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2022-R3-15D

hanyang2
김해인 (토론 | 기여)님의 2022년 12월 9일 (금) 00:52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종묘제례악에 가수가 있었다 》 환조의 공덕을 칭송하는 집녕

Story

집녕은 공민왕의 명으로 흩어진 쌍성의 백성을 위무하여 돌아오게 해서 안정토록 한 환조의 공덕을 칭송한 악장이다. 가사의 내용은 “쌍성이 아득히 멀지만 천부라고 일렀도다. 관리들이 직분을 다하지 못해, 백성들이 안도하지 못하거늘. 거룩한 환조께서 편안히 돌보시니, 흩어졌던 백성이 다 돌아왔도다. 총애하는 명을 받으시어, 큰 복을 세우셨도다.” 하였다. 환조는 태조 이성계의 부친이며, 이름은 자춘(子春)이다. 1394년(태조 3) 태조의 4대조를 추존할 때 환왕(桓王)으로, 태종 때 다시 환조로 추존되었다. 조카 이교주(李咬住)가 장성할 때까지 잠정적으로 형의 천호(千戶) 관직을 이어받았으나, 후에 독자적인 체제를 굳혔다. 그는 원나라의 후원에 힘입어 부원(附元)세력인 조씨(趙氏: 이복동생의 外家)와의 대결에서 승리하고 그 직책을 이어받았다. 그러나 그 뒤 원나라의 정책으로 타격을 입게 되자 차츰 원나라에 대해 회의를 느끼게 되었다. 당시 원나라는 이른바 삼성조마호계(三省照磨戶計)라 하여 중서성(中書省)·요양성(遼陽省)·정동행중서성(征東行中書省) 등 3성의 원주민과 이주민을 구분해 호적을 작성하였다. 그 의도는 원주민을 우대하고 국외의 이주자를 데려오는 것이었다. 이는 이주민을 세력 기반으로 구축하고 있던 그에게 치명적인 타격이 되었다. 한편, 공민왕은 원명 교체기에 원나라의 세력이 약해진 틈을 타서 반원정책을 추진하였다. 그는 동북면의 쌍성총관부(雙城摠管府)와 연결된 친원 기씨(奇氏) 세력을 제거하기 위해, 이 지역에서 유이민을 기반으로 세력을 형성한 이자춘을 끌어들일 필요성을 느꼈다. 이자춘도 대대로 구축해 온 세력 기반을 유지하기 위해 1355년(공민왕 4) 공민왕을 찾아 복종할 뜻을 비치자, 공민왕은 그에게 소부윤(少府尹)을 제수하였다. 이듬해 그는 유인우(柳仁雨)와 함께 동북면을 협공해 쉽사리 이 지역을 점령하고 99년 만에 회수하였다. 이후 그는 공민왕의 반원정책에 가세해 뿌리 깊게 대립했던 조씨 세력을 제거했다. 또한, 이 때의 전공으로 대중대부사복경(大中大夫司僕卿)이 되어 저택을 하사받고 오랫동안 그의 기반이었던 동북면을 떠나 개경에 머물게 되었다. 개경에 머문 지 1년 만에 동북면에 돌아가려 하자, 그 곳의 토착 기반을 이용해 공민왕을 배반할 우려가 있다며 조정의 신하들이 반대하였다. 그러나 공민왕은 그가 아니면 동북면을 안정시킬 수 없다고 판단해 삭방도만호 겸 병마사(朔方道萬戶兼兵馬使)로 임명해 다시 영흥으로 돌아가게 하였다. 그가 동북면에 이르러 4월에 병사함으로써 조정 신하들의 염려는 기우로 끝났다. 그가 죽은 뒤 그의 아들 이성계는 통의대부 금오위상장군 동북면상만호(通議大夫金吾衛上將軍東北面上萬戶)가 되어 약관으로 정3품의 중앙무관직과 선조의 기반인 상만호의 두 가지 직책을 맡게 되었다. 이는 이성계가 동북면의 토착기반을 그대로 이어받은 것을 의미한다. 나아가 조선왕조 건국의 세력기반이 되기도 하였다. 능은 정릉(定陵)으로, 함흥 동쪽 귀주동(歸州洞)에 있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class groupName partName label hangeul hanja english infoUrl iconUrl note
E2022-R3-15D Story Episode 환조의 공덕을 칭송하는 집녕 환조의 공덕을 칭송하는 집녕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E2022-R3-15D 2022:임민혁

Contextual Relations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note
E2022-R3-15D 공민왕 isRelatedTo
E2022-R3-15D 이자춘 isRelatedTo
E2022-R3-15D 쌍성 isRelatedTo
E2022-R3-15D 이성계설화 isRelatedTo
E2022-R3-15D 영흥 isRelatedTo
E2022-R3-15D 영흥본궁 isRelatedTo
E2022-R3-15D 준원전 isRelatedTo
E2022-R3-15D 정릉-定陵 isRelatedTo
E2022-R3-15D 용비어천가 isRelatedTo
공민왕 이자춘 hasSubject
이자춘 영흥 livesIn
이자춘 정릉-定陵 wasBuriedIn
이자춘 용비어천가 isMentionedIn
이성계 이성계설화 appearsIn
이성계 영흥본궁 isEnshinedIn
이성계 준원전 isEnshinedIn

Web Resource

type resource title description/caption URL
참고 두산백과 용비어천가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220204001744726
  • type: 해설, 참고, 원문 / 사진, 동영상, 도면, 그림, 지도, 3D_지도, 3D_모델

Bibliography

id type bibliographic index online resource url
  • id: 인용전거
  •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 online resource: KCI, RISS, DBpia, 네이버 학술정보 .....

Notes


Story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