측우기(測雨器)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조선 세종대부터 조선후기에 이르기까지 강우량을 측정하는 데 쓰인 기구.

개설

1440년(세종 22)을 전후하여 발명되어 1442년(세종 24)부터 20세기 초 일제의 통감부에 의해 근대적 기상 관측이 시작될 때까지 조선왕조의 공식적인 우량 관측 기구로 사용된 도구로, 현대의 우량계에 해당한다. 금속제 원통형 그릇에 빗물을 받아 표준화된 눈금의 자로 그 깊이를 측정했으며, 같은 규격의 기구와 자를 서울의 천문관서와 지방의 관아에 설치하여 전국적으로 우량 관측 및 보고 체계를 갖추었다.

측우기는 길이를 재는 자인 주척(周尺)으로 안지름이 7인치(14.7㎝), 높이 약 1.5척의 원통으로 되어 있는데, 비가 올 때 이 원통을 집 밖에 세워두면 빗물을 받을 수가 있다. 관상감의 관원이 직접 주척으로 물의 깊이를 측정하여 보고하였으며, 중앙에는 관상감에, 지방에는 각 도의 감영(監營)에 설치하였다. 처음에 철로 만들었으나, 뒤에 구리로 만들어 쓰기도 하였고, 지방에서는 자기(瓷器)·와기(瓦器) 등을 쓰기도 하였다. 주척은 나무 또는 대나무로 만들어 사용하였다.

내용 및 특징

강우량을 정량적으로 측정하여 보고하는 제도는 1441년 측우기 도입 이전에도 있었다. 비가 온 뒤에 땅에 비가 얼마나 스며들었는지를 조사하여 강우량을 측정하였다. 1441년(세종 23) 4월 29일에 왕세자 이향(李珦)이 가뭄을 근심하여 우량을 측정하는 정확한 방법을 연구하고 있었고, 이를 위해 그릇에 빗물을 받아 그 양을 재는 방식을 시험하고 있었다(『세종실록』 23년 4월 29일). 땅에 빗물→이 스민 깊이는 토양의 습도에 따라 달라지므로 이 방법으로는 빗물의 양을 정확히 알기 어렵다는 이유였다. 왕세자의 이 아이디어는 그해 8월 호조(戶曹)에 의해 보고되었고, 이후 그릇의 규격 등에 관한 몇 가지 수정을 거쳐 이듬해 1442년 5월 8일에 측우기를 이용한 전국적인 우량 관측 및 보고 제도가 확정되었다. ‘측우기’라는 이름이 사용된 것도 이때부터이다(『세종실록』 24년 5월 8일).

측우기는 주철(鑄鐵)로 된 원통형 그릇으로, 깊이 1자 5치(약 31㎝), 지름 7치(약 15㎝)로 규격이 정해졌다. 1441년의 원래 구상에 따르면, 깊이 2자(약 42.5㎝), 지름 8치(약 17㎝)의 원통형 그릇으로 좀 더 크게 만들 계획이었으나, 아마도 2자의 깊이로 빗물이 차는 일이 거의 없고 또 빗물을 측정하기에는 그릇이 너무 깊어 규격을 더 편리하게 줄인 것으로 생각된다. 이 측우기를 돌로 만든 측우대(測雨臺) 위에 올려놓고 비 온 뒤 그 속에 고인 빗물의 깊이를 주척으로 읽는데, 약 2㎜를 나타내는 푼[分] 단위까지 정밀하게 재어 보고하도록 하였다.

세종대에는 이상과 같은 표준으로 제작된 측우기와 주척을 중앙의 천문관서인 서운관(書雲觀)과 팔도의 감영에 나누어 주고, 그 이하 행정 단위의 관아에서는 이를 모델로 하여 자기 또는 와기로 측우기를 만들어 설치하도록 하였다. 서운관의 관원과 팔도감사 및 각 고을의 수령들은 비가 오면, 비 오고 갠 시간과 주척으로 푼 단위까지 측정한 빗물의 수심을 기록하여 조정에 보고하고, 훗날에 참고하기 위해 그 기록을 남겨두도록 규정했다. 이후로 조선에서는 측우기로 강우량을 측정하는 일이 전국적으로 시행되었다.

측우기를 써서 강우량을 과학적으로 측정하는 일은 세종 때 이후 1백여 년 동안 시행되었다. 그러다가 임진왜란의 참화로 측우기에 의한 강우량 측정의 전통은 끊어지고 말았다. 거의 모든 측우기가 없어진 것이다. 지금까지 조선전기에 제작된 측우기는 전혀 발견되지 않았다.

변천

측우기 제도가 부활한 것은 1770년(영조 46) 5월이다. 영조 때의 측우기는 청동으로 만들어졌으며 규격은 세종 때와 같았다. 당시 영조는 『동국문헌비고(東國文獻備考)』의 편찬을 통해 조선왕조의 역대 전적과 제도를 정리하고, 조선초기 왕들이 만든 제도를 부활하여 왕조의 권위를 높이고자 했다. 영조는 특히 세종대에 갖추어진 천문과 기상 관측 제도를 부흥시키는 데 깊은 관심을 보였는데, 측우기 제도 복원 사업도 그 일환으로 이루어진 일이다. 영조는 『세종실록』에 기록된 측우기의 규격과 관측 및 보고 제도를 거의 그대로 준수하였다. 한 가지 차이가 있다면, 전국의 모든 고을에까지 측우기를 설치했던 세종 때와는 달리 영조는 서울의 궁궐과 서운관, 팔도 감영, 강화와 개성의 유수부에만 설치했다는 것이다.

측우기는 1782년(정조 6)에도 만들어졌다. 지금 여주의 세종대왕릉의 전시실에 보존되어 있는 대리석 측우대는 그때 만든 것이다. 이 측우대에는 세종 때에 측우기를 만들게 된 배경이 새겨져 있다. 가뭄을 걱정하던 왕이 비 오기를 비는 마음으로 이 측우기를 만들었다는 내용의 명문이 새겨져 있는 것이다.

국립과학관에 있는 1811년(순조 11)의 측우대는 순조 때에도 측우기가 만들어졌음을 말해준다. 세종 때부터 측우기는 수없이 만들어졌지만 애석하게도 지금은 기상청에 보존되어 있는 1837년(헌종 3)의 청동제 측우기가 유일하다. 공주감영에서 만든 이 측우기는 그 당시 중앙관상대장 양인기 박사의 노력으로 1971년 3월에 일본 기상청에서 되돌려 받은 것이다. 1920년 초의 보고에 의하면 그때까지만 해도 영조 때의 것이 3개, 공주감영 제작의 측우기와 대석, 정조 때의 것 등 여러 개가 있었다.

한편, 측우기를 이용한 관측 및 보고는 1907년 일제의 조선통감부에 의해 근대적 기상 관측이 도입될 때까지 계속되었다. 특히 매일매일의 『승정원일기』에 기록된 140년간의 서울 우량 기록은 20세기 초까지 세계에서 가장 장기간의 우량 관측 기록이다. 그 외에 팔도 감영과 유수부 등 지방의 관아에서 올린 우량 기록도 상당량이 남아 있다. 이 보고서는 국사편찬위원회에서 편집·영인한 『각사등록』에서 찾아볼 수 있다.

1904년 러일전쟁을 계기로 한국에 파견되어 이후 일제의 조선통감부 및 조선총독부 관측소장을 역임한 기상학자 와다 유지[和田雄治]는 조선왕조의 천문·기상 관측 제도와 관측 자료를 조사하던 중 측우기와 이를 이용한 관측 기록을 발견했다. 이후 그는 『조선고대관측기록조사보고(朝鮮古代觀測記錄調査報告)』를 포함한 몇 편의 보고서를 통해, 조선이 유럽보다 앞서 측우기를 만들어 사용했으며, 서울에 관해서는 세계에서 최장기 우량 관측 기록을 보유하고 있음을 알렸다.

참고문헌

  •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 『각사등록(各司謄錄)』
  • 『서운관지(書雲觀志)』
  • 김성삼, 「측우기 발명의 이설(異說)에 대한 고찰」, 『한국기상학회지』24-1, 1988.
  • 나일성, 『한국천문학사』, 서울대학교출판부, 2000.
  • 남문현, 「혼천의, 자격루, 측우기」, 『한국사시민강좌』23, 1998.
  • 남문현, 『장영실과 자격루』, 서울대출판부, 2002.
  • 미야가와 타쿠야, 「식민지의 ‘위대한’ 역사와 제국의 위상:와다 유지[和田雄治]의 조선기상학사 연구」, 『한국과학사학회지』32(2), 2010.
  • 박성래, 「동아시아 과학사에서의 자랑과 편견」,『과학사상』19, 1996.
  • 이은성, 『역법의 원리분석』, 정음사, 1985.
  • 이태진, 「세종대의 천문 연구와 농업정책」,『조선유교사회사론』, 지식산업사, 1989.
  • 전상운, 『한국 과학기술사』, 정음사, 1976.
  • 전상운, 『세종 문화사 대계』2,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0.
  • 정성희, 『우리 조상은 하늘을 어떻게 생각했는가』, 책세상, 2000.
  • 정성희, 『조선후기 우주관과 역법의 이해』, 지식산업사, 2001.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