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세기 여성 단령-호표흉배
목차
Definition
원삼은 대한제국 황후, 황태자비, 조선시대 왕비 이하 내명부, 외명부의 대례복이며, 민간에서도 혼례복으로 착용하는 옷이다.
현재 일반적으로 알려진 원삼은 깃이 서로 마주하는 대금형의 맞깃 혹은 배자깃으로 불리는 깃이 달려있어 앞자락이 겹치지 않고, 길이는 뒷길이 앞길보다 긴 전단후장며, 바닥까지 이르는 긴 포의 형태이다. 겨드랑이 아래로 길게 트임이 있고 섶과 무가 없다. 두리소매 형태의 넓은 소매가 달렸고, 소매 끝에는 색동과 백색의 한삼(汗衫)을 연결되어 있다. 여밈 방식은 고름이나 매듭단추가 달렸고, 길이가 매우 긴 별도의 대(帶)를 둘러 착용한다. 이러한 형태는 조선 전기 여성이 착용하던 단령(團領)에서 맞깃형태로 변화한 것이다. 조선 후기에 황후는 황원삼(黃圓衫), 왕비는 홍원삼(紅圓衫), 공주와 반가 여인들은 녹원삼(綠圓衫)으로 신분에 따라 색을 구별 하였다.
15~16세기 유물에서 보면, 단령형 원삼(여성 단령)은 품을 대체로 넉넉하거나 크게 제작했다. 남성 단령의 품이 대부분 50~70㎝인 반면, 이 시기의 원삼은 여자의 옷임에도 불구하고 80~102㎝까지 품이 매우 넓다. 한삼이 달렸거나 달았던 흔적이 발견되고, 이시기 출토 유물의 절반 가량에 흉배가 부착되어 있고, 봉대가 함께 출토되었다.
17세기 초중반은 단령 형태의 원삼(여성 단령)이 대금형의 맞깃 형태로 변해가는 과정중에 있던 시기로, 단령과 원삼의 특징을 동시에 지닌 형태가 나타나기도 한다. 소매모양에 변화가 생겨 소매 끝에 색동이 처음 등장했고, 홑옷이며, 깃이 둥근 단령 깃에서 점점 마주보는 깃으로 변화되었다. 봉대가 함께 출토되었고, 흉배가 부착된 형태는 감소하였다.
17세기 후반~19세기에는 깃 모양이 마주보는 대금형의 원삼 깃으로 변화하였다. 두 줄 색동과 한삼이 달리고, 밑단이 당의의 곡선과 같은 형태로 변화면서, 앞이 짧고 뒤가 긴 전단후장이 대부분이다. [1]
호표흉배가 달린 여성 단령은 경기도 안성군 의인 박씨(16세기 중후반)의 부부 합장묘에서 출토되었다. 이 여성 단령은 아청색 무문단으로 만든 홑 단령형 원삼으로, 품이 크고 길이가 짧은 소매이며 겨드랑이 아래 옆자락의 무는 앞뒤로 2개의 주름을 잡아서 고정한 상태이다. 가슴과 등에는 가로, 세로 33.5㎝의 호표흉배를 부착하였다. 흉배제도는 『경국대전』(1485)에 무관 1~2품을 호표흉배로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이장 당시 '내금위정략장군충무위부사과유공지구(內禁衛定略將軍忠武衛副司果柳公之柩)'와 '의인박씨지구(宜人朴氏之柩)'라는 명정이 확인되었는데 정4품 '내금위 정략장군', 정6품 '충무위 부사과', 외명부 6품인 '의인'의 기록으로 보면, 당시 흉배제도와는 일치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2] 다만 짙은 색 바탕에 금실로 호랑이와 표범을 넣어 짠 호표흉배는 문헌과 초상화에서만 확인되었던 것으로 실물로는 의인 박씨의 것이 유일하다.[3]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note |
---|---|---|---|---|---|---|---|---|---|---|
16세기_여성_단령-호표흉배 | Clothing | 복식 | 옷 | 16세기 여성 단령-호표흉배(團領-虎豹胸背) | 16세기 여성 단령-호표흉배 | 團領-虎豹胸背 | 16th Century Female Dallyeong-Hopyo-hyungbae |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16세기_여성_단령-호표흉배 | 2022:김현승 |
Contextu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
16세기_여성_단령-호표흉배 | 3D-16세기_여성_단령-호표흉배 | isShownBy | ||
3D-16세기_여성_단령-호표흉배 | 16세기_여성_단령-호표흉배 | hasReferenceNote |
재현물 제작 정보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image |
---|---|---|---|---|
Google Arts & Culture ☞ 진주류씨 배위 의인박씨(16세기) 단령 | 3D-16세기_여성_단령-호표흉배 | references | 진주류씨 부인 의인박씨(16세기) 단령 유물 재료: 비단(Silk) 색상: 전체 어두운 남색, 흉배 금색, 고름 자주색 착장자 성별: 성인 여성 ※ 유물은 낡은 옷이므로, 3D는 아래 설명들을 참고하여 새 옷으로 표현한다. |
|
김현승 일러스트: 도식화 | 3D-16세기_여성_단령-호표흉배 | references | ① 앞모습 도식화 ② 무를 펼친모습 도식 ③ 뒷모습 도식화 상세 사이즈(㎝): 길이 134, 품 102, 화장 73, 진동 40, 수구 40, 접힌 소매 너비 25, 고대 21, 깃 너비 3.5, 고름 46×4, 무 접히는 너비 5 (아코디언 형식으로 접음), 흉배 36×36 (앞은 깃 아래로 9㎝ 내려온 지점에 달림. 뒤는 깃 아래로 19㎝ 내려온 지점에 달림.) 이 옷은 겨드랑이(진동점) 바로 아래부터 옆이 트여있다. ‘무’는 겨드랑이 바로 아래에서 옷의 앞, 뒤, 양옆에 모두 달려 있으며 아코디언 형식으로 접는다. 한번 접히는 너비는 5㎝이며, 4번 접어 겉면에 부착한다. 이때 고정은 윗부분만 한다. 일자형 소매 끝은 거들지 형식으로 이중으로 접혀 들어간다. 흉배는 옷감과 같은 남색 비단에 문양부분만 금색실로 직조한다. 깃은 매듭단추로 여민다. 깃 파임은 14㎝, 깃 너비는 3.5㎝ 이다. 고름은 어깨선에서 51.5㎝ 내려온 지점에 달린다. |
|
경기도박물관, 『의문의 조선 옷』, 민속원, 2016. | 3D-16세기_여성_단령-호표흉배 | references | 홍몽남의 부인 연안김씨(16세기) 유물 뒷모습 크기와 형태가 비슷한 다른 유물의 뒷모습이다. ‘무’의 모습이나 형태 등을 참고한다. |
|
국립대구박물관, 『조선 반가의 여인, 용인에 잠들다』, 그라픽네트, 2013. | 3D-16세기_여성_단령-호표흉배 | references | 용인 영덕동 무연고 묘 출토 유물(16세기) 형태가 비슷한 다른 유물의 일부이다. ‘무’를 펼쳐서 아코디언 형식으로 잡힌 주름 모습을 참고한다. |
|
Google Arts & Culture ☞ 연안김씨(16세기) 단령 펼친모습.jpg | 3D-16세기_여성_단령-호표흉배 | references | 홍몽남의 부인 연안김씨(16세기) 유물 펼친모습 형태와 크기가 비슷한 다른 유물이다. 겉섶을 젖혔을 때 안섶의 모습을 참고한다. |
|
Google Arts & Culture ☞ 진주류씨 배위 의인박씨(16세기) 단령 | 3D-16세기_여성_단령-호표흉배 | references | 거들지 형식의 소매이다. 거들지는 소매 안쪽에 별도의 긴천을 덧달아 소매 겉면쪽으로 감싸며 접어올려 소매 끝이 더러워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만들었던 것이다. 그런 거들지 형식으로 이 옷의 소매도 겉으로 접어 올린다. | |
경기도박물관, 『의문의 조선 무늬』, 민속원, 2016. | 3D-16세기_여성_단령-호표흉배 | references | 호표흉배 유물과 일러스트 흉배는 옷감과 같은 어두운 남색 비단에 문양부분만 금색실로 직조한다. 유물은 많이 낡고 금실도 탈락된 상태이기 때문에 일러스트 자료를 참고하여 이 도안으로 반짝반짝 빛나는 금색 흉배를 표현해준다. |
|
Google Arts & Culture ☞ 치마 | 3D-16세기_여성_단령-호표흉배 | references | 고름은 길이 46㎝, 너비 4㎝의 긴 끈으로 묶는다. 묶는 형태는 한복 저고리나 치마를 여밀 때 하듯이 외고름으로 한다. 이 치마 사진의 고름 묶은 모양을 참고한다. | |
단국대학교 평생교육원 전통복식과정 17기, 『전통 손바느질 맛·멋』, 단국대학교 평생교육원, 2012. | 3D-16세기_여성_단령-호표흉배 | references | 단령의 둥근 깃은 이 사진처럼 매듭단추로 고정시킨다. 매듭단추의 색상도 어두운 남색이다. | |
Google Arts & Culture ☞ 홍씨 초상 | 3D-16세기_여성_단령-호표흉배 | references | 초상화에 표현된 옷은 다른 종류의 옷이지만, 깃이 둥근 단령인 것과 옆선이 트여있는 것 등의 유사한 부분을 볼 수 있어 참고자료로 첨부하였다. 이 옷들처럼 가장 겉에 입는 겉옷이므로 3D 제작시 마네킹의 신체 실루엣이 드러나지 않도록 표현해준다. | |
다음 > 블로그 ☞ 400여년전 우리 선조들이 입고...(2009.10.21.) | 3D-16세기_여성_단령-호표흉배 | references | 이 복식을 착용하던 당시에는 속에 받쳐 입는 옷의 가짓수도 많았고, 그 옷들의 품은 상당히 크고 넉넉했다. 현재 제작할 3D 재현품은 크고 넉넉한 속옷들과 몇 겹의 저고리, 치마를 입고 그 위에 걸치는 외투이기 때문에 신체의 실루엣이 겉으로 드러나지 않는다. 3D로 재현시 이 부분을 주의하여 가슴이나 허리 굴곡이 드러나지 않는 넉넉한 실루엣으로 표현해준다. (착용모습 참고용 사진들은 모두 16세기 여성의 저고리, 치마를 착장한 모습이다.) | |
트위터 ☞ "hanbok_linda(2022.06.03.) | 3D-16세기_여성_단령-호표흉배 | references | 16세기 여성 복식 착용모습 | |
트위터 ☞ "worya_(2020.11.19.) | 3D-16세기_여성_단령-호표흉배 | references | 16세기 여성 복식 착용모습 | |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조선시대 우리 옷의 멋과 유행』, 단국대학교출판부, 2011. | 3D-16세기_여성_단령-호표흉배 | references | 16세기 여성 복식 착용모습 |
Web Resource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 type: 해설, 참고, 원문 / 사진, 동영상, 도면, 그림, 지도, 3D_지도, 3D_모델
Bibliography
id |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 id: 인용전거
-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 online resource: KCI, RISS, DBpia, 네이버 학술정보 .....
Notes
Semantic Network Grap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