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릉(寧陵)

sillokwiki
이동: 둘러보기, 검색



조선 효종과 비 인선왕후(仁宣王后) 장씨(張氏)의 능.

개설

효종은 인조의 둘째 아들로, 어머니는 인열왕후(仁烈王后) 한씨(韓氏)이다. 8세 되던 해인 1626년(인조 4)에 봉림대군(鳳林大君)에 봉해졌으며, 병자호란 이후 소현세자(昭顯世子)와 함께 심양에서 인질 생활을 했다. 그 뒤 소현세자가 귀국 후 갑자기 세상을 떠나게 되면서 인조의 뒤를 이어 즉위하였다. 재위 10년 만인 1659년(효종 10) 5월 4일 창덕궁 대조전에서 승하하여, 10월 29일에 건원릉(健元陵) 서쪽의 영릉에 안장되었다. 그러나 불과 10여 년 만인 1673년(현종 14)에, 석물에 틈이 생겨 봉분 안으로 빗물이 스며들 염려가 있다는 이유로 세종의 능인 영릉(英陵)의 동쪽으로 천장하였다.

효종의 비인 인선왕후는 신풍부원군(新豊府院君) 장유(張維)의 딸이다. 1631년(인조 9)에 봉림대군과 가례를 올리고 풍안부부인(豊安府夫人)에 봉해졌으며, 1649년(효종 즉위)에 효종이 즉위하면서 왕비에 책봉되었다. 이후 효종의 능인 영릉을 여주로 천장한 지 1년이 채 지나지 않은 1674년(현종 15) 2월 24일에 경덕궁 회상전에서 승하하였다. 그해 6월 4일, 유언에 따라 효종의 능침 아래쪽에 안장되었다[『현종실록』 15년 6월 4일].

조성 경위

1659년에 효종이 승하하자, 좌의정 심지원(沈之源)을 국상을 주관하는 총호사(摠護使)로 임명하였다. 장지로는 세종의 영릉이 있는 여주의 홍제동(弘濟洞), 건원릉 경내의 첫 번째 언덕, 수원 등이 후보에 올랐다. 두루 살핀 끝에 수원으로 결정하고 산릉 조성 공사를 시작했으나,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 송시열(宋時烈)이 건원릉 주변을 다시 살펴볼 것을 제안하였다. 여주는 멀고, 수원은 군사 요충지이므로 능을 두기에 적절하지 않다는 것이 이유였다. 송시열의 주장이 있은 이후 수원에 능을 조성하는 것을 반대하는 상소가 끊이지 않자, 현종은 할 수 없이 건원릉 안 건좌(乾坐)의 언덕을 산릉지(山陵址)로 삼도록 하였다[『현종실록』 즉위년 6월 3일][『현종실록』 즉위 7월 11일 5번째기사]. 정자각과 재실의 규모는 인조의 능인 장릉(長陵)의 제도를 따르도록 하였고, 석물은 건원릉을 참고하였다. 수원부에서 이미 만들기 시작한 석물은 승군을 투입해 운반했으며, 그해 10월 29일에 공사를 마쳤다.

그런데 영릉은 조성 이후 매년 수리를 해도 계속 병풍석의 틈이 벌어지고, 물이 고였다. 이에 영림부령(靈林副令) 이익수(李翼秀)가 능을 봉심한 뒤 상소를 올려, 능침을 개봉(改封)하거나 천릉할 것을 제안하였다. 결국 1673년(현종 14) 5월 5일에 천장을 결정하고, 10월 7일 여주 홍제동에 자리한 세종의 영릉 동쪽으로 천장하였다. 총호사는 우의정 김수흥(金壽興)이 맡았다. 이때 새 영릉의 석물은 세조의 능인 광릉(光陵)의 제도를 따르되, 세종의 능과 같은 산 안에 있으므로 영릉(英陵)의 석물을 참고하도록 하였다[『현종실록』 14년 6월 12일][『현종실록』 14년 6월 20일].

조성 상황

처음에는 병풍석을 둘렀으나, 여주로 천장한 뒤에는 난간석만 설치하였다. 상설(象設) 제도는 3계로 나누어, 상계에는 곡장 안에 망주석 2개, 혼유석 1개, 호석(虎石)과 양석(羊石) 4개를 배치하였다. 중계에는 문인석 1쌍과 마석(馬石) 2개, 장명등 1개를, 하계에는 무인석 1쌍과 마석 2개를 배치하였다. 병풍석을 세우지 않는 전통은 세조의 광릉에서 비롯되었다. 이후 성종의 능인 선릉(宣陵)을 조성할 때부터 다시 설치하기 시작했으나, 영릉을 천장하면서 다시 사용하지 않게 되었다. 인선왕후의 능에는 곡장만 없을 뿐, 다른 의물의 배치는 효종의 능과 똑같다. 능원 아래에는 정자각·비각·홍살문·재실이 있고, 홍살문과 정자각 사이에는 금천(禁川)이 흐른다. 영릉에는 왕과 왕비의 능이 좌우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위아래로 배치되어 있다. 이는 풍수지리상 길게 뻗어 내린 언덕의 위, 아래에 각각 생기가 왕성한 정혈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영릉은 이와 같이 위아래 형태로 조성된 조선 최초의 왕릉이다.

변천

1674년에 현종이 승하하자, 산릉 터를 건원릉 안 옛 영릉의 남서쪽으로 정하였다. 이는 영릉에 사용했던 석물을 다시 이용하도록 하여, 산릉 공역에 따른 백성들의 노고를 덜어 주려는 의도에서였다[『숙종실록』 즉위년 9월 15일].

1703년(숙종 29)에는 영릉의 정자각을 중건하면서 비각을 새로 건립하였다. 조선시대에는 세종의 영릉을 조성할 때부터 필요성이 없다는 이유로 표석을 세우지 않았는데, 효종의 능을 천릉하면서 송시열의 건의에 따라 다시 세우게 되었다. 이때는 표석만 설치하고 비각은 세우지 않았다가 나중에 건립한 것이다.

관련 사항

천장한 뒤 비어 있던 옛 영릉 자리에는 영조의 능인 원릉(元陵)이 자리 잡게 되었다. 또한 맨 처음 영릉의 제일 후보지로 낙점되었던 수원의 산릉지에는 정조대에 사도세자(思悼世子)의 묘인 현륭원(顯隆園)이 조성되었다.

참고문헌

  •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 『[현종숭릉]산릉도감의궤([顯宗崇陵]山陵都監儀軌)』
  • 『[효종영릉]산릉도감의궤([孝宗寧陵]山陵都監儀軌)』
  • 『[효종영릉천봉]산릉도감의궤([孝宗寧陵遷奉]山陵都監儀軌)』

관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