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2022-R0-05A

hanyang2
이소영 (토론 | 기여)님의 2022년 12월 16일 (금) 20:39 판 (Contextual Relations)
이동: 둘러보기, 검색

기록으로 보는 신정왕후의 인생음식이야기 》 1848년 무신년 진찬에 받은 신정왕후의 음식상

Story

신정왕후 조씨(神貞王后, 1809~1890)조선의 추존왕 문조(효명세자)의 비이자 헌종의 어머니이자 순조와 순원왕후의 며느리다. 1834년 아들 헌종이 왕위에 오르자 신정왕후는 왕대비가 되면서 대왕대비인 순원왕후 다음으로 서열이 높았다.
1848년(헌종14) 3월, 순원왕후가 육순을 맞이하였고, 신정왕후가 망오(41세)가 된 것을 축하하기 위해 무신년 진찬을 베풀었다 그러나, 신정왕후는 그 연회에 참석하지 않았다. 그의 아버지 조만영(趙萬永, 1776~1846)이 죽어 상제 중이었기 때문이다. 신정왕후는 존호를 받는 건 애써 따르겠지만 진찬은 따르기 어렵다는 뜻을 밝혔고, 헌종은 이를 거역할 수 없었다.
다만, 통명전 정일진찬에 참석하지 않은 신정왕후를 위해 내진헌 찬안과 별행과 음식상을 왕대비전으로 보내었다. 신정왕후의 찬안상에는 순원왕후 찬안상보다 적은 39그릇 음식을 차렸지만, 별행과는 순원왕후와 똑같이 20그릇을 차렸다. 신정왕후가 연회에 참석하지 않았음에도 예우를 갖춰 대접했던 것이다.
이에 관한 내용은 <무신 진찬의궤> '연설'과 '찬품'편에 자세히 기록되어 있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note
E2022-R0-05A Story Episode 1848년 무신년 진찬에 통명전이 아닌 대비전에서 받은 신정왕후의 음식상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E2022-R0-05A 2022:이소영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note
E2022-R0-05A 신정왕후 isRelatedTo
E2022-R0-05A 조선_헌종 isRelatedTo
E2022-R0-05A 조만영 isRelatedTo 조만영(趙萬永, 1776~1846)
E2022-R0-05A 순원왕후 isRelatedTo
E2022-R0-05A 창경궁_통명전 isRelatedTo
E2022-R0-05A 무신년진찬 isRelatedTo
E2022-R0-05A 통명전_정일진찬 isRelatedTo
E2022-R0-05A 통명전_정일진찬-내진헌찬안 isRelatedTo 39그릇, 부친상으로 불참, 대비전에서 받음
E2022-R0-05A 통명전_정일진찬-내진헌별행과 isRelatedTo 20그릇, 부친상으로 불참, 대비전에서 받음
E2022-R0-05A 통명전_정일진찬-대왕대비전-진어찬안 isRelatedTo 45그릇
E2022-R0-05A 통명전_정일진찬--대왕대비전-진어별행과 isRelatedTo 20그릇
E2022-R0-05A 무신진찬의궤:1848 isRelatedTo

Web Resource

  • type: 해설, 참고, 원문 / 사진, 동영상, 도면, 그림, 지도, 3D_지도, 3D_모델

Bibliography

  • id: 인용전거
  •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 online resource: KCI, RISS, DBpia, 네이버 학술정보 .....

Notes


Story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