 나이로 왕위에 올랐다. 어린 왕을 대신하여 왕대비였던 순원왕후(純元王后) 김씨(金氏)가 수렴청정할 것을 결정하고 수렴청정의 장소를 흥정당으로 하였다. 그리하여 11월 18일에 흥정당에서 수렴청정의 예를 갖추고 조하를 받았다(『헌종실록』 즉위년 11월 18일).

참고문헌

  • 『궁궐지(宮闕志)』「서궐도안(西闕圖案)」『서궐영건도감의궤(西闕營建都監儀軌)』
  • 박성진·우동선, 「일제강점기 경희궁 전각의 훼철과 변화」, 『대한건축학회』 제26권 제1호(통권 제50집), 2006.
      1. 그림1_00018016_『서궐영건도감의궤』 「도설」, 흥정당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