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호리(多好里)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조선중기 두만강 유역에 거주한 여진족 추장.

개설

다호리는 선조대에 경원부(慶原府)에 소속된 번호(藩胡) 추장으로 ‘큰 추장(巨酋)’이라고 불릴 정도로 상당한 세력을 가진 자였다. 임진왜란이 한창이던 1594년경 두만강 유역의 번호가 조선에 반발할 때, 같이 준동하였다가 조선군에게 멸망당하였다.

활동 사항

다호리가 처음 기록에 등장하는 것은 『제승방략(制勝方略)』이었다. 『제승방략』은 김종서가 처음 만들고, 1588년(선조 21) 3월에 당시 함경북도병마절도사(咸鏡北道兵馬節度使)로 재임 중이던 이일이 증보(增補)하였다. 여기에는 당시 육진에 소속된 두만강 내외의 번호 추장과 부락(部落), 거리, 규모 등의 정보가 기재되었다. 이때 다호리는 경원부 소속의 번호로, 종족은 니마차올적합(尼麻車兀狄哈)이었다. 그리고 경원에서 동쪽으로 15리가량 떨어진 노이도(老耳島) 차하단부락(次下端部落)에서 25호(戶)를 거느린 추장이라고 하였다.

1592년에 임진왜란이 발발하면서 함경도 지역은 가등청정(加藤淸正)에게 함락되었다. 곧 정문부 등의 활약으로 조선은 함경도를 회복하였지만, 조선은 일본과의 전투에 집중하느라 이 지역에 관심을 기울일 수 없었다. 이에 이전부터 조선에 조공하며 필요한 물품을 확보하던 두만강 유역의 번호들은 큰 타격을 입었다.

이후 1594년(선조 27) 7월에 골간올적합(骨看兀狄哈)이 서수라(西水羅)를 공격한 이래 번호의 공격이 지속되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다호리도 조선을 공격하였다. 동년 10월에 함경북도병마절도사정현룡은 경원의 거추 다호리 등의 부락을 탕멸(蕩滅)하였고, 이 때문에 조선군의 위엄이 약간 진작되어 사기가 올랐다고 보고하였다. 한편, 『선조실록』 해당 부분에서는 “경원(慶源) 지경의 거추와 다호리 등의 부락”이라고 해석하여 다호리를 부락명으로 보았다(『선조실록』 27년 10월 11일). 그러나 다호리는 차하단부락의 추장이므로, “경원 지경의 거추인 다호리 등의 부락”으로 해석해야 한다.

참고문헌

  • 『제승방략(制勝方略)』
  • 박정민, 『조선시대 여진인 내조 연구』, 경인문화사, 2015.
  • 한성주, 「임진왜란 전후 女眞 藩胡의 朝鮮 침구 양상과 조선의 대응 분석 」, 『동양사학연구』 132, 2015.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