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finition
【1851년(철종 2) ~ 1895년(고종 32)】. 명성황후(明成皇后). 조선 26대 왕이자 대한제국 황제인 고종의 비.
본관 여흥. 아버지는 민치록(閔致祿), 어머니는 한창부부인 이씨이다. 1866년(고종 3) 흥선대원군과 부대부인 민씨에 의해 왕비로 간택되었다. 시아버지 흥선대원군과 정치적 입장이 달라 임오군란 때 궁중을 탈출했다가 돌아온 적이 있고 갑신정변이 무위에 그치는 데 일조를 했다[1]는 평가가 있다. 19세기 말 내외의 격동 속에서 고종과 함께 국정을 주도하고자 했으나 1895년 일본군에 의해 경복궁에서 시해되었다. 1897년(광무 1) 명성이라는 시호가 부여되었고, 고종의 황제 즉위와 대한제국 선포 직후 황후로 추존되었다. 고종과 함께 경기도 남양주 금곡의 홍릉에 합장되어 있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Contextual Relations
Web Resource
Bibliography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논문 |
김만태, 정지영, 「신재효의 판소리 사설에 나타난 민속신앙」, 『건지인문학』 15, 전북대 인문학연구소, 2016.2. |
|
|
논문 |
이훈상, 「19세기 후반 申在孝와 여성 제자들, 그리고 판소리 演行의 변화 - 歌妓에서 歌女로의 성장과 신재효의 역할」, 『역사학보』 218, 역사학회, 2013.6. |
|
|
논문 |
김용찬, 김정은, 「신재효 가사 연구」, 『남도문화연구』 19, 순천대 남도문화연구소, 2010.12. |
|
|
논문 |
이훈상, 「19세기 전라도 고창의 鄕吏世界와 申在孝 -申在孝 가문 소장 古文書 자료를 통하여 본 申在孝의 사회 지위와 판소리의 발전」, 『고문서연구』 26, 한국고문서학회, 2005. |
|
|
논문 |
최진형, 「신재효 판소리 사설의 개작 지향(1)」, 『반교어문학』 14, 반교어문학회, 2002. |
|
|
논문 |
정출헌, 「신재효의 판소리를 재론한다-신분상승을 위한 것인가 부민(富民)을 대변한 것인가」, 『역사비평』 25, 역사문제연구소, 1994. |
|
|
논문 |
곽정식, 「申在孝本 春香歌(男唱)와 完板 烈女春香守節歌의 對比的 考察; 先後問題와 改作意識을 중심으로」, 『논문집』 12-1, 경성대, 1991. |
|
|
논문 |
김종균, 「申在孝 판소리 사설 「박타령」 연구; 이중구조 및 제비와 박의 상관성」, 『논문집』 23, 한국외국어대, 1990. |
|
|
논문 |
金俊榮, 「申在孝 改作 판소리에 대하여; 판소리의 根源을 붙임」, 『전라문화연구』 2, 전라문화연구회, 1988. |
|
|
논문 |
姜信球, 「申在孝의 創作판소리 硏究」, 『민족문화』 3, 동아대 한국민속문화연구소, 1981. |
|
|
논문 |
薛盛璟, 「申在孝 판소리辭說 硏究」, 『한국학논집』 7, 계명대 한국학연구소, 1980.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