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지(苔紙)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가는 털과 같은 이끼를 섞어서 뜬 종이.

개설

태지(苔紙)는 닥나무 등의 장섬유와 파란색을 띤 수태(水苔)를 넣어 만든 종이이다. 태지는 김안국(金安國)에 의해 중종조 이후에 널리 사용되었고, 종이의 품격이 매우 고아(高雅)하여 시전지(詩箋紙)·간찰지(簡札紙)·시문지(詩文紙)·서화지(書畵紙)·혼서지(婚書紙) 등 특수 용도로 사용되었다. 중국에서도 조선의 태지를 인정하였고 오늘날까지도 그 전통이 이어지는 종이이다.

연원 및 변천

1541년(중종 36)에 병조판서김안국이 태지 5속(束)을 진상하며 태지 제조법을 설명하기를, “고향에 있을 때 고서(古書)를 보니 물이끼[水苔]로 종이를 만든다는 말이 있어 시험 삼아 만들어 보았는데 이끼로 종이를 만드는 방법은 닥나무에 이끼를 섞어서 만드는 것으로, 이끼가 어린 것에는 닥나무를 조금 더 넣고 이끼가 센 것이면 닥나무를 적게 넣어서 만든다고 하였다(『중종실록』 36년 6월 25일).

이에 중종은 태지를 만들어서 서울과 지방에 퍼뜨려 유행하게 하면 관부나 백성에게 이익이 있을 것이므로 진상한 4속을 조지서에 보내어 태지의 견본을 만들도록 명하였다. 즉 김안국에 의해 태지가 알려지고 태지의 견본을 만들어 널리 유포되었던 것이다. 중국의 경우 3세기 중엽부터 4세기 초 사이에 이미 태지가 있었고, 우리나라에서도 일찍부터 개발되어 사용되었던 종이이지만 김안국이 진상한 1541년 이후부터 보편화되었다.

형태

태지는 일반 닥나무 종이의 제조 과정과 유사하다. 지통에서 황촉규를 푼 물에 닥섬유를 골고루 푼 다음, 미리 채취해 깨끗이 씻은 수태를 넣어 종이를 뜨는 것이다. 이때에 닥나무 등의 장섬유가 주원료이고, 수태는 종이의 표면에 아름다운 문양 역할을 하는 부수적인 첨가 재료이다.

1541년 김안국은 태지를 진상하며 태지로 만든 고서를 보았다고 하여 서책의 종이로 태지를 사용한 사실을 알 수 있다. 그러나 현존하는 대부분의 태지 실물은 간찰의 종이에서 찾아볼 수 있다. 푸른색의 가는 수태가 종이의 표면에 펼쳐져 문양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간찰의 문양지 중 하나로 사용되었다. 뿐만 아니라 태지의 품격을 드러낼 수 있는 용도로 시전지·시문지·서화지·혼서지 등에 사용되었다.

참고문헌

  • 『모재집(慕齋集)』
  • 정선영, 「태지(苔紙)에 대한 일고찰(一考察)」, 『서지학연구』7, 19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