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산철교(龍山鐵橋)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대한제국기 한강에 놓인 한국 최초의 철교.

개설

1896년(고종 33)부터 추진된 경인선(京仁線) 철로의 일환으로 한강 구간에 다리를 놓게 되었다. 미국인 모스(Morse)에게 경인철도 부설권이 주어져 1897년 3월에 착공하였으나, 자금난으로 난항을 겪다가 1898년 12월에 일본에 부설권을 양도하였다. 노량진과 용산을 잇는 철교 공사는 1899년 9월 30일 착공하여 1900년 7월 5일에 준공되었으며, 이후 용산철교(龍山鐵橋)는 경인선뿐 아니라 경부선을 잇는 중요 다리로 기능하게 되었다.

위치 및 용도

용산철교는 서울특별시 용산구 동부이촌동과 동작구 노량진동 사이에 설치되었다. 1900년 개통 당시에는 경인선의 노량진과 용산구 이촌동을 잇는 역할을 하였으며, 철로를 이용한 여객과 화물의 수송량이 늘어나면서 대한제국 철로 운송의 허리와도 같은 역할을 하였다.

용산철교는 일본이 경인철도 부설권을 모스에게서 인도받아, 1899년 9월 13일 제물포와 노량진 간을 완공하여 가영업을 시작한 뒤에 공사가 시작되었다. 9월 30일 노량진에서 노선 부설 공사를 시작하여 한강 가교 지점까지 진행하였으며, 용산 쪽 공사는 다음해인 1900년 5월 25일에 착수하여 7월 5일에 양쪽 구간이 모두 완성되었다. 용산철교가 완성됨으로써 남대문에서 제물포까지의 철로가 이어지게 되었고, 7월 8일에 경인선 전 철도 구간이 개통되었다. 새로운 교량 건설 기술을 도입하여 한강에 최초로 건설한 이 교량은 경인철도 부설 공사와 병행하여 용산과 노량진 간을 연결하는 한강 철도교로 건설되었다. 이와 같은 사업은 한국에 교량 건축과 토목 공사의 신기술이 도입되는 계기가 되었다.

변천 및 현황

용산철교는 1897년 3월 공사를 시작하여 1900년 7월 준공함으로써 한강에 최초로 놓인 다리가 되었다. 실제 공사 기간은 1897년 3월 24일부터 5월 4일까지 제1차 공사와, 1899년 4월 23일부터 1900년 7월까지 2차 공사를 거쳤다. 우기와 동절기를 제외하고 총 270여 일의 공사 기간이 걸렸다.

용산철교가 개통된 뒤 1905년에 경부선이 개통되자 수송량이 증가하여 기존 설비의 개량이 요구되었다. 따라서 복선화의 필요성이 요구되어 용산철교 상류 쪽에 철교를 증설하게 되었으며, 오늘날에는 이를 한강철교 B로 부른다. 이 철교는 1911년에 착수하여 1912년 9월에 준공하였다. 이와 더불어 기존의 용산철교인 한강철교 A는 1913년 5월 1일에 옛 강철 들보를 철거하고 교각 일부를 개축하여 강도를 높임으로써 늘어난 수송량을 감당할 수 있게 하였다. 그러나 1925년에 을축대홍수로 다리 및 제방이 유실되었기 때문에,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종래의 제방을 개축하여 홍수 때 물이 잘 빠져나가도록 하는 피일교(避溢橋)로 바꾸는 한편 이미 가설된 구형을 90cm 위로 상승시켰다.

1931년에 경부선의 수송량 급증에 따라 용산철교의 하류 쪽에 한강철교 C를 다시 개설하였다. 이 철교는 전시 체제가 악화됨에 따라 1944년에야 준공되었다.

한강철교는 1950년 6·25의 피난 과정에서 인도교와 철교 3개가 모두 폭파되었다가 1950년 9월 서울 수복과 더불어 가교(假橋)가 준공되었으며, 휴전 후인 1954년과 1955년 미국의 ICA 원조 계획에 의하여 1957년 12월 19일 공사가 완료되었으며, 기타 수선 공사를 포함하여 1958년 5월 15일 새로운 모습으로 준공하였다.

형태

용산철교는 상부 부분의 구형(構桁)은 길이 61m인 단선 플랫트형으로 10연(連)이 설치되고, 형폭(桁幅)은 평균 거리 5.1m, 높이 11.3m이며 다리 양쪽 끝을 받치는 기둥인 교대(橋臺) 사이의 총 길이는 628.9m에 이른다. 한강 철도교의 하부 구조는 양 교대 및 9개의 교각으로 되어 있는데, 남안 쪽의 교대는 천연 암반 위에 화강석을 쌓았고 북안 쪽의 교대는 자갈층 위에 콘크리트 시설을 하였다. 하부 구조는 모두 중력식 교각과 교대이고, 기초 공법은 지층의 심도에 따른 토질 조건과 한강의 수심에 따라 잠함공법·우물통공법·강시판공법 등을 채택하여 공사하였다.

제임스 모스가 처음 부설권을 얻어 계약할 당시에는 사람의 통행을 위해 한쪽 또는 양쪽에 폭 1.2m의 인도를 설치하기로 하였으나, 후에 일본 측에서는 공사비 절감을 이유로 이 조건을 철폐시켰다.

관련 사건 및 일화

용산철교는 1925년 한강을 범람한 을축년의 대홍수 때 제방이 떠내려가는 등 유실이 심각하였다. 따라서 유실된 용산 쪽은 교각을 새로 가설하여 설치하였다.

6·25 때에는 한강 인도교와 철교에 대한 폭파 명령에 따라, 1950년 6월 28일 오전 2시 15분 예고도 없이 한강 인도교와 철교 3개가 폭파되었고, 이때 500~800명이 희생된 것으로 추정된다.

참고문헌

  • 서울특별시, 『서울의 다리』, 서울특별시, 1988.
  • 서울특별시, 『한강사』, 서울특별시, 1985.
  • 서울특별시, 『서울육백년사』제3권, 서울특별시, 19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