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추(鞭蒭)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말을 달리며 마상편곤을 이용하여 짚 인형을 공격하는 마상 무예의 일종.

개설

편추는 달리는 말 위에서 마상편곤(馬上鞭棍)을 사용하여 전후좌우 사방의 적을 공격하는 마상 무예의 일종이다. 조선후기에는 기창(騎槍)보다 빠른 회수력과 휴대의 간편성 때문에 마상편곤이 기병 돌격 무예의 핵심으로 인정받았다. 특히 훈련도감에는 편곤군을 따로 두어 전문 부대를 육성하였다(『인조실록』 5년 9월 27일). 조선후기 기병의 기본 무장 상태는 기본 방어 무기인 환도(還刀)와 원거리 공격 무기인 궁시(弓矢) 그리고 돌격 무기로 활용된 마상편곤을 갖추도록 명확하게 명문화하였다.

연원 및 변천

편추는 사용하는 무기가 마상편곤인데, 마상편곤이라는 말 역시 편추를 대신하여 사용하는 무예 이름이기도 했다. 곡물을 타작할 때 사용했던 농기구인 도리깨를 발전시켜 무기화한 것이다. 모편(母鞭)과 자편(子鞭)을 세 개의 둥근 고리로 연결하여 긴 자루 쪽인 모편을 잡고 휘둘러 타격하는 무기이다.

조선후기에 임진왜란을 거치면서 조선 기병이 수련한 여러 가지 마상 무예 중 가장 눈에 띄는 것은 편추이다. 편추는 임진왜란 때 명군이 사용했던 무기를 도입한 것으로 조선전기에는 활용되지 않은 마상 무예였다. 원래 편곤과 같이 공격하는 부분이 자유롭게 움직이는 무기를 중국에서는 다절곤(多節昆)이라고 하는데, 그 시작은 춘추전국시대부터였다. 춘추시대의 경서 중 『묵자(墨子)』에는 ‘연정’이라는 무기로 성을 지킬 때 성벽을 기어오르는 적을 두 자루의 봉을 연결하여 타격한다고 기록되어 있다.

조선후기 무과 시험에서 편추의 자세를 살펴보면 첫 번째 자세인 상골분익세(霜鶻奮翼勢)는 왼손으로 말의 고삐를 잡고 오른손으로는 편곤을 잡아 높이 쳐올리는 자세를 말한다. 이 자세는 일종의 시작하는 자세로 자신의 용맹함을 알리듯 편곤을 번쩍 세우는 것이다. 두 번째 자세인 청룡등약세(靑龍騰躍勢)는 고삐를 놓고 두 손으로 편곤을 잡아 이마를 지나도록 높이 쳐드는 자세를 말한다. 이 자세는 공격하기 직전의 자세로 상대의 위치에 따라 전후좌우를 모두 공격할 수 있다. 세 번째 자세인 춘강소운세(春江掃雲勢)는 자신의 왼쪽으로 편곤을 크게 휘둘러 방어하는 자세를 말한다. 네 번째 자세는 백호포휴세(白虎炰烋勢)로 두 번째 자세인 청룡등약세와 거의 유사하다. 다섯 번째 자세는 추산어풍세(秋山御風勢)로 세 번째 자세인 춘강소운세와 한 짝이 되는 자세이다. 다시 말해 춘강소운세가 자신의 왼쪽 아래로 편곤을 내렸다가 들어 올리며 방어한다면, 추산어풍세는 자신의 오른쪽 아래로 편곤을 내렸다가 들어 올리며 방어하는 자세이다. 여섯 번째 자세는 벽력휘부세(霹靂揮斧勢)로 편곤을 위로 치켜들었다가 상체를 약간 앞으로 숙이며 왼쪽 앞을 내려치는 자세를 말한다. 마지막 자세는 비전요두세(飛電繞斗勢)로 앞의 자세인 벽력휘부세와 한 짝이 되는 자세를 말한다. 벽력휘부세는 왼쪽 앞을 내려치는 자세인 반면에, 비전요두세는 똑같은 상황에서 오른쪽 앞을 내려치는 자세이다.

형태

무과 시험에서 편추는 표적인 여섯 개의 짚 인형을 각각 28보(步)씩 서로 떨어뜨려 놓고, 중앙의 마로(馬路)를 달리다가 좌우의 짚 인형을 마상편곤을 이용하여 때리는 형태였다. 편추에서 짚 인형의 머리 길이는 1척(尺) 2촌(寸)이고, 추인의 목 길이는 3촌이다. 좌우의 거리는 마로로부터 3보 떨어져 있다. 특히 편추 시험은 시간과 공간 제한이 있었는데, 마로를 벗어나 옆길로 달리거나 정해진 시간 안에 치기를 마치고 원위치로 되돌아오지 못한 경우에는 기추(騎芻)의 경우와 같이 점수를 주지 않았다.

참고문헌

  • 『속대전(續大典)』
  • 『무과총요(武科總要)』
  • 『무예도보통지(武藝圖譜通志)』
  • 『병학통(兵學通)』
  • 노영구 외, 『정조대의 예술과 과학』, 문헌과해석사, 2000.
  • 최형국, 「조선후기 기병 마상무예의 전술적 특성」, 『군사』70, 2009.
  • 최형국, 「조선후기 기병의 마상무예 연구」,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