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현각(尊賢閣)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경희궁의 편전인 흥정당 남행각에 위치한, 세자가 독서하던 건물.

개설

경희궁의 편전인 흥정당(興政堂)의 남행각에는 중층 건물이 있었다. 1층은 존현각(尊賢閣)이라 하여 세자가 독서하는 곳이었고, 2층은 주합루(宙合樓)라 하여 서적을 보관하는 곳이었다. 흥정당에서는 왕이 신하들과 경서를 공부하는 경연(經筵)이 이루어졌으며, 그 남행각에서는 세자가 스승들과 경서를 공부하는 서연(書筵)이 행해졌다.

1717년(숙종 43)에 영조가 세제(世弟)였을 때 존현각에서 경서를 강하였는데, 이것을 회고하여 1762년(영조 38)에 건물을 새롭게 고쳐서 동궁이 강습하는 곳으로 사용하도록 하고 기문(記文)을 적어 존현각에 걸도록 하였다(『영조실록』 38년 8월 27일). 이후 왕세손이었던 정조는 이곳에서 서연을 하였으며, 영조와 함께 강론을 하기도 하였다.

1775년(영조 51)에 영조가 왕세손에게 대리청정을 맡길 때 청정절목에 청정의 처소를 경현당(景賢堂)으로 하고 평소 인접은 존현각에서 하도록 규정하였다. 이에 왕세손이던 정조는 조참(朝參)은 경현당에서 하고, 평소에 신하를 만나 정치적 논의를 행하는 장소로는 존현각을 활용하였다(『영조실록』 51년 12월 8일). 정조는 왕세손 시절에 존현각에서 이루어지는 일과를 『존현각일기(尊賢閣日記)』라 하여 기록하였다.

위치 및 용도

존현각은 경희궁의 편전인 흥정당 남행각에 남향으로 자리하였다. 1717년부터 세자가 서연을 하는 곳으로 사용되었으며, 1775년에 정조가 왕세손으로 대리청정할 때에는 편전과 같은 정치적 공간으로 사용되기도 하였다. 순조대에 이르러 효명세자(孝明世子)도 존현각에서 서연하였다. 흥정당과 존현각이 왕과 왕세자의 강연 공간이므로 존현각 주변에 있는 주합루, 관문루(觀文樓), 동이루(東二樓), 홍월루(虹月樓)는 책을 모아두는 곳으로 활용되었다.

변천 및 현황

고종이 경복궁을 중건하고 난 뒤에 경희궁은 궁궐로 활용되지 못하였고, 1868년(고종 5)에는 경희궁의 공허지를 경작지로 분배하였다. 이 무렵 경희궁의 전각들이 대거 철거되었다. 현재 경희궁에는 숭정전(崇政殿)과 자정전(資政殿) 일곽만 복원되었으며, 존현각 위치에는 서울역사박물관이 있다.

관련사건 및 일화

정조는 즉위 이후에도 존현각을 독서하는 곳으로 활용하였다. 1777년(정조 1) 7월 28일, 저녁에 정조가 존현각에 들어 독서하던 중에 무장을 한 무리가 궁궐에 잠입하여 왕을 시해하려 한 ‘존현각적변(尊賢閣賊變)’이 일어났다(『정조실록』 1년 7월 28일). 이 사건을 계기로 경희궁에서 머물던 정조가 창덕궁을 수리하고 이어하게 되었다.

참고문헌

  • 『일성록(日省錄)』
  • 『궁궐지(宮闕志)』「서궐도안(西闕圖案)」
  • 은정태, 「고종시대의 경희궁-훼철과 활용을 중심으로-」, 『서울학연구』34, 2009.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