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세기 액주름
재현물 제작 정보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image |
---|---|---|---|---|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 소장품 ☞ 액주름 | 3D-17세기_액주름 | references | 강대호(1541-1624) 묘 출토 유물(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소장) 크기(㎝): 길이 126, 화장 103.5, 품 64, 고대17, 진동 28.5, 수구 22.5 재료: 명주(실크) 색상: 겉감 남색, 안감 백색, 겉고름 남색, 속고름 백색, 동정 백색 착장자 성별: 성인 남성 ※ 유물은 많이 낡은 옷이므로 복제품 사진 참고하여 새 옷으로 표현. 유물 사진에서 보이는 누비는 표현하지 않는다. |
|
김현승 일러스트: 앞모습 도식화 | 3D-17세기_액주름 | references | 상세 사이즈(㎝): 길이 126, 화장 103.5, 품 64, 진동 28.5, 수구 22.5, 고대 17, 깃너비 10 / 동정너비 7, 겨드랑이 밑길이 5, 겉고름 너비 4, 속고름 너비 2 / 길이 40 ※ 겉고름은 긴 것과 짧은 것이 있는데, 긴 고름으로 허리를 한바퀴 두르고, 묶었을 때 남은 부분이 25㎝ 내려오는 길이로 제작.(사진 참조) 이 옷은 저고리, 바지를 입고 그 위에 입는 옷이며, 또 그 위에 겉옷을 걸쳐 입으므로, 중간 옷의 개념에 해당한다. 겨드랑이에 가로, 세로 2㎝ 사각형의 ‘당’이 있고, 당에서 옆선으로 32㎝ 아래부터 도련까지 트여있다. 트임에는 앞과 뒷자락을 연결하는 연봉매듭단추가 달려있다. 옷고름은 허리를 한 바퀴 돌려 맨다. 겨드랑이 아래 ‘무’의 주름은 너비 0.3~0.5㎝로 라고, 한쪽방향으로만 접는 외주름으로 접는다. ※ 도식화에는 고름을 그리지 않았으나 3D 제작시 만들어 붙여주기. |
|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 소장품 ☞ 액주름 | 3D-17세기_액주름 | references | 강대호(1541-1624) 묘 출토 유물 무의 옆모습 | |
트위터 ☞ @Oreaeui(2020.12.10.) | 3D-17세기_액주름 | references | 무의 옆모습 복제품 사진 | |
단국대학교 평생교육원 전통복식과정 17기, 『전통 손바느질 맛·멋』, 단국대학교 평생교육원, 2012. | 3D-17세기_액주름 | references | 당과 무의 안·겉모습 복제품 사진 무의 주름 너비는 0.3~0.5㎝로 하고, 주름방향은 한쪽으로만 향하는 외주름으로 접는다. 사진 속 복제품 안쪽에는 속고름이 달린 모습이다. |
|
단국대학교 평생교육원 전통복식과정 17기, 『전통 손바느질 맛·멋』, 단국대학교 평생교육원, 2012. | 3D-17세기_액주름 | references | 강대호(1541-1624) 액주름 복원품 옷의 형태를 참고하고, 푸른색 색상을 참고하여 표현한다. 옆선의 트임부분에 연봉매듭이 달려있다. 연봉매듭 색상은 자주색으로 한다. 색상: 겉감(남색), 안감(백색), 겉고름(남색), 속고름(백색), 동정(백색), 연봉매듭(자주색) |
|
단국대학교 평생교육원 전통복식과정 17기, 『전통 손바느질 맛·멋』, 단국대학교 평생교육원, 2012. | 3D-17세기_액주름 | references | 강대호(1541-1624) 액주름 복원품 완성 후 착장형태는 이 사진과 같게 하고, 색상은 앞의 설명대로 한다. 3D 마네킹에 착장시 바디라인이 드러나지 않도록 한다. 고름은 긴 것으로 허리를 한바퀴 둘러 앞쪽에서 외고름으로 맨다. |
|
China National Silk Museum > Exhibition > Traditional Korean Costumes and Textiles ☞ 액주름 | 3D-17세기_액주름 | references | 누비 액주름 복원품 착장형태 느낌만 참고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