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현승 (토론 | 기여 ) 님의 2023년 10월 6일 (금) 21:08 판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Definition
쾌자(快子)는 섶과 고름이 없고 깃 부분은 좌우 모양이 같으며 소매가 없이 길이가 길다. 괘자(掛子, 褂子)나 쾌자·전복(戰服)·답호(褡護)·더그레·가문랄·호의(號衣) 등으로 불렀으며, 형태와 특징이 비슷하여 명칭에 혼란이 있었다. 협수 위에 착용하면 군복을 이루고, 남자 어린이는 두루마기 위에 쾌자를 덧입어 평상복으로 착용하기도 하였다.[1]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Contextual Relations
Web Resource
type: 해설, 참고, 원문 / 사진, 동영상, 도면, 그림, 지도, 3D_지도, 3D_모델
Bibliography
id
type
bibliographic index
online resource
url
RISS:T8886918
논문
이명은, 「『궁중[아래아]발긔』에 나타난 행사 및 복식연구 -장서각소장품을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RISS
http://www.riss.kr/link?id=T8886918
RISS:T12088986
논문
최윤희, 「조선시대 궁중검기무복식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RISS
http://www.riss.kr/link?id=T12088986
RISS:T11004875
논문
변지연, 「더그레에 관한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RISS
http://www.riss.kr/link?id=T11004875
RISS:T130371
논문
이봉숙, 답호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4.
RISS
http://www.riss.kr/link?id=T130371
KCI:ART001157491
논문
박가영·이은주, 「정조시대 군사복식과 제도 개선에 대한 논의」, 『한복문화』 7-3, 한복문화학회, 2004.
KCI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157491
RISS:T13407535
논문
염정하, 「조선 후기 오군영의 군사복식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RISS
http://www.riss.kr/link?id=T13407535
RISS:A106868836
논문
박가영, 「조선 후기 전복의 용도와 착용방식」, 『한국복식』 32,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2014.
RISS
http://www.riss.kr/link?id=A106868836
RISS:T8950378
논문
권오선, 「조선후기 동다리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RISS
http://www.riss.kr/link?id=T8950378
id: 인용전거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online resource: KCI, RISS, DBpia, 네이버 학술정보 .....
Notes
↑ "쾌자" , 『한국민속대백과사전』online , 국립민속박물관.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