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의록 20210707

hanyang2
My9univ (토론 | 기여)님의 2021년 7월 8일 (목) 17:18 판 (새 문서: ==참조할 샘플== * 인물 작성샘플 : 명성황후 * 스토리 작성샘플: 덕수궁의_역사 ==기본 방향== # 이번년도에 작성할 위키는 현재 위키(...)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참조할 샘플

기본 방향

  1. 이번년도에 작성할 위키는 현재 위키(한양2) 입니다. (작년과 다릅니다)
  2. '명성황후' 샘플을 확인하면 아시겠지만, 작년과 큰 차이점 중 하나는‘Additional Attributes’표 등이 없어졌습니다. 필수적인 요소는 Definition에 넣습니다.
  3. 또한 올해 Story 라는 Class가 추가되었습니다. 여러 데이터를 하나의 스토리로 묶어주는 개념입니다. 자세한 것은 후술합니다.
  4. 매주 팀별로 엑셀형태로 받아 취합해서 검토할 예정입니다.
  5. Content의 성격(아래의 4가지 중 최소 2가지는 해당되도록 Content를 구성)
    1. 올해 기존 범위: 덕수궁, 환구단, 정동거리, 담배문, 서대문, 서울역
      * 추가범위: 경희궁, 시전행랑 등
    2. 대한제국 백과사전을 만드는 것
    3. 한양의 옛 모습을 알 수 있는 것 (Object 중 개회도 등)
    4. 한양의 옛 지리를 알 수 있는 것 (Place 중 표석 등)

위키 작성법

Definition

  • 5줄 이내로 간단하게 작성하며, 맨 앞에는 생몰년과 명칭을 넣습니다. 세세한 내용은 다양한 온라인 레퍼런스를 통해 제공합니다.
  • 인물의 Definition 앞 부분 형식: 【1851년(철종 2) ~ 1895년(고종 32)】. 명성황후(明成皇后) .
    • 영문 공식명칭이 있을 경우 괄호 안 한자 옆에 병기합니다.
  • 키워드가 될 수 있는 것은 위키 내 하이퍼링크로 표시합니다.(ex.민치록, 한창부부인 이씨)
  • 인용문구에 각주를 달고, 필요한 경우 어디까지가 해당 각주에 해당하는지 밑줄로 표시해도 됩니다.
<ref>[인용한 사이트 주소]</ref>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Contextual Relations

Web Resource

Bibliography

Semantic Network Graph

  • class와 groupname: ontology:Class2021 보고 하면 됩니다. 필요한 경우 새로 제안해주시면 Groupname 신규 정의에 포함시키겠습니다.

분류

  • 분류에는 한양도성타임머신 2021, Class, 본인 이름 을 넣습니다. (groupname X)
 [[분류:한양도성타임머신 2021]] [[Class]] [[본인 이름]] 을 글 하단에 넣으면 됩니다.
  • 작년 데이터에서 내용을 추가하는 경우 작년에 작성한 사람 이름은 그대로 두고, 자신의 이름을 추가

Story (Class) 신설 관련

  • 작년과는 달리 올해는 class 중 story 가 새로 생겼습니다. 덕수궁의_역사가 샘플입니다.
  • story 항목은 여러 데이터를 하나의 스토리로 묶어주는 개념입니다. 덕수궁의_역사환구단의_건립과정 같이 스토리를 알려줄 필요가 있는 경우에 작성합니다.
  • 모든 데이터를 story로 묶을 필요는 없고, 망라적인 Data를 찾고 그 안에 스토리가 있는 경우에 만들면 됩니다.
  • Story의 groupname으로 ‘storyline’과 ‘episode’가 있습니다. 보통의 경우에는 ‘episode’ 이라고 하면 됩니다. 그런데 스토리가 모여서 큰 스토리를 이루는 경우, 큰 스토리는 ‘storyline’라고 하면 됩니다. (storyline이 안되로 episode로 끝날 수 있습니다.)

즉, 아래의 Semantic Network Graph 에서 ‘덕수궁의 역사’는 story line이고, ‘덕수궁의 탄생’, ‘덕수궁을 거쳐간 임금들’, ‘대한제국의 법궁 경운궁’ 등은 episode입니다.

    • Semantic Network Graph


  • storyline과 episode는 hasPart로 연결, episode끼리는 isPreviousInSequence로 연결. episode와 노드는 isRelatedTo로 연결합니다.(에피소드가 없는 간단한 스토리일 경우 storyline에 바로 node 연결합니다.)
  • story 위키에는 ‘definition’이 아니고 ‘story’로 표현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