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생산성(天生山城)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영남대로의 낙동강 유역을 수비하기 위한 목적으로 경상도 인동현천생산에 축조한 산성.

개설

전설에 따르면 천생산성은 박혁거세(朴赫居世)가 축조했다고 하며 임진왜란 이후 그 중요성이 인정되어 곽재우(郭再祐) 등에 의해 본격적으로 수축되었다. 인근의 선산 금오산성(金烏山城)·칠곡 가산산성(架山山城)과 함께 낙동강 유역을 지나는 영남대로를 수비하는 역할을 하였다. 산 정상에 절벽으로 둘러싸인 평평한 대지가 있어 성을 쌓고 수비하기에 천혜의 조건을 가지고 있으며 조선시대에는 별장(別將)이 배치되어 성을 지켰다. 그러나 지나치게 험한 입지 때문에 때로는 공성(空城)으로 남아 있기도 하였다. 현재 경상북도 기념물 제12호로 지정되어 있다.

위치 및 용도

서울에서 시작하여 문경새재를 거쳐 낙동강 연안을 따라 동래(東萊)까지 이어지는 영남대로는 의주대로와 함께 조선의 가장 중요한 교통로였다. 낙동강을 따라서 좌·우에 중요한 도로가 지나가고 있었다. 또한 낙동강은 그 자체로 굉장히 중요한 수운(水運)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었다. 천생산성은 그중에서도 낙동강 변을 따라 이어지는 영남대로 바로 옆에 위치하고 있다. 특히 강 바로 건너편에는 선산(善山)의 금오산에 금오산성이 위치해 있고, 또 바로 아래쪽에는 칠곡(漆谷)의 가산산성이 입지하여 있어 영남대로와 낙동강을 인동·선산·칠곡 등의 고을이 겹겹이 수비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었다.

인동의 수령은 천생산성이 지어짐에 따라 조방장(助防將)을 겸하게 되었으며 인동은 현(縣)에서 도호부(都護府)로 승격되었다(『선조실록』 38년 7월 10일). 또한 천생산성은 인동의 읍치(邑治), 즉 수령의 업무 공간 소재지에서 동쪽으로 8리(약 3.1㎞) 정도 떨어져 있었기 때문에 따로 별장(別將)을 파견하여 성을 관리하였으나 때로는 혁파하기도 하였다. 천생산성에는 환곡을 두어 군량을 확보하도록 하고 있었다.

변천 및 현황

천생산성은 그 축성 방식이나 인근의 고분군이 위치한 점을 고려해볼 때 삼국시대에 축성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그 이후로는 문헌에 언급이 없다가 『경상도지리지』와 『세종실록지리지』에 천생산석성(天生山石城)이라는 이름으로 언급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조선전기에는 성으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성종대에 간행된 『경상도속찬지리지』와 중종대에 간행된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이미 폐성(廢城)이라 한 것으로 보아 16세기부터 임진왜란까지는 성의 역할을 하지 못했던 것으로 생각된다.

임진왜란의 와중에 영의정(領議政)류성룡(柳成龍)이 천생산성 축성의 필요성을 주장하며 배설(裵楔)로 하여금 수축하게 하자고 주장하여 비로소 천생산성의 군사적 역할이 재개되었고(『선조실록』 29년 4월 2일), 권율(權慄) 역시 천생산성 수축의 필요성을 주장하기도 하였다(『선조실록』 29년 11월 16일). 그리하여 1604년(선조 37)에는 어느 정도 수선이 된 성을 찰리사(察理使)곽재우(郭再祐)가 직접 가서 보수하였다(『선조실록』 37년 4월 14일).

그러나 천생산성은 지나치게 지세(地勢)가 험하기 때문에 사람이 살기 어렵다는 점이 계속하여 지적되었다(『인조실록』 16년 2월 7일). 그리하여 마침내 별장(別將)을 없애고 인동에서 관리하도록 하였다. 이후 천생산성을 아예 폐지하자는 주장이 나오는데(『현종실록』 5년 7월 8일) 이후 조정의 논의로 보아 실제로 사람이 살지 않는 공성이 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다만 백성의 편의와 변란의 대비를 위해 성안의 창고에서 환곡을 관리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형태

천생산성은 천생산 정상 부분을 따라 쌓은 성으로 돌로 쌓은 내성(內城)과 토석(土石)을 섞어 만든 외성(外城)으로 구성되어 있다. 천생산의 정상부는 사방이 절벽으로 둘러싸여 있는 천혜의 요새이다. 다만 동면은 비교적 완만한 경사를 이루고 있는데, 이 완만한 동면에 남북 방향으로 약 1.3㎞의 석성을 쌓은 것이 천생산성이다. 성벽의 돌은 다듬지 않은 자연 할석(割石)이다. 성내에는 우물과 연못이 있으며 동·남·북의 세 개의 문이 있었다. 이 외에 암문지(暗門址)와 수구문지(水口門址)도 남아 있다. 천생산성 내에는 장대(將臺)·산성창(山城倉)·군기고(軍器庫)와 만지암(萬持庵)이라는 절이 있었다고 전하나 지금은 남아 있지 않다. 현재 보존 상황이 썩 좋지는 않으며 경상북도 기념물 제12호로 지정되어 있다.

관련사건 및 일화

『여지도서』·『인동읍지』·『만기요람』 등에 따르면 박혁거세가 이 성을 쌓았다고 전한다. 그러나 이를 입증할 만한 조선전기 이전의 자료가 없기 때문에 이를 실증할 만한 방법은 없다. 다만 인근에 사적 제470호로 지정된 구미 황상동 고분군이 있어 신라의 초기 국가 단계의 유물들이 발견되어 천생산성과 신라의 관련성이 간접적으로나마 증명되고 있다.

참고문헌

  •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 『비변사등록(備邊司謄錄)』
  • 『경상도지리지(慶尙道地理志)』
  • 『여지도서(輿地圖書)』
  • 『인동읍지(仁同邑誌)』
  • 『만기요람(萬機要覽)』
  • 이건형, 「금오산성과 천생산성의 연구」, 『대구교육대학논문집』12, 대구교육대학교, 1977.
  • 황부연, 「조선후기 산성 수축과 운영의 재정구조」, 충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