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세기 공주의 홍장삼

hanyang2
김현승 (토론 | 기여)님의 2022년 11월 18일 (금) 23:12 판 (새 문서: ===재현물 제작 정보===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left" !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image |- | 이은주 외, 「복온공주 활옷의 자수편...)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재현물 제작 정보

source target relation attribute image
이은주 외, 「복온공주 활옷의 자수편과 문양 분석을 통한 연대 추정」, 『고궁문화』 14, 국립고궁박물관, 2021. 3D-19세기_공주의_홍장삼 references 복온공주(1818-1823) 활옷[홍장삼] 앞모습, 뒷모습

복온공주(1818-1823)의 홍장삼은 후손들에 의해 5대에 걸쳐 혼례복으로 사용되었고, 그 과정에서 훼손됨에 따라 20세기 전기에 수선되었다고 한다. 이에 복식학자 이은주와 연구팀이 이 옷에 활용된 자수편의 재구성을 통해 홍장삼의 본래 모습을 유추해보았고, 본 고증워크시트에는 그 연구결과 내용과 국내외에 남은 활옷 유물 및 원삼 유물들을 근거로 하여 작성하였다. 따라서 유물사진이 아닌, 다음장의 도식화와 설명들을 참고하여 3D를 제작한다.

재료: 비단(Silk)
색상: 겉감 다홍색, 안감 파란색, 색동 노란색-파란색-다홍색, 한삼·동정 흰색
착장자 성별: 성인 여성


김현승 일러스트: 공주의 홍장삼 ver.1 3D-19세기_공주의_홍장삼 references 홍장삼 도식화(ver.1): 자수와 금원문을 배치한 모습

김현승 일러스트: 공주의 홍장삼 ver.2 3D-19세기_공주의_홍장삼 references 홍장삼 도식화(ver.2): 금원문 없이 자수로만 장식한 모습

국립고궁박물관, 『안녕 모란』, 국립고궁박물관, 2021. 3D-19세기_공주의_홍장삼 references 복온공주(1818-1823) 활옷[홍장삼] 펼친모습
유물사진은 변색된 부분들이 있다. 형태 참고 자료로 본다.
김현승 일러스트: 홍장삼 도식화 및 사이즈 표기 3D-19세기_공주의_홍장삼 references 상세 사이즈(㎝): 뒷길이 140, 앞길이 123, 화장 127 (소매 87 + 색동 7+6+6 + 한삼 21), 품 39, 진동 25, 소매너비 72.5, 수구 72.5, 고대 14.5, 깃 너비 3.5, 동정 너비 2, 어깨통수스란 87×38, 소매아래 65×33.5, 앞길스란 (상단 너비) 39 / (하단 너비) 42 / (높이) 33.5, 뒷길스란 (상단 너비) 38.5 / (하단 너비) 42 / (높이) 30, 금원문 8x8,
※화장: 몸 중심에서 소매끝까지 길이
※진동: 어깨에서 겨드랑이까지 길이
※수구: 소매에서 손이 나오는 부분. 수구 아래로는 막혀있다.
※고대: 어깨와 목의 경계점 좌우 길이

앞이 짧고 뒤가 길며, 앞은 겹쳐 여미는 부분 없이 중심선에서 여민다. 본래 앞여밈은 단추를 사용하나, 3D에서는 단추 없이 앞이 여며진 모양새로 제작한다. 진동점 아래부터 옆선이 트여 있다. 소매는 폭이 넓고, 소매 끝에 노란색·파란색·다홍색의 색동과 백색 한삼이 달려 있다. 도식화에서 분홍색으로 표시된 부분은 자수로 장식되는 곳이다. 원단에는 전체적으로 ‘도류불수문’이라는 석류무늬가 들어간다. 자수는 다홍색 공단에 수를 놓은 것으로, 자수 부분의 원단에는 무늬가 없다. 자수는 어깨와 소매 하단, 앞길과 뒷길의 하단에 있다. 자수 무늬는 보통 좌우 대칭을 이룬다.


한국전통지식포탈 > 문화적창조기술 > 전통문양 ☞ 석류와 석류꽃무늬-치마 3D-19세기_공주의_홍장삼 references 석류무늬 일러스트

옷감 전체에는 ‘도류불수문’이라는 석류무늬가 들어간다. 자수 부분의 원단은 무늬가 없는 공단이다.
1000shopping.com ☞ 44인치 도의단38 진수박 3D-19세기_공주의_홍장삼 references 한복 원단은 원단을 직조할 때 바탕과 같은 색실로 만들어지는 무늬이며, 빛의 각도에 따라 무늬가 보인다.(한복 원단 예시)
1000shopping.com ☞ 꽃넝쿨단(팥분홍) 3D-19세기_공주의_홍장삼 references (한복 원단 예시)
김현승 일러스트: 홍장삼 도식화 3D-19세기_공주의_홍장삼 references 자수 부분 명칭: 어깨통수스란, 앞길스란, 뒷길스란, 소매아래

이은주 외, 「복온공주 활옷의 자수편과 문양 분석을 통한 연대 추정」, 『고궁문화』 14, 국립고궁박물관, 2021. 3D-19세기_공주의_홍장삼 references ① 어깨통수스란: 가운데 중심을 가로로 접어 앞길에서 뒷길로 넘긴다. 가운데 직사각형으로 파인 부분에 옷깃이 위치한다.
② 소매아래
③ 앞길스란
④ 뒷길스란






김현승 일러스트: 금원문 3D-19세기_공주의_홍장삼 references ‘금원문’은 원형 테두리 안에 원앙이 마주보고 있는 문양을 금박으로 찍은 것이다. 금색으로 표현한다.
국립고궁박물관 > 소장품 ☞ 원앙문 목판 3D-19세기_공주의_홍장삼 references 원앙문 목판, 탁본

이은주 외, 「복온공주 활옷의 자수편과 문양 분석을 통한 연대 추정」, 『고궁문화』 14, 국립고궁박물관, 2021. 3D-19세기_공주의_홍장삼 references 깃 형태(유물 사진)

깃은 따로 재단하지 않고 몸판 부분에 둥근 깃 모양을 내고, 뒷고대 부분만 작은 조각으로 창구멍을 막은 뒤 다시 그 위를 흰색 동정으로 덧달았다.


김현승 일러스트: 깃 형태 3D-19세기_공주의_홍장삼 references 깃 형태(일러스트)

트위터 ☞ @HanbokPantry(2020.11.30.) 3D-19세기_공주의_홍장삼 references 앞에서 제시한 사이즈 및 구성과 똑같지는 않으나, ‘복온공주의 활옷[홍장삼]’ 유물을 모티브로 하여 제작한 화보사진들이다. 실루엣 참고용으로 첨부한다.

한복 스튜디오 혜온 ☞ 활옷 3D-19세기_공주의_홍장삼 references 착용모습 참고



네이버 > 블로그 ☞ [희복] 우리의 전통혼례복, 복온공주 활옷 한복화보(2020.12.31.) 3D-19세기_공주의_홍장삼 references 착용모습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