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파보(楸波堡)
주요 정보 | |
---|---|
대표표제 | 추파보 |
한글표제 | 추파보 |
한자표제 | 楸波堡 |
상위어 | 방어영(防禦營), 병영(兵營), 진(鎭) |
동의어 | 추파구자(楸坡口子), 추파보(楸坡堡), 추파진(楸坡鎭) |
관련어 | 진보(鎭堡), 채삼(採蔘) |
분야 | 정치/군사·국방/방어시설 |
유형 | 건축 |
지역 | 대한민국 |
시대 | 조선 |
왕대 | 조선 |
집필자 | 송양섭 |
장소 | 평안도 강계부(江界府) |
규모(정면/측면/칸수) | 둘레: 1,300척 |
양식 | 목책 |
관련 인물 | 이수남(李壽男) |
조선왕조실록사전 연계 | |
추파보(楸波堡) | |
조선왕조실록 기사 연계 | |
『세종실록』 26년 윤7월 13일, 『세조실록』 6년 6월 1일, 『고종실록』 6년 10월 20일 |
조선시대 평안도 강계군에 설치하여 만호가 관할하던 진보.
개설
추파진은 평안도 강변(江邊) 7읍 중 하나인 강계군에 설치한 군사시설이다. 강변 7읍은 압록강 이북으로부터 이민족의 침입을 일차적으로 방어하는 군사적 요충지였다. 그중에서도 강계군은 압록강의 상류 지점에 위치하여 대규모 적이 침입할 수 있는 가장 유력한 지역으로 지목되었다. 『여지도서』에 따르면 이미 18세기 초반 강계군에는 평안도에서 가장 많은 10개의 진보가 촘촘하게 설치되었고, 4,605명의 군병이 배속되어 있었다. 추파진은 강계부에서 북쪽 방향으로 가까운 곳에 설치되어 압록강을 건너 강계부 방향으로 침입하는 적군을 방어하는 역할을 담당하였다.
위치 및 용도
평안도 강계부에서 북쪽으로 가까운 곳에 위치하였다. 18세기 강계군에는 총 10개 진보가 설치되어 있었는데, 압록강 변으로는 고산리진(高山里鎭)·벌등진(伐登鎭)·만포진(滿浦鎭)이 지키고 있었으며 내지(內地)에는 욋괴진(夞怪鎭)·상토진(上土鎭)·종포진(從浦鎭)·추파진(楸坡鎭)·마마해보(馬馬海堡)·평남진(平南鎭)·신광진(神光鎭)이 배치되었다. 이 중 추파진은 강계부에서 만포진으로 가는 도로에 설치되었다.
추파진의 역할은 기본적으로 외적의 방어와 감시였다. 평안도의 방어체제는 순(巡)·병영(兵營)―주진관(主鎭管)·독진(獨鎭)―진보(鎭堡)―파수(把守)로 이어지는 구조였다. 여기에 지휘체계가 미치기 어렵거나 주요한 군사적 요충지에는 추가적으로 방어영(防禦營)을 설치하였다. 추파진과 같은 진보는 평안도의 강변과 내지의 요충지에서 실질적인 방어를 담당하는 군사시설이었다.
강계부의 진보는 군사적 기능 외에도 채삼(採蔘)이라는 특수한 임무를 수행하고 있었다. 추파진도 예외가 아니었는데, 추파진 군병들은 인삼을 채집하는 기간이 되면 군사 업무를 잠시 뒤로하고 산에 올라가 인삼을 채취했다. 추파진이 담당하던 채삼 지역은 북쪽으로 멀리 떨어진 여연(閭延)이었다. 강계부에서 생산되는 인삼은 조선시대 국용 인삼의 대부분을 차지할 만큼 그 비중이 매우 높았다.
변천 및 현황
조선초기부터 군사적 중요성을 인정받아 방어체제가 갖추어졌다. 1444년(세종 26)에는 이미 추파구자(楸坡口子)가 설치되어 적의 동태를 정탐하고 있었다(『세종실록』 26년 윤7월 13일). 추파구자에는 목책(木柵)이 설치되었고 농민들이 구자 안에서 농사를 지었다(『세조실록』 6년 6월 1일). 임진왜란 이후 추파진은 군병이 23명이 상주하는 아주 작은 진보로 전락하였지만, 숙종 즉위 이후 본격적으로 정비되어 18세기 이후에는 지휘자인 만호와 총 252명의 군병이 배치되었다. 추파진은 1869년(고종 6) 혁파되었다(『고종실록』 6년 10월 20일).
형태
추파진은 조선초기부터 목책을 설치하여 적군을 방어하였다. 목책의 둘레는 모두 1,300여 척(약 394m)이었다. 18세기 이후에는 만호의 지휘를 받는 총 252명의 군졸이 추파진에 배치되었다.
참고문헌
- 『속대전(續大典)』
- 『여지도서(輿地圖書)』
- 『만기요람(萬機要覽)』
- 『해동지도(海東地圖)』
- 『인재집(訒齋集)』
- 강석화, 「조선후기 평안도지역 압록강변의 방어체제」, 『한국문화』34, 규장각한국학연구소, 2004.
- 고승희, 「조선후기 평안도지역 도로 방어체제의 정비」, 『한국문화』34, 규장각한국학연구소, 2004.
- 문광균, 「18세기 강계지역 공삼제의 운영과 변화」,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 이철성, 「17세기 평안도 ‘강변 7邑’의 방어체제」, 『한국사학보』13, 고려사학회, 2002.
- 임성수, 「18세기 평안도 진보재정의 운영과 변화」, 『한국사학보』46, 고려사학회,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