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2022-R3-19
S2022-R3-19 종묘제도의 시행
목차
종묘제도의 시행
Story
종묘는 조선시대 역대 국왕과 왕비의 신주를 봉안한 국가사당이다. 국가사당으로서의 종묘는 어떤 뜻을 가지고 있길래 최고의 지위와 권위를 가지게 되었을까? 먼저 종자와 묘자 각각의 뜻을 살펴보자. ‘종(宗)’자는 파자해 보면, 면(宀)자와 시(示)자로 구성되었다. 면(宀)자는 집이라는 뜻이다. 시(示)자는 본래 귀신 기(祈)의 뜻을 가지고 있다. 그렇다면 종 자는 귀신이 사는 집이라는 말이다. 그런데 옥편에는 그 뜻이 ‘마루’라 되어 있다. 마루는 가장 높은 지점을 뜻하는 용어이다. 그렇다면 종 자는 가장 높은 지위에 있는 귀신이 살고 있는 집을 뜻하는 글자라고 하겠다. 또 ‘종은 존(尊)’이라 하고 설문해자에서는 ‘존조묘(尊祖廟)’라 했다. 종은 ‘존귀한 조상의 사당’을 가리키기도 하고 이를 받드는 종자를 가리키기도 한다. 따라서 종자는 조상을 모신 사당을 높이 받드는 자손이다. 조묘를 받드는 자가 마루라 하였으니, 종자는 그 가문 내에서 가장 높은 지위에 있는 사람이다. 묘(廟)자는 집 엄(广)자와 알현할 조(朝)자로 구성되어 있다. 알현할 대상이 살고 있는 집이라는 뜻이다. 종자와 묘자를 결합해 그 뜻을 풀이해보면, 가장 높은 지위에 있는 종자가 알현해야 할 대상이 살고 있는 집이라 하겠다. 그 대상은 종자보다 높은 지위에 있을 것이므로 종묘는 가장 권위 있는 건물이 될 수밖에 없다. 그러므로 주자가례에서 언급한 것처럼, 한양천도 당시 궁궐보다 먼저 좌묘우사(左廟右社)의 원칙 아래 종묘를 먼저 건립했으며, 이는 태조의 즉위교서 제1 강령에 잘 나타나있다. 조선에서는 건국 직후에 궁궐보다 종묘를 먼저 건립하였다. 그 제도는 제후오묘(諸侯五廟)의 원칙에 따라 석실(石室) 5실을 조성하고 태조의 조상을 모셨다. 종자인 국왕은 이곳에서 제사를 지내 조상을 받들었다. 종묘에 봉안된 역대 국왕은 친진되면 영녕전으로 조천되었다. 종묘나 가묘나 조상신의 신주를 봉안한 사당임에는 마찬가지이므로 그 조상신의 제사를 받드는 존재인 종자는 국가에서나 가문에서나 가장 높은 지위에 있는 존재였다. 종자의 제사권은 절대적이며, 신성불가침의 권한이었다. 국조오례의가 규범서이면서 법전으로 기능하였음을 보면, 오례 중에서 가장 앞에 놓인 길례, 곧 제사는 조선의 예치국가로서의 성격을 잘 보여준다. 또 종묘는 국가공동체와 함께 하는 공간이었으므로 살아있는 후손들의 삶과 밀접한 관계에서 각종의 행사가 거행되었다.
Semantic Data
Node Description
id | class | groupName | partName | label | hangeul | hanja | english | infoUrl | iconUrl | note |
---|---|---|---|---|---|---|---|---|---|---|
S2022-R3-19 | Story | Storyline | 종묘제도의 시행 | 종묘제도의 시행 | http://dh.aks.ac.kr/hanyang2/wiki/index.php/S2022-R3-19 | 2022:임민혁 |
Contextual Relations
source | target | relation | attribute | note |
---|---|---|---|---|
S2022-R3-19 | E2022-R3-19A | hasPart | 태조의 즉위교서 반포 | |
S2022-R3-19 | E2022-R3-19B | hasPart | 제후오묘와 가묘 | |
S2022-R3-19 | E2022-R3-19C | hasPart | 국왕의 권한과 종자법 | |
S2022-R3-19 | E2022-R3-19D | hasPart | 새로운 의미의 국가사당 영녕전 | |
E2022-R3-19A | E2022-R3-19B | isPreviousInSequenceTo | ||
E2022-R3-19B | E2022-R3-19C | isPreviousInSequenceTo | ||
E2022-R3-19C | E2022-R3-19D | isPreviousInSequenceTo |
Web Resource
type | resource | title | description/caption | URL |
---|
- type: 해설, 참고, 원문 / 사진, 동영상, 도면, 그림, 지도, 3D_지도, 3D_모델
Bibliography
id | type | bibliographic index | online resource | url |
---|
- id: 인용전거
- type: 단행본, 논문, 도록, 자료집
- online resource: KCI, RISS, DBpia, 네이버 학술정보 .....
Notes
Story Network Graph